DOI QR코드

DOI QR Code

Maegamdo(梅龕圖), Symbol of Chinese and Korean Scholary Comespondence in the 19th Century

19세기 한중(韓中) 묵연(墨緣)의 상징, 매감도(梅龕圖)

  • 김현권 (문화재청 인천항 문화재감정관실)
  • Received : 2011.12.13
  • Accepted : 2012.02.17
  • Published : 2012.03.30

Abstract

Maehwa blossom(梅花) has been favoured in literary and artistic works in the East Asia as one of representing symbols of virtuous men's character. Maehwaseookdo(梅花書屋圖) is one of major forms of painting. This paper starts from the birth of Maehwaseookdo since it aims to examine the following points: its structural origin of the Gurimaehwachonsado(九里梅花村舍圖) style; how this style was distributed in Korea; process and features of Maegamdo(梅龕圖). The current academic world admits Maehwaseookdo is originated from an ancient story of Lim Po(林逋). Even though Maehwaseookdo and Lim Po story can be linked to a meaning of schoarly hermitage, ways to structure works are hard to compare paintings based on Lim Po story. While paintings related to Limpo story such as Banghakdo(放鶴圖) and Gwanmaedo(觀梅圖) depict a scholar(s) and a few Maehwa trees with cranes, Maehwaseookdo presents scholarly hermitage with a lot of Maehwa trees which encircle a house building. As other paintings related to Maehwa blossom were widely painted since the nationwide popularity of the theme of Maehwa, Maehwaseookdo was not drown throughout the whole period of time. Since Goryeo, Maehwa paintings including Sehansamu(歲寒三友), ordinary Maehwado as one of the Four Gentlemen's plants, and Tammaedo(探梅圖) which was based on ancient anecdote of Maeng Hoyeon. Maehwaseookdo, however, was created exclusively in the 19th century. In China a similar feature took place much earlier period which was in the 17th century. Accordingly we can assume that these patterns which paintings in particular styles were generated by particular cultural phenomena. The reason why Joseon's Maehwaseookdo works were painted exclusively in the 19th century was that Kim Jeonghee's party and Sin wi had acquaintanceship with Jang Sim(張深) who got work orders for Oh Sungyang(吳嵩梁). In these corresponding activities, two types of Maehwa paintings were exchanged. In China, scholars usually drew paintings in the type of Gurimaehwachonsado(九里梅花村舍圖) depicting scenic views of Guriju(九里洲) which was riverside area under the Mt. Buchun(富春山). This place surrounded by thousands and hundreds of Maehwa trees was where Oh Sungyang(吳嵩梁) was about to retire to hermitage in. In this repect, Joseon scholars painted Maegamdo(梅龕圖) depicting a scene of a shrine with Oh Sungyang(吳嵩梁)'s poetry books surrounded by Maehwa trees for paying tribute to the wall of Maehwa trees(Maebyeok(梅癖)). This seems to adapt the format of 'Manmae(萬梅)' which appeared in the type of Gurimaehwachonsado. One of the representing works of this, is painted or supervised by Sinwi. Paintings in two types with respective meanings were combined by which was estimated to be painted by Sin Wi, then it became a structural base of by Jang Sim(張深) This type of Maegamdo brought the popularity of Maewhoseookdo which once had another name of 'Manmaeseookdo(萬梅書屋圖)' by a group of scholars such as Jo Heeyong, in the 19th century. All things considered, this paper can be a sort of precedent phrase to find out the birth of Manmaeseookdo which was very popular in the late 19th century.

매화나무는 동아시아 문학과 예술에서 군자의 덕성을 표상하는 대표적인 상징으로 즐겨 애용되었다. 매화서옥도(梅花書屋圖) 역시 매화와 관련된 주요한 회화 형식이다. 이 논문은 구리매화촌사도(九里梅花村舍圖)류의 구성상 기원과 해당 그림들이 조선에 알려지는 과정을 밝히고 매감도(梅龕圖)가 제작되는 과정과 그 특징을 논의하고자 하였기에 이들 작품이 속한 매화서옥도의 발생부터 검토하였다. 현재 학계에서는 매화서옥도를 임포고사(林逋故事)와 연결시키고 있다. 물론 매화서옥도와 임포고사 간의 관계가 문인의 은거라는 의미로 연결되지만 작품의 구성 방식에 있어서는 임포고사에 기초한 회화류와 직접적인 비교가 힘들다. 방학도(放鶴圖)나 관매도(觀梅圖) 같은 임포 관련 회화에는 대개 한 두 그루의 매화나무와 학이 그려지고 이에 조응하는 문인이 표현된 반면, 매화서옥도는 문인의 은거가 묘사되면서도 여러 그루의 매화나무가 가옥을 둘러싸고 있는 구성이 주요한 특징이기 때문이다. 또한 매화서옥도는 매화 애호경향의 발생 이후에 그려진 관련 회화처럼 전 시기에 걸쳐 제작되지 않았다. 조선에서 매화와 관련된 회화는 세한삼우(歲寒三友)내지 사군자 일종의 매화도를 비롯해 탐매도(探梅圖) 같은 맹호연(孟浩然)고사에 기초한 산수화가 고려 이후 전 시기에 걸쳐 골고루 제작되었다. 그러나 매화서옥도만은 19세기에 집중적으로 그려졌다. 중국의 경우는 조선보다 빠른 17세기부터 성행하였다. 이같은 상황은 매화서옥도라는 유형의 회화가 특정 시기의 문화현상에서 비롯되었음을 알려준다. 조선의 19세기에 매화서옥도가 집중적으로 제작된 원인은 바로 김정희가(金正喜家) 및 신위(申緯)와 오숭량(吳嵩梁)을 비롯해 그의 회화 제작 주문을 전담하여 받았던 장심(張深) 간의 교유 때문이다. 이 교류 속에는 두 종류의 매화서옥도류가 제작되어 오고갔다. 청에서는 부춘산(富春山)아래 동강(桐江)가의 구리주(九里洲) 풍광을 담은 구리매화촌사도가 그려졌다. 구리주는 오숭량이 은거하려고 했던 곳으로, 수십만 그루의 매화나무가 있었다고 한다. 그리고 조선에서는 오숭량의 매벽(梅癖)과 그의 시를 기념하는 '매감공양(梅龕供養)' 행위가 일어났고 그 모습을 담은 매감도가 제작되었는데, 이 매감도는 구리매화촌사도류에 보인 '만매(萬梅)형식'을 적용하였다. 대표작으로는 신위가 그렸을 가능성이 높은 <매감시불도(梅龕詩佛圖)>이다. 이 그림은 북경에 소개되어 장심이 그린 매감도들의 구성상 기초가 되었다. 이러한 매감도류는 19세기에 조희룡 등에 의해 '만매서옥도(萬梅書屋圖)'라고 별칭되는 매화서옥도의 유행을 가져왔다. 그러므로 이 논문은 19세기 후반에 성행한 만매서옥도의 발생을 파악하기 위한 선행단계에 해당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