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문화재 보존에 있어서 진정성 개념의 속성과 변화 고찰

Analytical Study on the Definition and Nature of Authenticity in Heritage Conservation

  • Lee, Su Jeong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투고 : 2012.09.29
  • 심사 : 2012.11.14
  • 발행 : 2012.12.30

초록

진정성은 문화재의 가치를 검증하고 평가하는 과정에서, 그리고 문화재를 보존하고 관리하는 방향과 원칙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반드시 검토해야 할 중요한 사항이다. 그러므로 우리도 한국 문화재 중심으로 진정성 개념을 정립하고, 이를 문화재의 가치평가에 활용하여, 보다 체계적으로 논리적인 보존원칙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기존 연구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진정성에 대한 연구논문은 보다 깊이있는 논의를 펼치기 위해 두 편으로 나누어 고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논문은 그 중에서 1단계 작업으로서 기존의 국제적 논의에 대한 분석과 진정성 개념이 지닌 문제점과 속성을 고찰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해 전반부에서는 20세기 중반 이후부터 현재까지 진행되어 온 진정성에 대한 개념정립과정과 진정성을 이해하는 관점의 변화과정을 검토하여 국제적으로 전개된 논의의 흐름과 동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후반부에서는 진정성이라는 개념 자체가 가지고 있는 모순적 측면과 진정성을 문화재 보존이라는 행위에 적용하는데 있어서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진정성이라는 개념의 고유한 속성, 즉 시대에 따라 개념이 변화하거나, 문화별로 의미에 차이가 생기는 진정성의 개념적 유연성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2단계가 되는 추가적 연구에서는 한국문화재에 적합한 진정성의 개념을 정립하고, 진정성을 문화재 보존에서 적용할 수 있는 제도적 방안을 제시하여 궁극적으로는 보다 한국적 상황에 적합한 지정, 보존, 복원의 원칙을 세울 수 있는 철학적 토대와 실무적인 적용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Authenticity has emerged as an important condition which should be examined in setting out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rinciples of cultural heritage during the last half century. Compared that the concept has been internationally discussed developing it into the applicable framework such kind of effort has been relatively low within Asian context. This paper is the first half part the research on authenticity which aims at setting out conceptual framework of authenticity in Korean context and presenting a set of suggestion to make the Korean heritage-based concept of authenticity be workable in assessing heritage value in practice. It focused on the analytical review on two aspects: 1. the origin of the word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ncept along with the implementation of World Heritage Convention, nt of related international charters; 2. Problems of the intrinsic nature of the concept and problems to be considered in defining the concept.

키워드

피인용 문헌

  1. 건축문화재의 원형(原形) 개념과 보존의 관계 - 한국 목조건축문화재 수리 역사의 비판적 검토를 중심으로 - vol.49, pp.1, 2016, https://doi.org/10.22755/kjchs.2016.49.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