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조선시대 혼전(魂殿)공간의 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osition of HonJeon(魂殿) space

  • 홍은기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건축학과) ;
  • 김상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건축학과) ;
  • 장헌덕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건축학과)
  • Hong, Eun Ki (Department of Traditional Architectur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 Kim, Sang Tae (Department of Traditional Architectur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 Chang, Hun Duck (Department of Traditional Architectur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투고 : 2012.09.27
  • 심사 : 2012.11.22
  • 발행 : 2012.12.30

초록

본 논문은 빈전(殯殿), 진전(眞殿), 산릉(山陵) 등 다른 상장례 공간에 비해 비교적 적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혼전공간(魂殿空間)을 대상으로, 혼전공간을 구성함에 있어서 어떤 요소들이 영향을 주었고, 내부의 구성이 어떤 식으로 이루어져 왔는지에 관한 분석을 통해 혼전공간의 위치관계 및 궁궐별 구성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선시대 의례 중 흉례에 있어서 혼전(魂殿)은 사상적, 종교적인 면뿐만 아니라 기능적이고 건축적인 특성도 함께 지니고 있다. "국조오례의", "혼전도감의궤", "조선왕조실록" 등을 분석하여, 국상 시 사용되는 혼전를 중심으로 혼전과 주변 공간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들을 정리하면서, 각각의 궁궐에서 혼전의 위치가 어떠한 상징성을 갖는지에 관한 의문점을 풀고 궁궐별 혼전공간이 규칙화된 특징이 존재하는지 비교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조선 초기에는 경복궁 자선당을 중심으로, 조선 후기로 갈수록 창덕궁 선정전은 주로 왕이 이용하고, 창경궁 문정전은 주로 왕후가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혼전을 선정함에 있어 정치적 공간이 필요해 편전의 사용을 꺼린 기록들과 조선후기로 가면서 조선 초기 편전공간으로 사용되었고 혼전으로도 사용되었던 공간들이 용도의 변화가 생기며 다른 곳으로 편전(便殿)을 이동한 분석들을 통해 편전이 아닌 다른 곳을 혼전으로 사용하려고 했음을 분석하였다. 조선시대 각 궁궐에는 "국조오례의"에 따라 혼전의 주요 공간이 구성되었고, 혼전의 주변전각들은 궁궐의 특성에 맞게 배치되어 일정한 패턴의 공간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puts its focus on Honjeon space which relatively small number of precedent studies chose as a subject of a study. The objective is to analyze Honjeon space's spatial relationship and palaces that consist Honjeon through analysis of spatial configuration and elements that affected construction of Honjeon space. The Royal Funeral, among other ceremonies of Joseon Dysnasty, carries religious characteristic along with functional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National Five Rites", "Uigwe for the State Funeral 魂殿都監儀軌", and "Annals of Joseon Dynasty", the study organized elementary details about Honjeon space and surrounding spaces to determine the symbolism of Honjeon space's location at each palace and compared them to see if any systematical features existed between Honjeon spaces of each palace. Through this study, it was apparent the king mainly used Jaseongdang Hall of Gyeongbokgung in the early period of Joseon Dynasty and he mainly used Sunjeongjun of Changdeokgung while the queen used Munjeongjun of Changgyeonggung as the time reached the later period of Joseon Dynasty. Also in determination of Honjeon space, the study found that there were records of avoiding Pyeonjeon space in need for political space. The study also determined that places other than Pyeonjeon space was intended to be used for Honjeon space through the analysis which indicates that spaces that were initially used as Pyeonju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simultaneously as Honjeon space were moved due to changes made in terms of theirs usages. Through the study, it could be also known that primary spaces of Honjeon was composed accordingly to "National Five Rites" and constant pattern of spaces existed among buildings near Honjeon which were arranged according to each palace's characteristic.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