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농산물의 성장 유망 작목의 선정을 위한 연구 - 울산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f Selection of the Growth Potential Agricultural Products in Ulsan City

  • 김철욱 (경남과학기술대학교 동물소재공학과) ;
  • 김태완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양돈과학기술센터)
  • Kim, Chul-Wook (Department of Animal Resources Technology,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 Kim, Tae-Wan (Swine Science & Technology Center,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투고 : 2011.05.19
  • 심사 : 2012.02.24
  • 발행 : 2012.02.28

초록

본 연구는 울산 지역에서 성장 잠재력이 높은 농작물을 선정하고자 농작물의 재배면적 및 농업생산액에 대한 2000, 2005 및 2007년의 공식통계자료와 행정자료를 사용하여 특화계수분석과 지역성장률시차 분석을 하였다. 재배면적과 농업생산액에 의한 특화계수분석에 따르면, 쌀, 배, 감 등은 모든 분석시점에서 특화작목으로 분류되고 있다. 이들 작목들은 지역 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서 중요하기 때문에 지역농업인들의 영농활동지원 차원에서 단기적인 정책에 반영하는 것이 유용할 것이다. 2000~2007년의 농업생산액을 기준으로 한 지역성장률시차분석결과에 의하면, 딸기, 감, 감자, 옥수수, 고구마 등이 성장작목으로, 배가 경쟁우위작목으로 분류되고 있다. 재배면적 기준에서는, 딸기, 감자, 옥수수 등이 성장작목으로, 고구마가 경쟁우위작목으로 분류되었다. 이들 작목은 시장의 선호도와 생산자의 의지를 반영한 전국적인 추세와 지역의 생산 활동을 고려한 시계열 분석이라는 차원에서 지방자치단체는 중장기 농업정책 수립에 활용하는 것이 유익할 것이다.

In this study, we performed to select the high growth potential agri-products in Ulsan City, Korea. For this, we carried out the location quotient and the regional growth rate differential analyses using the cultivated area data and the agricultural output data in 2000, 2005 and 2007. The location quotient analysis revealed that rice, pear and persimmon were classified as specialized agri-products. These results would be useful to reflect on a short-term policy in support for the agricultural activities of the local farmers because the specialized agri-products occupy a relatively high proportion in the region. In addition, the regional growth rate differential analysis showed that strawberries, persimmon, potatoes, corn and sweet potato are classified as growing agri-products whereas pear is classified as a competitive agri-product in the analysis based on agricultural output from 2000 to 2007. Based on cultivated area, strawberries, potatoes and corn are classified as growing agri-products whereas sweet potato is classified as a competitive agri-product. These results would be beneficial to establish a long-term agricultural policy in Ulsan City because these agri-products are further supported by the time series analysis, considering the nationwide trends and the production activities reflecting the preferences of consumers and the willingness of producers.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한국연구재단

참고문헌

  1. Choi, J. S., S. W. Yoon, and J. C. Lee. 1997. Growth rate differential analysis on the DMZ neighboring area In the age of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Review of Northeast Asian Studies 2: 223-262.
  2. Lee, C. K. 2000. An analysis of iIndustrial structure in Kyongbuk region by the method of regional analysis. The Review of Applied Economics 2: 69- 91.
  3. Creamer, D. B. 1942. Shifts of Manufacturing Industries. National Resources Planning Board. Industrial Location and National Resources. Washington, DC.
  4. Henderson, J. M. 1962. Foci for regional growth analysis: An interregional trade and income model. mimeograph, Upper Midwest Study. Minneapolis, Minnesota.
  5. Kim, T. W., C. W. Kim, and Y. S. Kang. 2010. A priority of regional agricultural policy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in Changnyeong. Korean J. Intl. Agri. 22: 8-14.
  6. Won, G. H. and W. B. Shin. 2007. Analysis of structural changes in urban industries using gGrowth rate differential aAnalysis: the case of Korea, Inter. Rev. Pub. Admin. 12: 27-41.
  7. Ulsan. Agriculture, Forestry & Fishing Statistical Yearbook(www.ulsan.go.kr).
  8. Statistics Korea. Regional Income Statistics(www.kosis. kr).
  9. 강남호. 2005. 전북지역의 신산업발전전략에 관한 연구. 경영교육저널 6: 1-12.
  10. 곽태열. 2005. 경남지역 농업 성공사례 분석과 시사점. 경남발전연구원.
  11. 김병택, 정정석. 1990. 지역농업구조의 특성과 발전전략: 경남 지역농업 사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2. 김충실, 이현근. 2010. 대구․경북 지역농업의 특화분석. 농촌경제 33: 99-114.
  13. 박원석, 이철우. 2005. 영남지역의 특화산업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1: 463-475.
  14. 서강호. 2005. 충북산업구조 분석과 지역성장 전략. 청주대학교 대학원.
  15. 유병규. 1998. 대구광역시의 도시농업 활성화 방안연구. 대구경북개발연구원.
  16. 이정록. 2000. 광양권의 공업화와 지역경제의 변화: 1987-1996. 국토계획 35: 175-186.
  17. 정순관. 2006. 지역산업발전의 영향요인분석과 지방 정부의 대응방안. 한국거버넌스학회보 13: 129-150.
  18. 한무호. 2002. 충남의 시․군별 성장잠재력 분석 및 특성화 방안. 충남발전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