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Stem Volume Table for Robinia pseudoacacia Using Kozak's Stem Profile Model

Kozak 수간곡선 모형을 이용한 아까시나무 입목재적표 개발

  • Son, Yeong-Mo (Department of Forest Policy,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Jeon, Jun-Heon (Department of Forest Policy,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Pyo, Jung-Kee (Department of Forest Policy,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im, Kyoung-Nam (Department of Forest Policy,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im, So-Won (Department of Forest Policy,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Lee, Kyeong-Hak (Department of Forest Policy,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손영모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정책연구부) ;
  • 전준헌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정책연구부) ;
  • 표정기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정책연구부) ;
  • 김경남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정책연구부) ;
  • 김소원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정책연구부) ;
  • 이경학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정책연구부)
  • Received : 2012.09.10
  • Accepted : 2012.12.26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stem volume table for the Robinia pseudoacacia using stem taper equations. Specifically, Kozak's model was used in the estimation of each model parameter. The fitness of the estimated model was statistically verified and results of the residual analysis were found significant. Therefore, this model is considered applicable in the preparation of stem volume table for R. pseudoacacia. Furthermore, volume with bark and without bark table were developed based on the bark thickness estimation equation. The bark thickness estimation equation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tem volume table developed for R. pseudoacacia, which was first in Korea, is vital in managing these forests.

본 연구는 수간곡선식을 이용하여 아까시나무의 입목 수간재적표를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이용한 수간곡선식은 Kozak 모형이었으며, 모형의 모수를 추정하였다. 추정한 모형은 통계적으로 적합성이 인정되었으며, 잔차분석 결과도 양호한 것으로 판정되었다. 따라서 본 모형이 아까시나무 수간재적표를 조제함에 있어 충분히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수간재적표는 이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수피 포함 및 수피제외 재적표를 조제하고자, 수피두께추정식을 개발하여 이용하였다. 수피두께추정식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따라서, 본 모형이 아까시나무 수간재적표를 조제함에 있어 충분히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국내에서 처음으로 개발한 아까시나무의 수간재적표는 임학뿐 만 아니라 타 분야에 널리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Gal, J. and I. E. Bella. 1994. New stem taper functions for 12 Saskatchewan timber species. Information Report Nor-X-338, Canada Forest Service, Northest Region, Northern Forest Center.
  2. Kozak, A. 1988. A variable-exponent taper equation. Can. J. For. Res. 18: 1363-1368. https://doi.org/10.1139/x88-213
  3. Lee, K. H., Y. M. Son, Y. G. Chung, and W. K. Lee. 1999. A taper and volume prediction system for Pinus densiflora in Kangwon province, Forest Res. Insti. J. Forest Sci. 62: 155-166.
  4. Son, Y. M., K. H. Lee, Y. G. Jung, and Y. K. Lee. 1998. Bark thickness and bark percent of Pinus densiflora in Kangwon province. Korean J. Forest Measure. 1: 64-69.
  5. Son, Y. M., K. H. Lee, R. H. Kim, and J. H. Seo. 2007. Development of stem profile and taper equation for Quercus acuta in Wando. Korean J. Forest Measure. 10: 1-6.
  6.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청. 2012. 임목재적.바이오매스 및 임분수확표. pp. 216.
  7. 김종원. 1993. 아까시나무 육림기술. 제7회 양봉기술 강습회 및 아까시나무 연구 발표회 자료. pp. 56-64.
  8. 박용구. 1993. 아까시나무의 밀원식물 육성. 제7회 양봉기술강습회 및 아까시나무 연구 발표회 자료. pp. 22-55.
  9. 박용구. 2008. 아까시나무-밀원자원 아까시나무 숲의 쇠퇴방지와 건강성 증진. 유한사. 326p.
  10. 산림청. 1994. 아까시나무림의 육립 및 이용의 신수요개발에 관한 연구. pp. 211.
  11. 임경빈. 1992. 아까시나무의 조림학적 특성. 한국아까시나무연구회 창립기년 심포지움 자료. pp. 1-28.
  12. 임경빈. 1993. 우리나라 아까시나무의 과거, 현재 미래. 제7회 양봉기술강습회 및 아까시나무 연구 발표회 자료. pp. 1-21.
  13. 임업연구원. 1992. 아까시나무 자원과 이용. 임업연구원 연구자료 65호. pp. 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