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numerical study of pillar reinforcing effect in underground cavern underneath existing structures

지하공간하부 지하저류공동에서의 필라 보강효과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 서형준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
  • 이강현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
  • 한신인 ((주)서영엔지니어링) ;
  • 이인모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 Received : 2012.07.02
  • Accepted : 2012.09.04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Usage of underground space is increasing at metropolitan city. More than 90% of flood damages have occurred at downtown of metropolitan cities. In order to prevent and/or minimize the flood-induced damage, an underground rainwater detention cavern was proposed to be built underneath existing structures. As for underground caverns to be built for flood control, multi-caverns will be mostly adopted rather than one giant cavern because of stability problem. Because of the stress concentration occurring in the pillars between two adjacent caverns, the pillar-stability is the Achilles' heel in multi-caverns. So, a new pillar-reinforcing technology was proposed in this paper for securing the pillar-stability. In the new pillar-reinforcing technology, reinforced materials which are composed of a steel bar and PC strands are used by applying pressurized grouting, and then, by applying the pre-stress to the PC strands and anchor body. Therefore, this new technology has an advantage of utilizing most of the strength that the in-situ ground can exert, and not much relying on the pre-cast concrete structure. The main effect of the pressurized grouting is the increase of the ground strength and more importantly the decrease of stress concentration in the pillar; that of the pre-stress is the increase of the ground strength due to the increase of the internal pressure. In this paper, ground reinforcing effects were verified the stress change in pillar is obtained by numerical analysis at each construction stage. From these results, the effects of pressurized grouting and pre-stress are verified.

공간이 한정된 도심지에서 인구가 밀집되는 가운데 도심의 복합지하공간에 대한 개발은 날로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홍수피해의 90% 이상이 도심지 홍수피해라고 할 만큼 도심지의 수재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도심지 복합지하공간 하부에 지하저류공동 시설물을 시공하여 도심지 홍수피해 시 복합지하공간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지하저류공동에서 저장된 빗물을 원활히 제어하기 위해서는 한 개의 공동보다 다수의 저류공동 시설로 설계하는 것이 유리하다. 다수의 저류공동으로 시공을 할 경우 공동과 공동 사이의 필라 구조물에 상부의 하중이 집중되기 때문에 필라 구조물에서 안정성 확보 방안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필라부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필라부 보강공법을 개발하였다. 필라부 보강공법은 철근과 PC강연선으로 구성된 보강재를 필라부에 삽입한 후 가압 그라우팅을 하고, 프리스트레스를 가하는 공법이다. 따라서 기존의 프리케스트 콘트리트 구조물로 필라부를 보강하는 것과 달리 원지반을 직접 보강하는 공법으로 원지반의 강도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먼저, 가압 그라우팅을 하였을 경우 지반 보강효과뿐만 아니라 필라부에 가해지는 상부의 하중을 경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프리스트레스를 가하게 되면 필라부에 내압을 가하는 효과로 인하여 지반강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보강효과를 통해서 필라부 주변지반의 거동이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를 판단하고자 한다. 먼저, 수치해석을 통해서 각 시공단계별 필라부 지반의 응력 변화 양상을 판단하였다. 이를 통해서 가압 그라우팅과 프리스트레스에 의한 효과를 검증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도형, 박준경, 김영근, 오세준, 이두화 (2003), "대단면 근접병설터널의 설계 및 안정성 평가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암반공학회 춘계학술발표회, pp. 51-66.
  2. 김상균, 김태혁, 이인모 (2003), "2arch 도로터널 설계 및 시공 개선방안 고찰", 한국터널공학회논문집, 제5권, 제1호, pp. 29-38.
  3. 신영완, 김영근 (2010), "대단면 근접병설터널에서의 필러부 거동특성 검토", 한국암반공학회지, 제20권, 제3호, pp. 131-144.
  4. 유광호, 김종규 (2011), "필라폭이 병설터널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평가",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제13권, 제2호, pp. 115-131.
  5. 장석부, 문상조, 권승, 김준구, 권기대 (2004), "철도역사 및 선로 하부를 통과하는 대단면 3-Arch 터널의 설계", 한국철도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pp. 210-215.
  6. Hoek, E., Brown, E. T. (1980), "Underground excavation in rock", Institution of Mining and Metallurgy, London, pp. 527.
  7. Kamimura, M. (2002), "Discussion on the behaviors of parallel tunnel with a small clearance", Proc. of the 28th ITA General Assembly and World Tunnel Congress, pp. 898-906.
  8. Kobayashi, M. (1994), "Observational construction of a large sectional minimum interval twin road tunnel in urban alluvial loose sand soil", Tunneling and Ground Conditions, Balkema, Rotterdam, pp. 157-164.
  9. Matsuda, T., Terada, K., Igarashi, M., Miura, K. (1998), "Ground behavior and settlement control of twin tunnels in soil ground", Tunnels and Metropolises, Vol. 2, pp. 1193-1198.

Cited by

  1. Experimental study on the behavior of retaining wall according to underground excavation distance vol.18, pp.2, 2016, https://doi.org/10.9711/KTAJ.2016.18.2.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