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의 여름철 불쾌지수 특성 분석

The Change of The Average Discomfort Index from June to September during The Past 10 Years

  • 장유정 (고려대학교 기후환경학과) ;
  • 허혜숙 (기상청 기상산업정책과) ;
  • 김백조 (국립기상연구소 정책연구과) ;
  • 김성균 (기상청 기상산업정책과) ;
  • 홍기만 (기상청 기상산업정책과) ;
  • 이우균 (고려대학교 기후환경학과)
  • Jang, You-Jung (Dept. of Climatic Environment, Korea University) ;
  • Heo, Hye-Sook (Dept. of Meteorological Industry Policy, Korea Meterological Administration) ;
  • Kim, Baek-Jo (Dept. of Policy Research, National Institute of Meterological Research) ;
  • Kim, Seong-Kyoun (Dept. of Meteorological Industry Policy, Korea Meterological Administration) ;
  • Hong, Gi-Man (Dept. of Meteorological Industry Policy, Korea Meterological Administration) ;
  • Lee, Woo-Kyun (Dept. of Climatic Environment, Korea University)
  • 투고 : 2012.04.23
  • 심사 : 2012.06.13
  • 발행 : 2012.06.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의 2001~2010년간 여름철 불쾌지수의 시공간적 변동을 분석하여 기후학적 특성을 지역별로 살펴보고, 그 결과를 토대로 불쾌지수를 다양한 사회현상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기상청의 60개 관측 지점에서 측정된 시간별 기온과 습도를 이용하여 그날의 불쾌지수를 일별로 추정하였다. 추정된 불쾌지수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여름철에는 불쾌지수가 불쾌감을 주는 수준으로 지속되며, 기온과 더불어 꾸준히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하루 중에는 오후 3시, 일년 중에는 8월의 불쾌지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지역별로는 강원도 지역이 불쾌지수가 가장 낮은 분포를 보였다. 기후변화에 따른 불쾌지수의 변동성 분석은 산업 및 보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정책결정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spatio-temporal variability of discomfort index for summer the during the past ten years(2001~2010) in the Korean Peninsula, and considers the application possibility of discomfort index as a preliminary data for various phenomenon of society based on the analysis. Discomfort index defined as daily representative value was estimated using hourly temperature and humidity data which are observed 60 weather stations managed by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discomfort index in summer keeps the level at which one feels unpleasant, and the level increased steadily as temperature is rising. And discomfort index in 3 pm and on August are the highest during the day and year. Gangwon-do have shown the lowest discomfort index among the provinces. Variability analysis of discomfort index due to climate changes can be used for making policies in various fields such as industry and public health field.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환경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