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ktan Lee Shin-Ui's the Characteristic and Interpretation of Deahak(大學, The Great Learning)

석탄(石灘) 이신의(李愼儀)의 『대학(大學)』 독해(讀解)와 그 특징(特徵)

  • Received : 2012.10.11
  • Accepted : 2012.11.03
  • Published : 2012.11.30

Abstract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his creative perspective to Deahak through Seoktan Lee Shin-Ui's Daehakcharok. Lee Shin-Ui is a scholar and politician in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His ancestral home is Jeonui. The honor name is Gyeongchik and pen name is Seoktan. The posthumous name is MunJeong. His Daehakcharok was written in the process of taking basic foundation as the politic leader. It was a record that he usually wrote down things realized after reading Deahakjanggu. Seoktan clearly classified the meaning of Jang (chapter) and Gu (phrase) as the structure of Deahakjanggu, and created new realm about the method of classified study. In the preface of Deahakjanggu, he emphasized that the core of Deahak is in Gyeong (敬, respect or honor), and clarified that Deahak deals with Sim (心, mind) and Seong (性, human nature). In the interpretation of Daehakdeajeon, he thought that the core of Samgangnyeong (三綱領, three doctrines or essential principles) depended on Myeong (明, realizing), Shin (新, taking re-newness), and Ji (止, achieving) as the meaning of 'realizing, taking re-newness, and achieving', and interpreted the context of Tao (道, the way), Myeong (明, realizing), and Deuk (德, virtue) in detail. In addition, he interpreted various concepts and meaning of Deahak with Myeongmyeongdeuk (明明德, realizing human nature) and Sinmin (新民, renewing people) as relationship with Ji(知, realization), Haeng(行, practice), Che(體, main structure), and Yong (用, dealing with), and developed Neo-Confucianism deeply. In case of the main interpretation of Deahakjanggu, he analytically reviewed 50 phrases one by one throughout 10 total chapters. In case of chapter five which includes Zhuzi's the theory of Gyeokmul (格物, approaching things or persons), he interpreted it in three parts and classified Gyeokmulchiji (格物致知, approaching things or persons and then realizing their nature) about researching deeply of principle and each thing, and Mulgyeokjiji (物格知至, approaching things or persons and then realizing them) about all things. He arranged in order of 'principle- researching-result' as well. In final, chapter ten showing the core of politic thought emphasized the way of Hyeolgu (?矩, considering others' situation through his/her own experience) intensively and informed that it is the best virtue for a governor.

본고는 석탄 이신의의 "대학차록(大學箚錄)"을 통해, "대학"을 바라보는 그의 독창적 안목을 고찰하는 작업이다. 이신의(李?儀, 1551-1627)는 조선 중기의 학자이자 정치가로, 본관은 전의(全義)이고 자는 경칙(景則)이며 호는 석탄(石灘),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그의 "대학차록"은 "대학장구"를 읽고 체득한 내용을 수시로 적은 기록으로 석탄이 정치지도자로서 기초를 다지는 학문의 초기 과정에서 저술되었다. 석탄은 "대학장구"의 체제인 장(章)과 구(句)의 의미를 명확하게 구분하여 분석적 학문방법론의 새 지평을 열었다. "대학장구""서"에서는 대학의 핵심이 경(敬)에 있음을 강조하였고, "대학"이 심(心)과 성(性)을 함께 다루고 있다는 사실도 밝혔다. "대학(장구)대전"의 경문(經文) 독해에서는 삼강령(三綱領)의 핵심을 명(明)과 신(新)과 지(止)에 달려 있다고 보고, 대학의 '도(道)', '명(明)'과 '덕(德)'의 맥락을 구체적으로 해석하였다. 또한 명명덕(明明德)과 신민(新民)을 비롯한 "대학"의 여러 개념과 의미를 지(知)와 행(行), 체(體)와 용(用)의 관계로 읽어내며, 성리학을 한층 발전시켰다. "대학장구" 전문(傳文) 독해의 경우, 전 10장 전체에 걸쳐 50여구 하나하나를 분석적으로 검토하였다. 주자의 격물(格物) 이론이 담겨 있는 전5장의 경우, 세 부분으로 나누어 해독하면서, 이치의 궁구와 개별 사물에 대한 격물치지(格物致知), 모든 사물에 대한 물격지지(物格知至)로 나누어 '이치-공부-효험'의 순서로 정돈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치사상의 핵심을 보여준 전10장에서는 혈구(?矩)의 길을 집중적으로 강조하며, 그것이 목민관의 제일 덕목임을 일러주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