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won Sangha's Theory of Mind-Nature

수암 권상하의 심성론

  • Received : 2012.10.10
  • Accepted : 2012.11.03
  • Published : 2012.11.30

Abstract

Researches about the Horaknonjaeng(湖洛論爭) have succeeded by focusing on the Osangnonbyeon(五常論辨)?Mibalnonbyeon(未發論辨). In a way of these researches, philosophic thought of Gwon Sangha(權尙夏) is dealt in a comparison and in that process his philosophic thought seems to be known. However, these researches are treating several thoughts so it is difficult to find accurately what point describes the position of his thought in the korean confucian thought as origin of Hohak(湖學). In this paper, therefore, I examine Gwon Sangha's theory of mind-nature by focusing on the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mind-nature in Hansujaejib(寒水齋集) and find its position in history of thought as an origin of forming Hohak. Before 1709, Horaknonjaeng don't break out, Gwan Sangha had been formed that Inmulseongsangi(人物性相異) of Osangpyeonjeon(五常偏全)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fact that ensuring of Bonyeonjiseong(本然之性 性善) in Gijiljiseong(氣質之性) and under this influence scholars of Hohak formed thoughts and insisted Osangpyeonjeon(五常偏全 人物性相異) during Horaknonjaeng. In the point of Simseongilmul(心性一物) focusing on nature, he didn't admit the Jujaeseong(主宰性) of mind. This is the efforts of finishing the controversy of Simseongigi(心性二岐) and the efforts of finding the relation between Simseon(心善). Such thoughts are set before the Horaknonjaeng and basing on these influences, scholars of Hohak formed their thoughts and insisted the Gibulyongsa(氣不用事 未發氣質有善惡).

호락논쟁(湖洛論爭)에 관한 선행 연구는 오상논변 미발논변 등을 중심으로 상당한 성과를 이루었다. 이러한 일련의 연구 성과 속에서 권상하의 철학사상은 비교의 차원으로 함께 다루어지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그의 철학사상의 면모는 거의 드러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를 중심으로 하는 개별연구가 아닌 관계로, 어떤 점이 호학(湖學)[호론(湖論)]의 선하(先河)로서의 그의 철학사상의 한국유학사상사적 위상인지 명확하게 파악하기는 어렵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수재집(?水齋集)"에 나타난 심성(心性)의 개념 이해를 중심으로 권상하(權尙夏)의 심성론(心性論)을 검토하면서, 호학[호론] 형성의 선하(先河)로서의 그 사상사적 위치를 짚어보았다. 권상하는 호락논쟁이 본격화된 1709년 이전에, 기질지성(氣質之性) 내에서 본연지성(本然之性)[성선(性善)]을 확보할 수 있다는 일성(一性) 이해를 바탕으로 한, 오상편전(五常偏全)의 인물성상이(人物性相異)로 그의 입장을 이미 정리하고 있었으며, 호학[호론]의 학자들은 이러한 영향아래 자신들의 사유를 형성하고 호락논쟁 과정에서 오상편전(五常偏全)[인물성상이(人物性相異)]을 주장하였다. 권상하는 성(性)을 중심으로 한 심성일물(心性一物)의 관점에서 허령(虛靈)한 심(心)의 주재성(主宰性)을 인정하지 않았다. 이것이 제자 한원진(韓元震)과 윤봉구(尹鳳九)가 말한 '심성이기(心性二岐)의 의논과 의혹을 종식시키고 평정한 공(功)'이며, 한원진이 말한 '성선(性善)의 필연을 밝힌 공(功)'이다. 이 논리 역시 호락논쟁이 본격화되기 전에 이미 정립되어 있었으며, 호학[호론]의 학자들은 이러한 영향아래 자신들의 사유를 형성하고 호락논쟁 과정에서 기부용사(氣不用事)[미발기질유선악(未發氣質有善惡)]를 주장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