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about the current infra-structural status of the aged care work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ong-term care in Germany

독일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인프라 구축 현황에 대한 연구

  • 이상명 (고려대학교 경제연구소)
  • Received : 2012.07.06
  • Accepted : 2012.08.12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Currently in Germany, there is talk of 'state of emergency care', which is addressed to the problems of quality assurance in aged care and shortage of aged care worker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aging German society, the federal government has set itself the goal of providing high qualified care givers through a systematic and on a high level of professional training opportunities. Various projects and measures have been carried out to improve the reputation of the primarily care profession in society and for the purpose of attracting especially young trainees for the aged care professions. The present work considers training and qualifications in the long-term care sector in Germany; it points out both the characteristics of aged care education and the learning content in the aged care education and attempts to highlight what roles and perception of tasks contained therein.

현재 독일은 '케어비상사태(Pflegenotstand)'라는 말이 등장했을 정도로 '요양서비스 질과 인력부족(Qualit't der Pflegeversicherung und Mangel an Pflegekr?fte)'의 위기에 직면해 있다. 독일 정부는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체계적이고 수준 높은 교육을 통해 전문지식을 갖춘 노인요양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정하였으며, 노인요양사라는 직업의 사회적 이미지와 위상을 높임으로써 직업에 대한 선호도를 높이는 것과 특히 젊은 세대를 노인요양인력 유치 주요대상자로 선정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노인요양직업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심어 주고,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데 필요한 대책을 마련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본 논문의 주요관점은 독일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요양사의 전문성을 고려한 교육체계에 초점이 맞춰있으며, 독일의 노인요양인력 양성 교육내용과 시스템과 더불어 교육내용에 내포되어 있는 노인요양인력의 역할 및 업무와 사회적 위치가 어떠한지를 알아보며, 독일의 노인요양사 인프라 구축 대안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소개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