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eoheon's Recognition of Geography and the Significance of the Compilation of Geographical Records by His Disciples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의 지리인식(地理認識)과 문인(門人)들의 지지편찬(地誌編纂) 의의
Abstract
Yeoheon Jang Hyeongwang(1554-1637), one of the greatest Mid-Joseon Confucianists did systematic studies on universe and nature. It can be considered that he inherited the academic tradition of Cho Sik (曺植) and Jeong Gu(鄭逑) and followed their steps of fengshui (風水) and compilation of geographical records. His living and thought and deserve researching with regard to geographical studies.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Yeoheon's recognition of geography in general. In other words, I shall prove that his view of geography is Neo-Confucian. At the same time, I shall discuss how he named people's residence, how he understanded the Joseon territory, what he thought about fengshui, and what significance the complication of geographical records by his disciples had. Yeoheon considered that land is composed of water, fire, earth, and rock, and understanded the land according to the theory of Zhouyi (周易). He analyzed geographic environments by the system of Zhouyi. His study of geography is basically intended for practical use, and as a result is necessary for people to choose where to live and where to cultivate. In his opinion, it is essential to divide the land of the Joseon by means of geographical differences in order to help people to find a better place to live. We can see his Confucian view from the fact that he placed a greater emphasis on human beings over nature. Therefore, the practical use for humans is the first priority in his study of geography. Meanwhile, he considered nature itself as only the object of study. He realized the vitality of life by making a close observation of nature and attained the mind of the Heaven and Earth in a detached way. He, as a follower of Neo-Confucianism, enjoyed the land by feeling comfortable with his present status and by being satisfied with himself. He put his Confucian view of universe and world into practice in his life. As a part of his efforts, he named his residence and surrounding natural environments with the polar star and 28 stars, and accordingly they are reconstructed in a system of universe. The Confucian tradition of dongcheon gugok (洞天九曲) starting with Zhu Xi's administration of wuyi jiugu (武夷九曲) was widely prevalent during the Joseon period, but Yeoheon's system of organizing places is original. His sense of naming places reflects his ideas of following his predecessors, comparing natural objects to human emotions, and desiring to live in retirement. Yeoheon understanded the Joseon territory with comparison of the Chinese land. He expressed his knowledge in the form of changing geographical features of a district, appreciating natural beauty, locating towns, and being familiar with a region, and proposing his own climatology and view of the reality. His recognition of the Joseon territory resolves itself into the following several points. He regarded the Joseon territory as one organism, and considered the territory to be composed of ki (氣) as Neo-Confucianists usually do. In addition, he understanded not only natural environments but also towns from a perspective of the fengshui and adopted a comparative methodology in dividing regions. He also applied climatology to analyze persons and customs. He employed the methodology of fengshui from the comprehensive theory of the Yijing. It is because he was influenced by Cho Sik and Jeng Gu. Yeoheon chose dwelling places for people, or gave advice on several places of his hometown relying on his knowledge of fengshui. When it comes to his theory of fengshui, he agreed with the theory of topography with regards to the fengshui of tombs, but criticized the custom of delaying funerals in order to turn fortune in one's favor. In addition, he accepted that it is necessary to complement a town by creating forests around it.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Yeoheon's disciples complied several geographical records. It proves that they inherited the tradition of "valuing practical use and governing on behalf of the people" from Cho Sik and Jeong Gu. Yeoheon put a great emphasis on geographical records and encouraged his disciples to compile them. In other words, he emphasized that they, as administrator or intellectual, need to be erudite in the history and custom of a region where they have lived, and have to establish a standard to encourage or warn people in the region while considering the geographical records. His opinion functioned as a guideline for his successors to compile geographical records later. This paper only analyzed several facts with regard to Yeoheon's knowledge of geography and an academic tradition concerning the study of geography. In the future, I shall discuss how his predecessors and successors understanded geography and how the tradition of compiling geographical records was transferred and developed between them. I believe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stablishing the history of geography, which the Joseon Confucianists researched for a long time but we have not paid an enough attention to until now.
여헌 장현광(1554-1637)은 조선중기를 대표하는 유학자이면서 우주론과 자연학을 가장 체계적으로 저술한 사람이다. 조선조 유학의 지리적인 학맥에서 여헌은 남명 조식과 한강 정구의 학풍을 이어받으면서 풍수와 지지편찬을 계승한 사람으로 자리매김 될 수 있다. 여헌은 주자학에 영향을 받았지만 역학(易學)의 기틀을 견지하였으며, 사변적인 공리공론에 머무르지 않고 실용적 경세학(經世學)으로서의 지리를 인식하였다. 여헌의 지리인식 방법은 역학(易學)의 체계와 구도 상에서 이루어졌다. 여헌은 자연에 대한 인간 본위(本位)의 인식태도를 드러내며, 따라서 인사의 공능이 지리의 조건보다 우선되는 준칙이었다. 여헌에게 산수와 자연은 비덕(比德)의 공부대상이었고, 자연공부 방법은 대상물의 관찰을 통해 생명의 이치를 자득하고, 무심한 경지를 통해 천지의 마음에 이르는 것이었다. 유학의 가르침을 삶의 지침으로 삼았던 여헌에게 있어서 낙토(樂土)는 안분자족(安分自足)함에서 얻어지는 것이었다. 여헌에게 지리인식의 의의는 생활의 실용적인 이익 됨에 목적을 둔 필수적인 지식정보였다. 여헌은 은거지의 생활현장에 자신이 견지한 유학적 우주관과 세계관을 '우주사업'의 일환으로 구현하였다. 이러한 의식과 태도는 주거지의 장소경관과 자연경물(自然景物)을 북극성과 주위 28수의 별자리로 상징화하여 명명하고 우주적 중심 공간으로 구성하는 방식으로 나타났다. 주자의 무이구곡(武夷九曲) 경영에서 비롯된 유학자들의 동천구곡(洞天九曲) 전통은 조선시대에 유행되었지만, 여헌의 장소 구성 체계는 여타의 형태와 방식을 뛰어넘은 우주적 구도의 독창성이 있다. 여헌의 장소 명명 의식에는 선현을 본받고자하는 태도, 자연물의 형용과 성정에 대한 비덕(比德), 그리고 은거(隱居) 의식의 반영이 나타난다. 여헌의 국토관 및 국토이해는 지형개관, 산수이해, 도읍입지, 지역이해, 풍토론, 현실인식의 방식으로 체계적으로 드러나고 중국의 지리적 조건과도 비교되어 파악되었다. 그의 국토인식과 이해방식은, 국토의 유기체적인 인식, 주자학의 자연관이 반영된 기적(氣的)인 국토인식, 산천 인식과 도읍 입지의 풍수적 이해, 지역구분을 통한 비교론적 이해, 인물과 풍속에 대한 풍토론적 이해 방식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여헌은 역의 포괄적인 사상체계 범주에서 풍수도 수용하였다. 그가 풍수를 수용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남명과 한강을 계승하는 학풍에서 연유되는 바가 있었다. 여헌은 풍수지식을 활용하여 주거지의 입지를 정하기도 하였고, 고향 연고지의 여러 곳에 대해 풍수적 견지로 언급하기도 했다. 그의 풍수관을 보면, 묘지풍수에서 형세론적 이치는 수긍하고 있지만 장례기일을 미루는 발복 목적의 행위는 비판하였다. 그리고 고을의 풍수에서 숲의 조성을 통한 비보의 필요성을 인정하였다. 이러한 풍수관은 문도(門徒)들의 지지편찬에도 일정하게 반영되었다. 여헌 학풍에서 주목할 만한 지리학적 특징으로 꼽을 수 있는 것이 지지(地誌)의 편찬이다. 이것은 남명과 한강의 치용(治用) 정신과 경세적(經世的) 실천을 계승한 학풍이기도 했다. 여헌은 지지를 중요시하게 생각하면서 문인들에게 편찬을 독려하였다. 고을의 통치자나 지식인으로서 지역의 역사와 옛 일을 잘 알아야하고, 권면하고 징계하는 기준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여헌의 견해는 이후 문인들의 지지편찬 취지와 내용 구성에 지침이 되었다. 이 연구는 여헌의 지리인식에 관한 사실적인 면모의 정리와 지리적 학풍의 계승 맥락에 관한 고찰에 그친 한계가 있다. 다음에는 여헌 전후 유학자들의 지리인식과 지지편찬 전통이 어떻게 전승되면서 전개 발전되었고 질적으로 변천해 나갔는지를 살피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학계에서 공백으로 남아있는 조선 초 중기 유교지식인의 지리학사를 정립하는데 일조할 수 있으리라 믿는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