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mwon poetry of Maewol-dang Sayou-rok and the local color of

매월당 사유록의 남원(南原) 시문과 만복사저포기의 향토성

  • 강석근 (동국대학교 교양교육원)
  • Received : 2012.08.28
  • Accepted : 2012.09.21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This paper treats indigenous themes on of Kim Si-seup(金時習). has strong local color to the others of "Keumoh-shinhwa(金鰲新話)". This novel is set in Nam-won(南原) and Manbok-sa (萬福寺)which are used to realize the subject. Not only a folk game like Jeopo is used as important tool, but the main character of the novel is native Namwon man. Kim Si-seup stayed for a long time in Namwon. Because of this experience, he can realize unique and local setting, and then can break from the convention about a place setting of classic novel. The local color on is confirmed at . This tale have come down in Namwon, and then was recorded early 1970s. This tale is very similar with , so many researchers understood that the tale is the orginal work of . However, I suggest that is the orginal. Written with Chinese character, was very difficult to read. Besides, many Chosun scholar couldn't find this novel. Nevertheless, has a strong local color, so many Namwon people could accept this novel, and could create new folk tale easily.

이 글은 김시습의 <만복사저포기>에 나타난 향토성을 해명한 논문이다. <만복사저포기>는 "금오신화"의 다른 작품에 비해 향토성이 매우 진한 작품이다. 남원과 만복사는 이 소설의 주된 배경으로, 주제를 구현하는데 밀도 있게 활용되었다. 또한 저포(樗蒲)와 같은 민속놀이가 중요한 도구로 사용되었고, 주인공은 남원(南原)의 토성(土姓)인 양씨였다. 양생이 귀녀(鬼女) 하씨(何氏)와 만나 사랑을 나누던 만복사와 하씨의 무덤이 있던 개령동, 양생이 하씨와 영원히 헤어진 뒤 약초를 캐다가 사라진 지리산은 지극히 향토적인 공간이다. <만복사저포기>의 향토성이 두드러질 수 있었던 이유는 김시습이 오랫동안 남원에 체재한 적이 있었기 때문이다. 김시습이 이런 경험을 토대로 이 작품에서 개성적이며 향토적인 배경을 구현할 수 있었기 때문에 <만복사저포기>는 많은 고소설들이 가진 장소적인 전형성(典刑性)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만복사저포기>의 향토성은 <만복사의 양생설화>에서도 확인된다. 남원지방에서 전래되어 오던 <만복사의 양생설화>는 1970년초에 채록되었다. 이 설화는 <만복사저포기>와 매우 비슷하여, 이 설화를 <만복사저포기>의 근원설화로 보는 학자도 있었다. 하지만 필자는 <만복사저포기>의 아류작으로 판단한다. <만복사저포기>는 아주 어려운 한문 소설이며, 조선시대 선비들도 쉽게 접해 보지 못했던 희귀소설이 <만복사의 양생설화>의 발생과 전승에 영향을 미칠 수 있었던 주된 요소는 바로 <만복사저포기>의 향토성이다. 이런 향토성으로 인해, <만복사저포기>가 남원의 민중에게 쉽게 수용되었고, 이후 민간 설화로 거듭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