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Qualitative Study on the Process of Group Mentoring -With a Focus on the Types of Relationships among Participants-

집단멘토링의 참여과정에 관한 연구 -멘티의 관계 유형을 중심으로-

  • Park, Hyun-Sun (Graduate School of Policy Science, Sejong University) ;
  • Lee, Hyun-Joo (Dept of Social Welfare, Sungkyunkwan University) ;
  • Seo, Min-Jeong (Graduate School of Administration, Sejong University)
  • 박현선 (세종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 이현주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서민정 (세종대학교 행정대학원)
  • Received : 2012.10.04
  • Accepted : 2012.12.21
  • Published : 2012.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ss of relationships among participants in a group mentoring program. Sixteen youths who participated as mentees in a group mentoring program were theoretically sampled and participated in in-depth interviews. The analysis was based on Strauss and Corbin's grounded theory approach(1990). The result shows that the qualitative text data were classified into 14 categories and 31 sub-categories. Four different types of mentees' experiences were identified: 'expanded mentoring relationship', 'peer-oriented relationship', 'task-oriented relationship' and 'avoidant relationship'. Through a process analysis, four stages including 'stage of exploring', 'stage of establishing relations', 'stage of conflict' and 'stage of expanding relations' were discovered.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intervention and policy development were discussed based on these findings.

본 연구에서는 집단멘토링 참여 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다양한 관계유형을 멘티의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서 학습지원을 매개로 하는 집단 멘토링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16명의 멘티를 심층면접하고, 그들의 참여 과정을 Strauss와 Corbin(1990)의 근거이론 접근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31개의 하위범주와 14개의 상위범주가 추출되었고, '넓어지고 깊어지는 끈끈한 연결망 형성하기'라는 중심현상을 발견하였다. 학업과 사회적 관계망에 대한 막연한 기대를 갖고 집단 멘토링에 참가한 멘티들은 집단안에서 멘토와 친밀하고, 깊은 일대일 관계를 경험할 뿐만 아니라 또래 멘티들과의 협력적 관계도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친밀하고, 신뢰로운 관계의 경험은 학업에 대한 동기나 태도를 바람직하게 변화시키고, 실제 성적 향상이라는 긍정적인 결과로 이어졌다. 그러나 멘토의 능력, 예를 들면 관계형성기술이나 집단 운영 능력에 따라 학업성취라는 구체적인 과업 산물은 물론 집단 내에서의 관계지향적 산물 또한 부정적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이에 주요 조건에 따라 집단멘토링 참여 과정에서 나타나는 관계의 유형을 분석한 결과, 비교적 성공한 관계 유형으로 볼 수 있는 '멘티-멘토 간 확장적 관계 유형'과 부분적으로나마 긍정적인 효과를 본 '또래 관계 결속형'이나 '과업지향적 관계 유형'을 도출하였지만 '관계 및 과업 포기형'과 같이 부정적인 결과로 이어진 실패한 유형도 발견하였다. 또한 이러한 관계 유형들의 출현 과정은 시간적 순서에 따라 '탐색기', '형성기', '갈등기', '심화 확장기'로 구분할 수 있었다. 결론에서는 본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집단멘토링의 적극적 활용을 위한 다양한 실천적 지침을 논의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