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Geomorphological Features of Dongcheon-gugok in Korea

우리나라 동천구곡의 지형경관

  • KEE, Keun-Doh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기근도 (경상대학교 지리교육과)
  • Received : 2012.09.26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This work is to describe the geomorphological landscapes of of Dongcheon-gugok in Korea, and attempts to develop a basic data for traditional natural heritage. Dongcheon-gugok is a union of natural lanscape and human mind-activity. Therefore the study of natural landscape, which consists of geomorphological landscapes, provides a basic data for the use and conservation of traditional natural heritage. Dongcheon-gugok in Korea is almost distributed in the valley of mountainous areas of Taeback and Soback Mountain Ranges. The bedrocks of the areas of Dongcheon-gugok are almost granitic rocks and sedimentary rocks. The landscapes of Dongcheon-gugok is characterized by narrow meandering valley, so Gugok means nine-bended river. The elements of the geomorphological features is a broad flat rock with sheeting joints, joint-block seperated large blocks or tor, steep slope and rocky cliffs, pool, ripple, large or small scale waterfall, pot-hole, etc.

동천구곡은 자연지형과 인간 심성활동의 결합체이다. 본 논문은 동천구곡의 장소성과 경관 이미지를 구성하는 기본요소인 지형경관의 특성에 대하여 조사 확인한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우리나라 동천구곡은 주로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의 산지 지역에 주로 입지 분포하며, 이는 인근에 위치한 양반의 계거촌과 관련이 있다. 동천구곡이 자리 잡은 지역의 기반암 특성이 지형경관 특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화강암과 퇴적암 경관이 이를 가장 대표한다. 우리나라 동천구곡은 산지 내부를 흐르는 곡류하도에 주로 입지하여, 곡류하도 주변에 나타나는 다양한 지형요소들이 주요 경관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주요 지형요소로는 봉우리, 소규모 평탄면, 토르, 수직절벽, 폭포, 여울, 소, 포인트바, 그리고 너럭바위, 거력, 암설사력퇴, 마식된 암반하상과 포트홀 등이 있다. 이를 동천구곡에서는 대(臺) 암(巖) 봉(峰) 벽(璧) 벼리(遷) 학(壑) 반석(盤石) 천(泉) 폭(瀑) 담(潭) 연(淵) 추(湫) 소(沼) 천(川) 탄(灘) 등으로 칭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경상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