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mative Ages and Processes by Types of Natural Abandoned Channels in Korea

우리나라 자연 구하도의 유형별 형성시기와 형성과정

  • LEE, Gwang-Ryul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Teachers Colleg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이광률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Received : 2012.04.26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The formative ages and processes of five natural abandoned channels in three types in Korea are studied. The former meandering channel in Seongsandong, Uljin-gun was abandoned due to the neck-cutoff of incised meander, Wangpi River in approximately 2.5~2.6ka and the abandoned channel in Bulyeong Temple, Uljin-gun was formed by the neck-cutoff of Wangpi River in approximately 90ka. Deduced from these results, it is judged to favorable for formation of abandoned channels by incised meander cutoff in interglacial or interstadial stages that had a better condition for meander cutoff because of active lateral erosion. Due to the corrosion of limestone joints in the underground of ridges between Hwangji River and Cheolam River, the channel in Gumumso, Taebaek-si was abandoned by the stream piracy connecting and combining the rivers into a limestone cave in approximately 40ka and higher lower reaches of Dong River than Banbyeon River in Seonbawi, Yeongyang-gun was turned to the abandoned channel throughout the stream piracy between the rivers in approximately 1.4ka. During Last Glacial Maximum in Jangcheon-ri, Chungju-si, Namhan River was divided into the eastern and western tributaries due to the alluvial island in approximately 10ka and then the western tributary was abandoned recently.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3가지 유형의 5개 자연 구하도를 대상으로 형성시기와 형성과정을 분석하였다. 울진군 성산동 구하도는 약 2만5천~2만6천 년 전에 왕피천의 감입곡류 목 절단이 발생하면서 이전의 곡류부가 구하도로 변화되었고, 울진군 불영사 구하도는 약 9만 년 전에 감입곡류가 매우 심한 왕피천에 의한 곡류 목절단으로 형성되었다. 이를 통해 추론하면, 감입곡류 목 절단 구하도는 활발한 측방침식에 의해 목 절단이 발생하기 좋은 간빙기 또는 아간빙기의 후반에 주로 형성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태백시 구문소 구하도는 황지천과 철암천 사이 능선부 지하의 석회암에서 발생한 절리의 용식작용으로 인해, 약 4만 년 전에 두 하천이 동굴로 연결되어 합쳐지는 하천쟁탈 과정으로 형성된 것이며, 영양군 선바위 구하도는 약 1만4천 년 전에 동천과 반변천 사이의 하천쟁탈로, 고도가 높은 동천의 하류 쪽 유로가 구하도로 변화된 것이다. 그리고 충주시 장천리에서는 지난 빙기 최성기를 거치면서 약 1만년 전에 형성된 하중도로 인해 남한강의 유수가 동서로 분류되었고, 서쪽의 유로가 최근에 들어 구하도로 변화되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