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al network and child education planning among Mongolian migrant workers: Focusing on parents' school choice in Seoul Mongol School and its meaning

이주근로자 가정의 사회적 관계망과 자녀교육 기획 : 몽골학교 학부모들의 학교선택과 그 의미화를 중심으로

  • Published : 2012.02.29

Abstract

This qualitative study explores how Mongolian migrant workers, with a marked tendency for family migration, plan and put into practice their child's education and attach meaning to it in relation to the social network they form during their stay in Korea. Specifically, it analyzes in particular ways the social network Mongolian migrant workers form affect their settlement in Korea, the process by which the social network affects their planning of their child's education, and how the education planning and its realization lead to the formation of new social networks. The results show that parents were divided between those who made a deliberate decision in sending their child to the Seoul Mongol School as a part of their plan and those who chose the school due to forced circumstances. While some parents preferred the Seoul Mongol School over regular Korean schools for their child's education and future, others sent their child to the Seoul Mongol School, regardless of their preference, because they did not have access to information about regular Korean schools, were afraid of divulging their illegal status, or were afraid their child would not be able to adjust to the school life in Korean schools. Based on such analysis, this paper stresses the urgency of further research in this area, and suggests direction for future policy measures.

이 연구는 가족이주의 특성이 두드러지는 몽골 이주근로자 가정 학부모들이 한국사회에서 체류하는 동안 어떻게 자녀교육을 기획하고 실천하며 의미화 하는지를 그들이 맺는 사회적 관계망과의 연관 속에서 탐구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몽골 이주근로자 가정의 사회적 관계망이 한국사회 정착 과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며, 어떤 과정을 통해 자녀교육 기획으로 연결되는지, 그리고 자녀교육 기획과 실천이 어떻게 다시 새로운 사회적 관계망 형성과 연결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몽골학교 학부모들이 한국에서 자녀교육 공간으로 몽골학교를 선택하는 사례는 적극적 선택과 소극적 선택으로 나눌 수 있었다. 적극적 선택은 자녀교육 계획과 향후 진로 등을 고려하여 의도적으로 자녀를 한국의 일반학교에 보내지 않고 몽골학교로 취학시키는 경우이고, 소극적 선택은 한국의 일반학교에 자녀를 보내고 싶지만 취약한 정보력, 부모의 신분노출 위험, 자녀의 부적응에 대한 두려움 등의 이유 때문에 차선책으로 몽골학교에 자녀를 취학시키는 경우라고 할 수 있다. 이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의 필요성과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