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공간 인식의 비절대성과 의미 변화 연구 - 양귀자의 연작소설 『원미동 사람들』을 중심으로 -

A Study on Non-absoluteness and Change of Space Recognition- Focused on Wonmi-dong People, a series of novels -

  • 발행 : 20120000

초록

공간은 절대성을 지니지 않는다. 그것은 공간을 인식하는 양상에 따라서 달리 나타나는 일종의 구성체이다. 때문에 작중인물의 현실인식 양상을 면밀히 검토하는 것은 작품을 이해하고 공간성을 확인하는 전제가 된다. 원미동이라는 동네의 이름은 두 가지 의미를 갖는다. 하나는 아름다움은 멀리 있는 동네라는 뜻이며, 다른 하나는 멀리 있기 때문에 아름다운 동네라는 뜻이다. 전자에서 말하는 아름다움은 추상적 형태의 아름다움으로 이상향과 도덕성이다. 후자가 말하는 아름다움은 인간적 형태의 아름다움으로 주체성, 능동성, 협력을 가리킨다. 본 연구에서 살핀 원미동은 두 가지 모습의 아름다움이 혼종 되어 나타나는 동네이다. 원미동, 크게는 부천의 지역성은 서울과 관련짓기보다 원미동에 살고 있는 이들의 관념, 다시 말하자면 변화하지 않으며 고정된 이상향과 비교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향 속에 있는 상상된 존재들에 의해 원미동 사람들의 욕망이 발현되고, 그들과 같은 삶을 살아야 함을 인식하는 행위에서 이상향은 제국의 성격을 지니게 되었다. 따라서 중앙과 위성의 구분은 서울과 부천이 아니라 관념과 부천이 되어야 마땅하다. 그러기에 부천의 지역성은 서울의 위성도시로 제시되어서는 안 된다. 관념과 대비되는 실제로 나타나야 한다. 즉 실제로서 부천은 계속해서 변화하는 지역이며, 관념이 제시하는 가치관을 따라야만 하는 타자적 공간이 아닌 주체성을 확보하고 능동적으로 살아가는 공간이다. 지역성의 문제는 관계의 문제이고, 관계론에서 실체는 존재하지 않는다. 원미동 사람들이 욕망의 대상으로 관계를 맺는 것은 실체로서의 서울이 아니라 관념으로서 도시이다. 관념과 실제의 관계에 놓이는 공간은 서울과 부천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왜 원미동이 위성의 대표가 되어야만 하는가를 생각해본다면, 원미동이라는 이름이 갖는 이중적 상징성 때문일 것이다. 이상의 것들을 종합하여 볼 때 원미동의 아름다움은 멀리 있는 동네로만 읽혀서는 안 된다. 오히려 관념이 권유하는 아름다움은 멀리 있기 때문에 인간으로서의 아름다움이 나타나는 동네라는 재해석과 더불어 공간 개념 역시 더욱 넓어져야 할 것이다. 원미동의 사람들은 관념을 좇아 살아가는 허수아비가 아닌 현실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주체적이며 능동적으로 살아가는 실존하는 사람들이다. 관념의 타자화를 거부하고 시간의 흐름 안에서 변화하는 개인들이다. 이렇듯 원미동은 상상된 존재와 제국으로부터 벗어나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개인들이 모여 사는, 시골에서 도시로 이행하고 있는, 시간과 공간의 변화 과정에 있는, 아름다운 동네이다.

Space does not possess absoluteness. It is a kind of structureshowing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aspects of your space recognition.Thus, it is the premise of understanding a literary work and checkingthe characteristics of space in the work that we carefully examine theaspects of awareness of reality of a character in the story.Wonmi-dong, the name of a town, holds two meanings : the town faraway from beauty, and also the town that is beautiful because it is faraway. The former means the abstract beauty, the ideal world andmorality. The latter means the beauty of humanity, such asindependence, activeness, cooperation. Wonmi-dong studied in thisresearch is the neighborhood that often shows the two kinds of beautytogether.The locality of Wonmi-dong, largely that of Bucheon, should becompared with the residents' ideal world, that is, their fixed idea ofEutopia, not to be changed, rather than getting related to Seoul. Thedesire of Wonmi-dong people was revealed by imaginary beings in theideal world, and through their conducts of recognizing that they shouldlive like them, the Eutopia gained the characteristic of an empire.Therefore, it is natural that the division of a major city and a satellitecity should not be Seoul and Bucheon but be their ideal world andBucheon, In other words, the locality of Bucheon should not besuggested as the satellite city of Seoul. It must be presented as realitycontrasted with idea. Thus, Bucheon as reality, is the area that keepschanging, not the space of the others where they have to follow the values suggested by their ideas but the active space securing its ownindependence.The matter of locality is the matter of relations, and in humanrelations there is no substance. What Wonmi-dong people establishrelations with as the object of their desire is not Seoul but an ideal city.Space of relation between idea and fact does not lie only in Seoul andBucheon. However, when we think why Wonmi-dong should be therepresentative of satellite cities, it is the ambiguous symbolismWonmi-dong conveys in its name.After taking everything into consideration, the beauty of Wonmi-dongcannot be interpreted as the town that is far away. It should be ratherretranslated as the town where the beauty of humanity exists since thebeauty given by idea is far away, so the concept of space should beeven more broadened. Wonmi-dong people are not scarecrows chasingabstract ideas but existent people who lead active and independent livesaccepting reality. They are individuals who deny othering of notion andlead changes within the flow of time. In this way, Wonmi-dong is thebeautiful town where active and subjective individuals live togetherindependent from imaginary beings and empire, shifting from country tocity, in the middle of change of time and spac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