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이광수의 장시 「극웅행」의 상호텍스트성 연구

A Study on Intertextuality of “GeukungHaeng” by Lee GwangSoo

  • 발행 : 20120000

초록

1917년 『학지광』에 발표된 이광수의 「극웅행」은 서사성과 운문성을 갖춘 근대 서사시로 볼 수 있는 작품이다. 서사시로서의 조건을 갖추었느냐에 대한 논의는 배재하고 당대의 문학사적 측면에서 새롭게 창조된 서사시적 가치를 인정하여 탈장르적인 시각에서 기법적 특징을 살필 수 있다. 「극웅행」은 다성적 서술양식을 갖춘 특징이 있다. 먼저 이 작품은 전통적인 구비문학의 다양한 장르를 패러디한 상호텍스트성이 있으며 여러 장르의 특징을 내적으로 서로 연관된 구성을 하고 있다. 전통구비문학의 서사형식인 서사무가, 단군신화, 환몽서사, 판소리 사설 등의 장르를 복합적으로 패러디 한 혼성모방의 상호텍스트성이다. 이 작품은 단군신화와 환몽서사를 혼성하여 기본 서사로 삼고 있으며, 작품의 배경은 서사무가의 ‘창세가’를 수용하고 있고, 주인공은 단군신화의 ‘곰’을 ‘극웅’으로 패러디 하고 있으며, 환웅과 웅녀의 결합을 패러디하여 극웅과 선녀의 결합 모티브를 꿈으로 형상화 하였고, 이 꿈을 환몽서사로 차용하여 환상적이고 낭만적인 애정서사를 구축하고 있다. 또한 이 시의 전편에 흐르는 리듬은 판소리 사설의 운율을 적극 수용하여 서사시의 구연성을 높여줌과 동시에 작품의 통일성을 얻는 데 기여하고 있다. 이와 같이 「극웅행」은 서정적 요소와 서사적 요소를 동시에 지닌 서사시를 창작하려는 실험성이 돋보인 작품으로 탈장르적 관점에서 창조된 서사시로 볼 수 있다. 이로써 1920년대 서사시의 출현을 좀 더 앞당겨 1910년대 서사양식을 적극적으로 수용한 근대 서사시로 볼 수 있는 여지를 준다.

Lee GwangSoo's poem, “GeukungHaeng” published on theHakjikwang in 1917, seems to be the first modern epic both with itsown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and verse. In this article, I just focuson technical quality of this poem from the out-of-the-genres point ofview acknowledging the narrative value of this poem which wasrecreated in literary history of those days.“GeukungHaeng” has polyphonic narrative style in many ways. Firstof all, this poem has intertextuality or mixed-mimetic intertextuality,using the various kinds of traditional oral literature parodied andinterconnects some various genres, including epic-ballads which was thetraditional oral literature, the myth of DanKun, the narrative of anempty dream, ‘dictions of Pansori’. The basic narrative of this poem isthe myth of DanKun and the narrative of an empty dream mixed, butthe setting of this poem is ‘the song of creating the world’ inepic-ballads, and the hero, ‘Geukung’, is parodied from the bear in themyth of DanKun, and the marriage of the two characters, ‘Hoaungung’and ‘the nymph’, was the parody of that of HhanWung and The Wooyuthrough dream, which was borrowed from the narrative of an emptydream constructing a kind of fantastic and romantic love narrative.Furthermore, the rhythm of this poem is received from that of ‘Pansori’, which raises the orality of this poem, giving lots of totality to thispoem.In these respects, I regard this poem, “GeukungHaeng” as an epiccreated from the out-of-the-genres point of view with the poet'sexperimental sense, which aimed to write a poem both with lyric andnarrative elements. Therefore, I want to regard this poem as a modernepic which received the narrative style of 1910s before the narrativestyle of 1920s emerg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