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ative Studies on Figures Appeared in Moral Education Textbooks for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s in Korea and Japan

한국과 일본의 초·중학교 도덕 교과서에 나타난 인물상 비교연구

  • Received : 2012.07.15
  • Accepted : 2012.09.17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monstrate the characteristics of ideal figure aimed by the moral education of both Korea and Japan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escriptive content and characters' tendency appeared in the moral education textbooks published in accordance with the current moral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and Japan.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tendency of real persons appeared in the moral education textbooks in both countries. To be specific, this study attempted a quantitativ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haracters' tendency by expressing the distribution of the characters by appearance time, male-to-female ratio, Koreans and foreigners and characters by occupation and position in percentage. Furthermore, it attempted to demonstrate the particular emphasis in values and virtues in both countries by examining the moral values derived from the characters' decency, way of life and teachings and expressing the distribution of the characters by value and virtue in percentage.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현행 도덕교육 교육과정에 준거하여 발행된 초 중학교도덕 교과서에 나타난 등장인물의 성향과 서술내용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양국의 도덕교육이 지향하는 인물상의 특징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양국의 도덕 교과서에 등장한 실존인물의 성향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는 출현시대 별 인물의 분포, 남녁성비와 내 외국인 분포, 그리고 직업 및 신분 별 인물의 분포를 각각 전체 백분율로 나타냄으로써 인물의 성향에 대한 양적 비교분석을 시도하였다. 나아가 등장인물의 인품이나 삶의 모습, 그리고 가르침 등에서 도출할 수 있는 도덕적 가치를 살펴보고, 가치 덕목 별 인물의 분포를 전체 백분율로 나타냄으로써 양국의 가치 덕목의 강조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