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a Smart Education Model for Field Application of Smart Education

스마트교육 현장 적용을 위한 스마트교육 모형 개발

  • Received : 2012.09.12
  • Accepted : 2012.10.16
  • Published : 2012.10.31

Abstract

To explore the directions of 'Smart Education', we conduct a delphi survey field experts related to it recognized new educational paradigm of 21st century. As a result we can deduct common ground on educational goal, contents, method, evaluation, environment of 'Smart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we develop a Smart Education Model to be able to provide a guide in the field. It is a systemic education model consisting of interrelated educational contents, method, evaluation, and environment of 'Smart Education' organically for education goal (e.g., Smart education should spread out for students living on 21st century to solve the problem with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enhance creativity, and build their good character). We anticipate that this study will be useful in the field.

본 연구에서는 21세기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으로 인정받고 있는 스마트교육이 실제 학교 현장에서 어떤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하는지 그 방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스마트교육 관련 현장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스마트교육의 교육목표, 교육 내용, 교육 방법, 교육 평가, 교육 환경으로 구성된 각 영역에서 전문가들의 합의점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실제 교육 현장에서 지침을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교육 모형을 개발하였다. 스마트교육 모형은 21세기를 살아갈 학습자들이 협업과 의사소통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창의성을 높이며 바른 인성을 함양하도록 전개되어야한다는 교육 목표 아래, 교육 내용, 교육 방법, 교육 평가, 교육 환경이 일관성 있게 유기적으로 연결된 체제적 교육 모형이다. 본 연구가 스마트교육이 실제로 이루어지는 학교현장에 작은 보탬이 되기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연합뉴스, 2012. 08. 31.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01&aid=0005787608.
  2. 강정화, 스마트러닝 활성화를 위한 SNS활용 방안 연구, 디지털정책연구, 제9권, 제5호, pp.265-274, 2011.
  3. 김미용, 배영권, 스마트러닝의 교수․학습 도구로써 3D 콘텐츠 제작 및 활용,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7호, pp.483-496, 2012.
  4. 김영우, 스마트러닝과 스마트워크의 관련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디지털정책연구, 제10권, 제5호, pp.27-35, 2012.
  5. 임걸, 스마트러닝 교수학습 설계모형 탐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제14권, 제2호, pp.33-45, 2011.
  6. 노규성, 주성환, 정진택, 스마트러닝의 개념 및 구현 조건에 관한 탐색적 연구, 디지털정책연구, 제9권, 제2호, pp.79-88, 2011.
  7. 강인애, 임병노, 박정영, 스마트러닝의 개념화와 교수학습전략 탐색: 대학에서의 활용을 중심으로, 교육방법연구, 제24권, 제2호, pp.238-303, 2012.
  8. 교육과학기술부, 스마트교육 추진전략 보도자료, 2011. 06. 27.
  9. 교육과학기술부, 스마트교육 본격 도입을 위한 실행계획 발표 보도자료, 2011. 10. 12.
  10. 임희석, 유길상, 스마트교육을 위한 세계의 ICT 활용 동향, 한국정보기술학회지, 제10권, 제1호, pp.37-43, 2012.
  11. 임걸, 스마트폰 기반 사회네트워크 서비스 활용 수업 사례 연구, 교육방법연구, 제22권, 제4호, pp.91-114, 2010.
  12. 김용, 손진곤, 스마트폰 활용을 위한 초․중등 교육용 이러닝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제12권, 제4호, pp.135-143, 2011.
  13. Stav, J., Nielsen, K., Hansen-Nygård, G., and Thorseth, T., "Experiences Obtained with Integration of Student Response Systems of iPod Touch and iPhone into e-Learning Environments", Electronic Journal of e-Learning, Vol.8, No.2, pp.179-190, 2010.
  14. Baumgart, D., "Smartphones in Clinical Practice,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Vol.171, No.14, pp.1294-1296, 2011. https://doi.org/10.1001/archinternmed.2011.320
  15. 방선희, 이효진, 정재원, 박물관 교육을 위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설계 원리 및 프로토타입 개발, 학습과학연구, 제6권, 제1호, pp.45-64, 2012.
  16. Cheong, C., V. Bruno, V., and Cheong, F., "Designing a Mobile-app-based Collaborative Learning System",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Education, Vol.11, pp.97-119, 2012.
  17. Brady, K. P., Holcomb, L. B., and Smith, B. V., "The Use of Alternative Social Networking Sites in Higher Educational Settings: A Case Study of the E-Learning Benefits of Ning in Education", Journal of Interactive Online Learning", Vol.9, No.2, pp.151-170, 2010.
  18. Huang, Y., Jeng, Y., and Huang, T., "An Educational Mobile Blogging System of Supporting Collaborative Learning", Educational Technology and Society, Vol.12, No.2, pp.163-175, 2009.
  19. 유구종, 김민경, 김은아, 유아교육용 애플리케이션 내용 및 인터페이스 상호작용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7권, 제1호, pp.169-194, 2012.
  20. 안병룡, 이지연, 김은지, 이동화, 임정하, 스마트 미디어를 활용한 실버계층의 자기표현능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 학습과학연구, 제5권, 제1호, pp.115-141, 2011.
  21. 김승준, 김갑수, 형태초점교수법 기반 초등학교 영어 단어 학습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설계 및 구현,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15권, 제2호, pp.223- 231, 2012.
  22. 이은호, 박종국, 김정윤, 김용성, 스마트폰에서 한자 교육 기능성 게임 설계 및 구현,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제24권, 제4호, pp.99-106, 2011.
  23. 이지선, 최재혁, 학습자 요구 분석에 따른 스마트폰 어휘 학습용 어플리케이션의 구현,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제15권, 제1호, pp.43-53, 2012.
  24. 김희봉, 김소현, 박종민,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토론 활성화 방안 도출, 학습과학연구, 제5권, 제1호, pp.79-113, 2010.
  25. 유길상, 혼합현실을 이용한 스마트교육의 기술동향, 한국정보기술학회지, 제9권, 제3호, pp.63-73, 2011.
  26. 이동우, 이성훈, 스마트기술 기반의 융복합 응용 동향 및 미래, 디지털정책연구, 제10권, 제2호, pp.147-152, 2012.
  27. 이금자, 전우천,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상황학습기반 스마트러닝 시스템의 개발, 한국초등교육, 제23권, 제1호, pp.251-268, 2012.
  28. 손원성, 윤민식, 스마트 교육기반 협력 학습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잉킹 효과 연구, 정보교육학회 논문지, 제16권, 제1호, pp.99-106, 2012.
  29. 정의석, 박춘식, 스마트 러닝 환경에서의 디지털 교과서 표준화 전략, 하계학술발표논문집, 제12권, 제1호, 한국인터넷정보학회, pp.355-356, 2011.
  30. 손지영, 김동일, 장애학생을 위한 스마트러닝 환경 구축의 정책적 방향 탐색, 특수교육저널, 제12권, 제4호, pp.453-480, 2011.
  31. Peterson-Karlan, G. R., "Technology to Support Writing by Students with Learning and Academic Disabilities: Recent Research Trends and Findings", Assistive Tecnnlogy Outcomes and Benefits, Vol.7, No.1, pp.39-62, 2011.
  32. Mehigan, T. J., "Harnessing Accelerometer Technology for Inclusive Mobile Learning", Mobile HCI, 2009.
  33. 곽덕훈, 스마트러닝과 스마트러닝 포럼의 의미, 2011 스마트러닝포럼 창립세미나 발표집, 2011.
  34. 이현실, 델파이 조사를 이용한 정보활용능력 교육 항목 개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8권, 제1호, 2004.
  35. 한기순, 델파이 조사를 통한 유아영재교육의 방향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13권, 제3호, 2006.
  36. 최병모, 김정호, 이준혁, 학교 경제교육 방향 탐색을 위한 델파이 조사 연구, 경제교육연구, 제12권, 제1호, 2005.
  37. 허희옥, 임규연, 서정희, 김영애, 21세기 학습자 및 교수자 역량 모델링,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 KR 2011-2.

Cited by

  1. A Study on Grade Comparison Difference Analysis of the Gifted Children in IT vol.15, pp.5, 2014, https://doi.org/10.7472/jksii.2014.15.5.25
  2.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Smart Education vol.13, pp.1,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1.467
  3. A Study on Educational Application of Smart Devices f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Problem Solving Learning vol.15, pp.1, 2014, https://doi.org/10.7472/jksii.2014.15.1.143
  4. 간호교육에서의 스마트러닝 적용에 관한 융합연구의 효과 vol.9, pp.11, 2012, https://doi.org/10.15207/jkcs.2018.9.11.519
  5. 초등예비교원의 SW교육에 대한 인식, 경험의 질적 탐구 vol.23, pp.1, 2012, https://doi.org/10.14352/jkaie.2019.23.1.39
  6. 스마트 교육을 활용한 팀 기반 문제 중심 학습의 효과: 고위험 신생아 간호를 중심으로 vol.25, pp.4, 2012, https://doi.org/10.4094/chnr.2019.25.4.507
  7. Design and Satisfaction Analysis of Embedded IoT Course vol.20, pp.5, 2012, https://doi.org/10.7472/jksii.2019.20.5.19
  8. Elementary teachers’ beliefs and perspectives related to smart learning in South Korea vol.6, pp.None, 2019, https://doi.org/10.1186/s40561-019-0082-5
  9. 대학 원격수업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 M 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vol.23, pp.3, 2012, https://doi.org/10.30807/ksms.2020.23.3.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