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연합뉴스, 2012. 08. 31.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01&aid=0005787608.
- 강정화, 스마트러닝 활성화를 위한 SNS활용 방안 연구, 디지털정책연구, 제9권, 제5호, pp.265-274, 2011.
- 김미용, 배영권, 스마트러닝의 교수․학습 도구로써 3D 콘텐츠 제작 및 활용,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7호, pp.483-496, 2012.
- 김영우, 스마트러닝과 스마트워크의 관련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디지털정책연구, 제10권, 제5호, pp.27-35, 2012.
- 임걸, 스마트러닝 교수학습 설계모형 탐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제14권, 제2호, pp.33-45, 2011.
- 노규성, 주성환, 정진택, 스마트러닝의 개념 및 구현 조건에 관한 탐색적 연구, 디지털정책연구, 제9권, 제2호, pp.79-88, 2011.
- 강인애, 임병노, 박정영, 스마트러닝의 개념화와 교수학습전략 탐색: 대학에서의 활용을 중심으로, 교육방법연구, 제24권, 제2호, pp.238-303, 2012.
- 교육과학기술부, 스마트교육 추진전략 보도자료, 2011. 06. 27.
- 교육과학기술부, 스마트교육 본격 도입을 위한 실행계획 발표 보도자료, 2011. 10. 12.
- 임희석, 유길상, 스마트교육을 위한 세계의 ICT 활용 동향, 한국정보기술학회지, 제10권, 제1호, pp.37-43, 2012.
- 임걸, 스마트폰 기반 사회네트워크 서비스 활용 수업 사례 연구, 교육방법연구, 제22권, 제4호, pp.91-114, 2010.
- 김용, 손진곤, 스마트폰 활용을 위한 초․중등 교육용 이러닝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제12권, 제4호, pp.135-143, 2011.
- Stav, J., Nielsen, K., Hansen-Nygård, G., and Thorseth, T., "Experiences Obtained with Integration of Student Response Systems of iPod Touch and iPhone into e-Learning Environments", Electronic Journal of e-Learning, Vol.8, No.2, pp.179-190, 2010.
- Baumgart, D., "Smartphones in Clinical Practice,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Vol.171, No.14, pp.1294-1296, 2011. https://doi.org/10.1001/archinternmed.2011.320
- 방선희, 이효진, 정재원, 박물관 교육을 위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설계 원리 및 프로토타입 개발, 학습과학연구, 제6권, 제1호, pp.45-64, 2012.
- Cheong, C., V. Bruno, V., and Cheong, F., "Designing a Mobile-app-based Collaborative Learning System",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Education, Vol.11, pp.97-119, 2012.
- Brady, K. P., Holcomb, L. B., and Smith, B. V., "The Use of Alternative Social Networking Sites in Higher Educational Settings: A Case Study of the E-Learning Benefits of Ning in Education", Journal of Interactive Online Learning", Vol.9, No.2, pp.151-170, 2010.
- Huang, Y., Jeng, Y., and Huang, T., "An Educational Mobile Blogging System of Supporting Collaborative Learning", Educational Technology and Society, Vol.12, No.2, pp.163-175, 2009.
- 유구종, 김민경, 김은아, 유아교육용 애플리케이션 내용 및 인터페이스 상호작용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7권, 제1호, pp.169-194, 2012.
- 안병룡, 이지연, 김은지, 이동화, 임정하, 스마트 미디어를 활용한 실버계층의 자기표현능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 학습과학연구, 제5권, 제1호, pp.115-141, 2011.
- 김승준, 김갑수, 형태초점교수법 기반 초등학교 영어 단어 학습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설계 및 구현,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15권, 제2호, pp.223- 231, 2012.
- 이은호, 박종국, 김정윤, 김용성, 스마트폰에서 한자 교육 기능성 게임 설계 및 구현,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제24권, 제4호, pp.99-106, 2011.
- 이지선, 최재혁, 학습자 요구 분석에 따른 스마트폰 어휘 학습용 어플리케이션의 구현,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제15권, 제1호, pp.43-53, 2012.
- 김희봉, 김소현, 박종민,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토론 활성화 방안 도출, 학습과학연구, 제5권, 제1호, pp.79-113, 2010.
- 유길상, 혼합현실을 이용한 스마트교육의 기술동향, 한국정보기술학회지, 제9권, 제3호, pp.63-73, 2011.
- 이동우, 이성훈, 스마트기술 기반의 융복합 응용 동향 및 미래, 디지털정책연구, 제10권, 제2호, pp.147-152, 2012.
- 이금자, 전우천,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상황학습기반 스마트러닝 시스템의 개발, 한국초등교육, 제23권, 제1호, pp.251-268, 2012.
- 손원성, 윤민식, 스마트 교육기반 협력 학습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잉킹 효과 연구, 정보교육학회 논문지, 제16권, 제1호, pp.99-106, 2012.
- 정의석, 박춘식, 스마트 러닝 환경에서의 디지털 교과서 표준화 전략, 하계학술발표논문집, 제12권, 제1호, 한국인터넷정보학회, pp.355-356, 2011.
- 손지영, 김동일, 장애학생을 위한 스마트러닝 환경 구축의 정책적 방향 탐색, 특수교육저널, 제12권, 제4호, pp.453-480, 2011.
- Peterson-Karlan, G. R., "Technology to Support Writing by Students with Learning and Academic Disabilities: Recent Research Trends and Findings", Assistive Tecnnlogy Outcomes and Benefits, Vol.7, No.1, pp.39-62, 2011.
- Mehigan, T. J., "Harnessing Accelerometer Technology for Inclusive Mobile Learning", Mobile HCI, 2009.
- 곽덕훈, 스마트러닝과 스마트러닝 포럼의 의미, 2011 스마트러닝포럼 창립세미나 발표집, 2011.
- 이현실, 델파이 조사를 이용한 정보활용능력 교육 항목 개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8권, 제1호, 2004.
- 한기순, 델파이 조사를 통한 유아영재교육의 방향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13권, 제3호, 2006.
- 최병모, 김정호, 이준혁, 학교 경제교육 방향 탐색을 위한 델파이 조사 연구, 경제교육연구, 제12권, 제1호, 2005.
- 허희옥, 임규연, 서정희, 김영애, 21세기 학습자 및 교수자 역량 모델링,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 KR 2011-2.
Cited by
- A Study on Grade Comparison Difference Analysis of the Gifted Children in IT vol.15, pp.5, 2014, https://doi.org/10.7472/jksii.2014.15.5.25
-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Smart Education vol.13, pp.1,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1.467
- A Study on Educational Application of Smart Devices f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Problem Solving Learning vol.15, pp.1, 2014, https://doi.org/10.7472/jksii.2014.15.1.143
- 간호교육에서의 스마트러닝 적용에 관한 융합연구의 효과 vol.9, pp.11, 2012, https://doi.org/10.15207/jkcs.2018.9.11.519
- 초등예비교원의 SW교육에 대한 인식, 경험의 질적 탐구 vol.23, pp.1, 2012, https://doi.org/10.14352/jkaie.2019.23.1.39
- 스마트 교육을 활용한 팀 기반 문제 중심 학습의 효과: 고위험 신생아 간호를 중심으로 vol.25, pp.4, 2012, https://doi.org/10.4094/chnr.2019.25.4.507
- Design and Satisfaction Analysis of Embedded IoT Course vol.20, pp.5, 2012, https://doi.org/10.7472/jksii.2019.20.5.19
- Elementary teachers’ beliefs and perspectives related to smart learning in South Korea vol.6, pp.None, 2019, https://doi.org/10.1186/s40561-019-0082-5
- 대학 원격수업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 M 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vol.23, pp.3, 2012, https://doi.org/10.30807/ksms.2020.23.3.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