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Counseling Manual for Community-based Visiting Nursing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상담매뉴얼 개발과 효과

  • Received : 2012.05.11
  • Accepted : 2012.09.17
  • Published : 2012.09.28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an education program counseling manual (EPCM) for community-based visiting nurses. Methods: Seventy-eight of community-based visiting nurses was enroll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chi}^2$-test, and the paired t-test in SPSS version 18.0. Results: Nurses had higher mean scores for counselor activity self-efficacy: skill self-efficacy, session management self-efficacy and counseling challenges self-efficacy, after EPCM than before EPCM.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fter applying the EPCM.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EPCM is effective at improving counselor self-efficacy of community-based visiting nurses.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담당인력의 실무적 역량 강화를 위하여 가정 방문 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대상자와의 치료적, 공감적 의사소통 및 상담 능력 향상을 위한 상담매뉴얼을 개발하고 이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상담매뉴얼은 1단계 상담준비, 2단계 신뢰형성, 3단계 진단발굴, 4단계 행동, 5단계 마무리 단계로 개발하였으며, 대상자의 상담요구에 따른 상담유형을 지지호소형, 문제해결요구형, 정보 및 조언요구형의 3가지로 분류하고 각각의 유형에 적합한 주요 상담 기법을 제시하였다. 주요 상담 기법은 지지호소형에서는 공감하기, 감정반응하기, 자기공개하기, 즉시 반응하기를, 문제해결요구형에서는 개방질문하기, 목표설정하기, 해결방안 모색하기, 요약하기를, 정보 및 조언요구형에서는 정보 제공하기, 제안하기, 해석하기 새로운 기술 가르치기를 중심으로 각각의 상담 예문을 제시하였다. 상담매뉴얼 교육 전, 후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전담인력의 상담능력 향상 정도를 상담자 활동 자기효능감 척도(Counselor Activity Self-Efficacy Scales: CASE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조력기술 자기효능감과 회기관리 자기효능감 그리고 상담난제 자기효능감의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상담매뉴얼 교육을 받은 후에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전담인력의 상담자활동 자기효능감이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보건복지가족부,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안내, 건강증진사업지원단, 2008.
  2. 보건복지부,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연보, 건강증진사업지원단, 2009.
  3. http://www.khealth.or.kr
  4. 양명희, 김성희, "상담자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제12권, 제5호, pp.1629-1644, 2011.
  5. 이장호, 상담심리학의 기초, 학지사, 2005.
  6. 박정민, 상담자 회기 내 자기지각이 상담과정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7. 손난희, 상담 수퍼비전에서 초심 상담자들의 자기 고양적 성향과 위협지각,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8. A. Bandura, Self Efficacy; The Excercise of Control, Freeman, 1997.
  9. L. Larson and J. Daniels, "Review of the Counseling Self-Efficacy Literature," The Counseling Psychologist, Vol.26, pp.179-218, 1998. https://doi.org/10.1177/0011000098262001
  10. 홍수현, 상담 초기단계에서 상담자 자기효능감 및 상태불안이 상담협력관계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11. 이수현, 서영석, 김동민, "상담자 활동 자기효능감 척도 국내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제19권, 제3호, pp.655-673, 2007.
  12. R. Lent, C. Hill, and M. Hoffma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ounselor Activity Self-Efficacy Scales," J. of Counseling Psychology, Vol.5, pp.97-108, 2003.
  13. C. Hill and L. O'Brien, Helping Skill; Facilitating Exploration, Insight, and Action,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99.
  14. R. Goodyear and C. Guzzardo, "Psychotherapy Supervision and Training," In S. Brown and R. Lent, Handbook of Counseling Psychology, Wiley, 2000.
  15. D. Grewal and P. Salovey, "The Sci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pp.281-28, 2005.
  16. C. Gohm, "Mood Regula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dividual Differenc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84, No.3, pp.594-607, 2003. https://doi.org/10.1037/0022-3514.84.3.594
  17. 김영란, 상담단계별 상담자 공감과 내담자 체험 및 상담성과와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9.
  18. 강석영, 상담자 자기효능감과 상담성과의 관계에서 상담자 역전이 행동 및 내담자 협력관계의 매개효과,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19. 황인호, 상담자의 자기효능감과 역전이 행동 및 상담 협력관계가 상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20. 이윤정, "상담영역 건강가정사의 직무 및 보수교육 콘텐츠 개발을 위한 역량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5호, pp.358-368, 2011.

Cited by

  1.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Nutrition Capacity Training Program for Dietitians and Related Professionals Working at Customized Home Visiting Health Services vol.19, pp.1, 2014, https://doi.org/10.5720/kjcn.2014.19.1.71
  2.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Health Care Providers' Counseling Manual in Mobile Application for Lifelong Health Care among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vol.20, pp.1, 2014, https://doi.org/10.5977/jkasne.2014.20.1.108
  3. The Effect of Health Coaching Programs on Self-Efficacy, Health Behaviors, and Quality of Life in Hypertensive People Living in Poverty vol.47, pp.3, 2017, https://doi.org/10.4040/jkan.2017.47.3.380
  4. Educational Needs for Suicide Prevention Competencies among Visiting Nurses vol.27, pp.2, 2018, https://doi.org/10.12934/jkpmhn.2018.27.2.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