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ison of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according to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mong Police Officers

경찰관의 조직적 특성에 따른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비교 분석

  • 신성원 (대구한의대학교 경찰행정학과)
  • Received : 2012.07.27
  • Accepted : 2012.08.22
  • Published : 2012.09.28

Abstract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police officers and the level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the comparative analysis was to check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ccording to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ffect. To accomplish this, a way ANOVA analysis of variance(One-way ANOVA) was conducted. The department i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level,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t was more likely to be exposed to a traumatic experience if who is working in the front-line department.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ccording to the work uni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The level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outside job unit officers was higher than that of desk job unit offcer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ccording to the rank and duration of employment and the administrative district level,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found.

이 연구에서는 경찰관의 조직적인 특성과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수준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여 조직적 특성에 따른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원변량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계급에 따른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수준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는데, 경사, 순경 경장, 경위 이상 순이었다.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지만 비간부 집단이 간부 집단보다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근무관서에 따른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수준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는데, 지구대 파출소, 경찰서, 지방경찰청 순이었다. 이는 일선 경찰관서에서 근무하는 경우에 외상경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일 것이다. 근무부서에 따른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수준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는데, 생활안전, 수사 형사, 경비 교통, 내근 순이었다. 외근직이 외상경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내근직 보다 높게 나타났다. 근무기간에 따른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수준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는데, 1년 이하, 2-10년, 11-19년, 20년 이상 순이었다. 특히 1년 이하 경찰관의 경우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수준이 상대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근무하는 행정구역의 규모에 따른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수준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고, 중소도시(50만 이상), 대도시(50만 이상), 광역시 이상, 군단위 이하 순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Riddle, Robin Thomas, The Relation Between Life Stress, Work Stress, and Traumatic Stress and Burnout and Cynicism in Police Officers, United States International University, Dissertation for Ph.D., pp.64-67, 1999.
  2. J. M. Violanti and D, Paton, Who Gets PTSD: Issues of Posttraumatic Stress Vulnerability, Charles C Thomas Publisher, Springfield, IL, 2006.
  3. 신성원, "경찰관의 PTSD 수준 및 대처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2호, pp.266-272,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2.266
  4. 유양숙,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를 가진 가족을 위한 개입", 사회과학연구, 제4권, 제1호, pp.225-274, 1997.
  5.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4th ed.), 1994.
  6. J. D. Sewell, "The development of critical life events scale for law enforcement," Journal of Police Science and Administration, Vol.11, pp.109-116, 1983.
  7. J. M. Violanti, Trauma, Stress and Police Work, Charles C Thomas Publisher, Springfield, IL, 1996.
  8. I. Miller, Demography and Attrition in the New Zealand Police 1985-1995, Unpublished report: New Zealand Police National Headquarters, 1996.
  9. J. P. Mann and J. Neece, "Workers' compensation for law enforcement related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Behavioral Sciences and the Law, Vol.8, 1990.
  10. C. Stephens and N. Lo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the New Zealand Police: the moderating role of social support following traumatic stress," Anxiety, Stress, & Coping, Vol.12, pp.247-264, 1999. https://doi.org/10.1080/10615809908250477
  11. Ben Gree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UK police officers," Current Medical Research and Opinion, Vol.20, No.1, p.101, 2004(1). https://doi.org/10.1185/030079903125002748
  12. M. Horowitz, N. Wilner, and W. Alvarez, "Impact of event scale : A measure of subjective stress," Psychosom Med, Vol.41, pp.209-218, 1979. https://doi.org/10.1097/00006842-197905000-00004
  13. S. Joseph, "Psychosomatic evaluation of Horowitz's impact of event scale : a review," Journal of Trauma Stress, Vol.13, pp.101-113, 2000. https://doi.org/10.1023/A:1007777032063
  14. J. B. Frank, T. R. Kosten, and E. L. Giller, "A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phenelzine and imipramine for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Vol.145, pp.1289-1291, 1998.
  15. D. S. Weiss and C. R. Marmar, "The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In : J. P. Wilson, T. M. Keane, Assessing Psychological Trauma and PTSD, New York : Guilford Press, pp.399-411, 1997.
  16. 은헌정 등, "한국판 사건충격척도 수정판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신경정신의학, 제44권, 제3호, pp.303-304,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