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Visual Characteristic of Directing For Dramatic Narrative -Focusing on Composition Technique of

극적 내러티브의 시각적 연출 특성 연구 -<도가니>의 구도기법을 중심으로-

  • 안병택 (가천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Received : 2012.07.30
  • Accepted : 2012.08.21
  • Published : 2012.09.28

Abstract

In film various techniques interact organically in order to bring a story to life and, by doing so, influence the audience's perception. The techniques composing the form of a film are part of a format-system and therefore have to be well adjusted to the content of the film to trigger an intended effect. It is then that these techniques boost the intensity of the audience's emotional experience. The subject of analysis in this study of aesthetic composition, which is part of the concept of visual narrative, is the movie "Silence", which depicts a disturbing story based on real events. The goal of this study is the analysis of composition techniques used to support the film's narrative structure, where elaborate frame-composition and techniques are applied with great efficiency. Another goal is also to illustrate the meaning of film-format and its importance. Looking deeper into the question of how meaning and emotions, which are inherent in a film, finally manifest themselves on screen through a single shot, where the cinematographer's ideas and aesthetic vision come together and also the question of how a narrative structure in the context of a film works- these questions are the essence of this study.

영화는 내러티브의 구현을 위해 다양한 기법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상호작용하여 관객의 지각에 영향을 준다. 영화 형식을 구성하는 기법들은 형식적 체계로서 영화의 내용과 동기화되어 특정한 효과를 유발시켜 관객의 정서적 체험의 강도와 깊이를 강화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시각적 내러티브의 하나인 구도미학에 관한 연구로 충격적인 실화를 재구성한 영화 <도가니 SILENCE>(2011)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본 연구는 치밀한 화면구성과 기법의 활용이 극대화된 영화 <도가니>의 내러티브에 적용된 구도기법을 분석해보고, 나아가 영화형식의 의미와 중요성을 제고해 보는 것이 연구목적이다. 이러한 연구는 영화에 내재되어 있는 의미와 정서가 쇼트를 통해 어떻게 시각적으로 구현되는지, 나아가 구도가 서사화법으로서 어떻게 영화재 기능을 수행하는지 고찰해 보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D. Bordwell and Kristin Thompson, 주진숙, 이용관 역, "Film Art 영화예술", 이론과 실천, p.68, 1993.
  2. S. Cohan and L. M. Shires, 임병권, 이호 역, "Telling Stories : A Theoretical Analysis of Narrative Fiction 이야기하기의 이론 : 소설과 영화의 문화기호학", 한나래, p.13, 1996.
  3. 정재형, "영화 이해의 길잡이", 개마고원, p.112, 2003.
  4. 안정숙, 사실주의 영화의 매체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33, 2002.
  5. B. Brown, "Cinematography Theory and Practice," Focal Press, p.30 2002.
  6. Louis Giannetti, 김진해역, "Understanding of Movies 영화의 이해", 현암사, p.58, 1996.
  7. D. Bordwell and Kristin Thompson, 주진숙, 이용관 역, "Film Art 영화예술", 이론과 실천, p.253, 1993.
  8. B. Brown, "Cinematography Theory and Practice," Focal Press, p.42, 2002.
  9. Louis Giannetti, 김진해역, "Understanding of Movies 영화의 이해", 현암사, p85, 1996.
  10. Martine Joly, 이선형 역, "L'IMAGE ET LES SIGNES 이미지와 기호", 동문선, p.177, 1994.
  11. H. Zettle, 박덕춘, 정우근 역, "Sight, Sound, Motion -Applied media aesthetics 영상제작의 미학적 원리와 방법", 커뮤니케이션북스, p.235, 2001.
  12. Louis Giannetti, 김진해역, "Understanding of Movies 영화의 이해", 현암사, p.17,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