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Historical Meaning through Technological Issues on Photography

기술적 관점에서 바라본 사진사에 대한 고찰

  • 김상기 (경일대학교 사진영상학부) ;
  • 김유진 (경일대학교 사진영상학부)
  • Received : 2012.07.12
  • Accepted : 2012.09.13
  • Published : 2012.10.28

Abstract

Science and technology are deeply based on the invention of photography. The images that were made through machines and scientific process were not just delicate images. Photography was used wherever accurate record and realistic description were needed, such as public culture, art, advertisement, science research and so on, so it became an important part of anthropologic culture. However, the history of photography in the present photography education mainly deal with photographic tendency of famous photographers, the change of art paradigm by time period, social changes through big wars, thus there is a lack of diverse perspective in the history of photography, such as technological perspective. In this study, the history of photography was examined through science and technology, and analyzed how photography was affected and changed by the stage of important technological accomplishment. From this point of view, It will be helpful to understand modern photography, and meaningful to be a good reference. Furthermore, by understanding that photography relies on technology, the people who majored in photography will realize how important studying photographic technology and theories is.

사진이 발명된 계기에는 과학과 기술이 뿌리 깊게 자리 잡고 있다. 인간의 손이 아닌 기계와 과학적 처리과정을 통해 생성된 이미지는 사실 그대로의 정교한 이미지로만 그치지 않았다. 사진은 대중문화, 예술, 광고, 과학연구 등 정확한 기록성과 사실적 묘사가 필요한 곳이면 어디든지 사용되었으며, 하나의 인류문화로 자리를 잡았다. 그러나 현재 사진교육에서 다루는 사진사는 사진가의 사진성향, 예술적 패러다임의 시대적 변화와 전쟁과 같은 사회적 변화를 중심으로 사진의 흐름을 다루고 있을 뿐 기술적 관점과 같은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본 사진사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사진의 과학 기술적 탄생 배경을 중심으로 사진의 기술사를 살펴보았고 중요한 기술적 성취단계에서 사진은 어떤 영향을 받고 변화했는지 각각의 사례를 통해 분석 및 논의하였다. 이러한 관점의 논의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현대사진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며 앞으로의 사진 변화를 예측하는데 참고가 될 수 있기에 적지 않은 의미를 가진다. 또한 사진이 기술에 의존적이라는 사실을 이해함으로써 사진전공자들에게 사진기술 및 관련이론을 습득하는 것이 무슨 의미를 가지는지를 깨우쳐 줄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정희, "'광양만권 문화·예술.관광산업' 전략을 위한 '사진.영상문화콘텐츠'연구", 현대사진영상학회 논문집, 제10권, pp.153-169, 2007.
  2. 안미라, "필름카메라를 이용한 사진치료활동이 지적장애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놀이치료연구, Vol.15, No.2, pp.131-145, 2011.
  3. 이용환, "인쇄매체에서의 디지털사진의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사진학회 AURA, 제4권, 제1호, pp.1-13, 1997.
  4. 하동환, 진필훈, 송근목, 조용훈, "흑백사진관련 디지털방식과 아날로그 방식의 출력물에 대한 감광재료학적 연구", 한국사진학회 AURA, 제8권, 제1호, pp.6-23, 2001.
  5. 필립 퍼키스, 박태희 역, 사진강의 노트, 안목출판사, pp.36, 2006.
  6. 고홍곤, 사진의 증거능력에 관한 실증적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8, 2003.
  7. 장-뤽 다발, 박주석 역, 사진예술의 역사, 미진사, 1991.
  8. 장-클로드 르마니, 정진국 역, 세계사진사, 까치 글방, 2003.
  9. 페트르 타우스크, 하종희 역, 20세기 사진사, 눈빛, 1995.
  10. 이토 도시하루, 이병용 역, 20세기 사진사, 현대미학사, 1994.
  11. 다니엘 자라르뎅, 정진국 역, 논쟁이 있는 사진의 역사, 미메시스, 2011.
  12. 진동선, 사진사 드라마 50, 영화보다 재미있는 사진 이야기, 도서출판 푸른세상, 2003.
  13. 정재호, 사진기술사, 청문각, 1997.
  14. 보먼트 뉴홀, 정진국 역, 사진의 역사, 열화당, pp.15-25, 2003.
  15. P. Davis, Photography (7th ed.), McGraw-Hill, pp.5-6, 2003.
  16. J. Hedgecoe, The Book of Photography (5th ed.). 8th printing, Alfred A. Knopf. Vol.22, 1980.
  17. 남일성, 포토뱅크, 도서출판 화소, pp.11-36, 2011.
  18. M. R. Peres et al, Focal Encyclopedia of Photography 4th., Elsevier, pp.27-36, 2007.
  19. B. Sherman, "Techniques Tomorrow: It's still back to the basics when it comes to computing a lens design. Modern Photography," Vol.47, No.7, pp.52-53, 1983.
  20. 보먼트 뉴홀, 정진국 역, 사진의 역사, 열화당, pp.242-253, 2003.
  21. Michael R. Peres et al, Focal Encyclopedia of Photography 4th., Elsevier, pp.189., 2007.
  22. Michael R. Peres et al, Focal Encyclopedia of Photography 4th., Elsevier, pp.771-782., 2007.
  23. Michael R. Peres et al, Focal Encyclopedia of Photography 4th., Elsevier, pp.5-10., 2007.
  24. Michael R. Peres et al, Focal Encyclopedia of Photography 4th., Elsevier, pp753-770. 2007.
  25. J. Tarrant, Focal Encyclopedia, pp.762-763;박연 선, 색채용어사전, 2007.
  26. 김광철, 장병원, 영화사전, Media2.0, 2004.
  27. 홍주표, 텅스텐 조명을 이용한 인물 사진의 특징에 관한 연구, 현대 사진영상학회 논문집, Vol.3, No.1, p.91, 2000.
  28. 홍창희, "고휘도 LED 연구 개발 동향", 전기조명설비학회지, 제17권, p.11, 2003; Focal Encyclopedia, p.250
  29. Peter W. W. Fuller, Focal Encyclopedia, p.547.
  30. william J. Mitchell 저, 김은조 역, 디지털이미지론, 클라이닉스, pp.4-5, 1997.
  31. http://inside.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3/28/2012032802242.html?to_info
  32. 데이비드 호크니 저, 남경태 역, 명화의 비밀, 한길아트, 2003.
  33. 장용진, 50% 폐업 위기의 사진관, 그 희망의 싹은 무엇인가?, 대한사진영상신문, 제111호, p.2002.
  34. 윤석규, "MTF 최적설계," PYONGTAEK REVIEW, 제19권, pp.397-406, 2005.
  35. 이토 도시하루, 이병용 역, 20세기 사진사, 현대미학사, p.94, 1994.
  36. 김유철, 광고사진의에 나타나는 색채의 특성에 관한 고찰,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6, 2003.
  37. 박은진, "예술의 과학적 성격과 과학/과학기술의 예술적 수용", 과학철학논문지, 제3권, 제2호, pp.65-81, 2000.
  38. P. K. Burian, Robert Caputo, 김문호 역, 내셔널 지오그래픽 포토그래피 필드 가이드 뛰어난 사진을 만드는 방법, 청어람 미디어, p.108, 2005.
  39. 최창익, 국내 화장품 광고사진의 표현분석,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p.52-53, 2011.
  40. 최창익, 국내 화장품 광고사진의 표현분석,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p.52-53, 2011.
  41. 김종욱, "디지털 카메라의 이미지캡쳐 시스템에 관한 연구", 啓明硏究論叢, 제18권, 제2호, pp.485-501, 2000.
  42. 박선후, 최현준 저, 지금 당장 해외 ETF 공부하라, 한빛비즈, p189, 2009.
  43. Michael R. Peres et al, Focal Encyclopedia of Photography 4th., Elsevier, p.195. 2007.
  44. 장문기, 디지털 기술과 포토 저널리즘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신문방속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64-65, 2000.
  45. John Long, "사진취재 윤리와 보도사진의 저작", 한국사진 기자회, pp.97-100, 1994.
  46. 윤을요, "20세기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의습선",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5호, pp.165-172, 2010.
  47. 조우영, 패션잡지에 나타난 스타일링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3, 2011.
  48. http://www.slrclub.com/bbs/vx2.php?id=best_review&page=1&divpage=1&ss=on&keyword=r ed&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2169
  49. http://ryanyoon.blogspot.kr/2010/09/polham-padding-collection-fw-2010-and.html
  50. 김유진, "디지털사진의 법적증거 사용을 위한 가이드라인", 과학수사학, 제5권, 제2호, pp.165-175,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