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termination of Strategies for the Reduction of Plate Waste and Prevention of Plate Waste Reuse in Foodservice Operations

음식점 남은 음식물 저감화 및 재사용 근절 관리 방안

  • Cha, Myeong-Hwa (Dept. of Food and Nutrition, Yeungnam University) ;
  • Jeong, Hyun-Suk (Dept. of Food and Nutrition, Yeungnam University) ;
  • Ryu, Kyung (Dept. of Food and Nutrition, Yeungnam University)
  • 차명화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정현숙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류경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Received : 2012.04.19
  • Accepted : 2012.07.16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strategies for the reduction of plate waste and prevention of plate waste reuse in foodservice operations. To achieve these goals, we surveyed the entrepreneurs of foodservice operations, professionals in the field of foodservice management and food safety, and public officials working for food safety enforcement about their perceptions and strategies on plate waste management. The professionals' survey indicated that definition of plate waste needed to be clear for understanding. Also Korean food culture insisting on abundance and variety table settings, foodservice owners' demands for cost reduction, and foodservice workers' insufficient safety perceptions were indicated to bring forth the practice to reuse plate waste. The effective ways to control plate waste management were systematic educational supports for Korean food culture upgrade among consumers and improvements of safety perceptions among owners, as well as workers. Also small portion size was needed to reduce plate waste.

본 연구에서는 음식점의 남은 음식물의 정의를 설정하고, 남은 음식물 저감화와 남은 음식물 재사용 근절을 위한 방안과 이러한 문제가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 원인에 대하여 관련 분야의 전문가 34인과 영업주 14인을 대상으로 면접조사 및 설문조사를 통해 남은 음식물 관리에 관한 정책적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전문가들은 수저가 닿지 않았던 음식이라도 제공된 후 남은 음식은 재사용할 수 없다는 데 동의하였다. 즉, 수저가 닿은 김치를 포함한 모든 반찬류와 피클은 한번 제공된 후 버려야 한다. 단, 쌈채소, 고추 등의 야채류는 세척 소독 후 재사용 혹은 가열음식에 재사용하는 경우 허용된다고 응답하였다. 급식관리 전문가와 식품위생 전문가가 제공된 후 손대지 않은 채 남은 김치를 다시 재활용하거나 가열식품의 조리에 이용할 수 없다고 주로 응답한데 반해, 식품접객업 영업자들은 재활용 할 수 있다고 응답하여, 실제 음식점 영업 현장에서 김치류의 재활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남은 음식 저감화가 이루어 지지 않는 원인과 남은 음식 재사용의 원인으로는 '한국적 식문화'와 '대국민 홍보부족'이 공통적인 원인으로 지적되었다. 또한 전문가들은 이 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국민 홍보'와 '소비자 및 영업 주 종사원 교육'을 통한 식생활 개선과 현장 음식문화 개선을 공통적으로 제안하였다. 과거에 음식문화 개선이 영업자 중심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실제 소비자들의 관심과 협조를 유발하지 못한 점을 고려하면 대국민 홍보는 상당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소비자들이 음식물을 남기면 결국 소비자들에게도 피해가 발생된다는 점을 부각시킴으로써 소량배식 및 좋은 식단제 등을 통한 영업주측의 식문화 개선 정책 시도에 대한 소비자들의 오해와 불만을 완화시키는데 대국민 홍보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또한 전문가들은 보다 구체적인 남은 음식물 저감화 방안으로 '반찬선택제'와 '소량배식'을 꼽았으며, 남은 음식물 재사용 근절 방안으로는 '식당 내 남은 음식통 설치 의무화'를 통해 남은 음식이 식당 내로 재진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방안들은 영업주와 종사원들의 실천의지를 전제로 식품접객업소 단위에서 적극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남은 음식물 관리를 위한 효과적인 방안이라 사료된다. '남은 음식 재사용 여부를 검증하는 과학적 기법 개발'은 남은 음식물의 재사용이 은밀히 이루어져 공개적인 지도와 개선이 어려운 점을 고려할 때 객관성과 과학적 근거를 토대로 한 가장 합리적이고 신속한 방안이다. 음식물에 혼입된 타액 효소의 검출을 위한 키트를 현장에 적용할 수 있다면 남은 음식물 재사용을 근절하는 가장 효과적인 해결책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를 통해 제안된 남은 음식물 발생과 재사용 근절 방안들은 현재 한시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남은 음식물 관련 정책의 향후 보완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법제처: 식품위생법. Available from http://www.moleg.go.kr/main.html Accessed Mar. 27, 2012.
  2.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남은 음식 재사용 실태 집중점검 결과 발표 (2011).
  3. Ryu, K., Park, K.H., Kim, S.Y. and Hong, Y.P.: Feasibility of saliva $\alpha$-amylases for detection of plate waste reuse. Food Sci. Biotechnol., 20, 1721-1726 (2011). https://doi.org/10.1007/s10068-011-0237-9
  4.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limate Change 2007. Available from http://www.ipcc.ch/publications_and_data/publications_and_data_reports.shtml Accessed Mar. 27, 2012.
  5. 미래기획위원회: Available from http://www.future.go.kr/ Accessed Mar. 27, 2012.
  6. 기획재정부 외 8개 부처: 식생활교육기본계획(2010-2014).
  7. 한국음식물류폐기물자원화협회: Available from http://www.kofra.org/page4_3.html Accessed Mar. 27, 2012.
  8. 환경부: 음식물류 폐기물 줄이기 홍보사례집. Available from http://www.me.go.kr/. Accessed Mar. 18, 2011.
  9. 보건복지부 ONCE FOOD 캠페인: Available from http:// blog.naver.com/oncefood/ Accessed Mar. 27 2012.
  10. 전무영, 민혜선: 단체급식소의 잔반량 감량을 위한 효율적인 방법에 대한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5, 92-99 (2000).
  11. 안주연, 이혜상: 일부 학교급식 잔반에서 발생하는 영양손실에 관한 연구.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8, 311-317 (2002).
  12. 김소희, 류은순: 부산지역 초등학생들의 음식물쓰레기 감량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1, 1155-1162 (2002).
  13. 김성희, 곽동경, 최은희, 이경은: 서울지역 초등학교 급식에서의 음식물쓰레기 관리 실태와 영향 요인.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12, 815-825 (2007).
  14. 김성희, 최은희, 이경은, 곽동경: 영양교육이 음식물쓰레기 감량화에 미치는 효과,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13, 357- 367 (2007).
  15. 양일선, 김정려, 이해영, 차진아: 종합병원 환자 당뇨식의 잔반에 대한 심층적 분석, 한국영양학회지. 35, 394-401 (2002).
  16. 곽노성, 김어지나: 녹색소비를 위한 음식물류 폐기물 절감 정책의 현황 및 개선방향. 보건복지포럼, 10, 58-69 (2010).
  17. Marlette, M.A., Templeton, S.B., Panemangalore, M.: Food type, food preparation, and competitive food purchases impact school lunch plate waste by sixth-grade students. J. Am. Diet. Assoc., 105, 1779-1783 (2005). https://doi.org/10.1016/j.jada.2005.08.033
  18. Buzby, J.C. and Guthrie, J.F.: Plate waste in school nutrition programs. Final report to Congress. E-FAN-02-009, USDA Economic Research Service (2002).
  19. Wie, S.H., Shanklin, C.W., Lee, K.E.: A decision tree for selecting the most cost-effective waste disposal strategy in foodservice operations. J. Am. Diet. Assoc., 103, 475-482 (2003).
  20. National Restaurant Association: Applied Foodservice Sanitation. 4th Ed. The Educational Foundation, Washington, D.C., pp. 148 (1992).
  21. Tran, C.: An assessment of plate waste within Milwaukee public schools' universal free breakfast-in-the-classroom. Hunger Task Force (2009).
  22. Gregorie, M.B.: Foodservice Organizations - A Managerial and Systems Approach, 7th Ed. Pearson Education, Inc. Upper Saddle River, NJ, pp. 167-169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