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Research was focused on the improvement of poor drainage problems on golf course fairway which had not been performed soil test or properly amended during the course construction. The analysis of the drainage problem basically was caused by a deterioration of soil physical properties by the top layer compaction. The soil hardness reached about 3,000 Kpa around 5~6 cm of soil profile. The slow infiltration speed to subsoil by the compaction was caused directly a poor drainage capacity. However, the properly amended sand soil showed an apparent value of 1,500 Kpa through the subsoil. The water content test showed a similar result that higher rate of 20~30% and ideal rate of 8~12% at poor drainage area and successfully amended area, respectively. However, an imported topsoil media which had higher content of silt and clay from a trans-planted sod had made a heterogeneous soil profile and that caused a poor drain capacity by a low infiltration rate. Those drainage problems triggered to buildup a reduced soil layer by poor soil gas exchange. The soil environment of deoxidation enhanced anaerobic microbial population and induced methane gas build-up to 55 ppm, and that resulted an adverse effect on turf growth by root growth retardation, consequently.
경기도 여주군의 R골프장에서 페어웨이 건설 시 토양조사 및 적절한 토양개량이 실시되지 않아 배수불량 지역이 발생하였다. 2003년과 2008년에 토양물리 화학성검사를 실시하여 배수불량의 원인 분석과 토양개량 실시여부에 대한 배수능력 개선 결과와 토양물리성 변화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배수불량지역은 분석결과 표토 5 cm~8 cm 구간이 토양 경화로 인해 토양 물리성이 악화되어 약 3,000 Kpa의 높은 경도를 보였고, 그에 따른 낮은 투수율에 의해 토양 하부층으로의 배수능력이 저조하여 배수 불량의 직접 원인이 되어있었다. 반면 토양갱신구역은 토양 경도가 양호하며 깊이에 큰 영향 없이 1,500 Kpa 이하로 대체적으로 균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수분을 측정한 결과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는데 배수불량지역은 토양하부 5~15 cm 지역은 20~30%의 수분량을 보인 반면 토양개량이 성공한 지역은 8~12%의 이상적인 수분분포를 보였다. 또 토양개량을 실시한 지역이더라도 식재된 보식용 잔디의 식재층에 실트와 점토가 많이 함유되어 이식 지역의 토양과 식재층이 다르면 이식 후 토양층에 이질층이 형성되어 수분의 이동이 원활하지 못해 배수 불량의 원인이 되었다. 배수불량으로 인해 토양 내 토양이 환원 상태가 되면서 혐기성 미생물의 생육이 증가하고, 메탄가스가 55 ppm 정도로 축적되고 토양의 공기순환이 자유롭지 못해 식재된 잔디의 뿌리 생장에 악영향을 주어 결과적으로 잔디 생육이 불량하게 되는 연쇄적인 문제가 발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