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GIS를 이용한 울산지역 선사유적 입지분석 및 분포예측

Location Analysis and Distributional Forecast of Prehistoric Sites in Ulsan Region Using GIS

  • Lee, Han-Dong (Dept. of Spatial Inform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Gyo-Won (Dept. of Geolog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2.05.09
  • 심사 : 2012.08.02
  • 발행 : 2012.09.30

초록

본 논문은 울산광역시를 대상으로 선사시대 최적의 입지를 GIS를 통한 분위수방법과 자연결점법으로 조사하였고, 등급화 통계분석방법으로 선사유적의 존재가능성을 분석하여 선사유적의 정착 패턴을 규명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변수는 고도, 사면 경사도, 수계 최소거리, 사면방향, 지질, 토양배수등급, 심토토성, 토지이용추천 등이며, 이를 이용하여 입지분석 및 분포예측을 실시하였다. 입지분석결과, 선사유적의 최적 입지환경 중 지형적 환경은 저지대 완경사지의 남향인 지역에 수계를 포함하는 곳이며, 지질 토양환경은 제4계 충적층의 배수상태가 양호하고, 심토토성은 식양질, 토지이용추천은 밭인 곳이 최적의 등급으로 분석되었다. 유적분포 예측결과, 태화강과 동천강이 합류하는 하류지역은 하천과 근접하여 식수이용이 용이하며, 경사도 및 고도가 낮은 지역으로 강 상류로부터 운반 퇴적된 충적층이 넓게 형성되어 농경생활에 적합하여 유적존재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optimum location of the prehistoric sites of Ulsan Metropolitan City are investigated by both quantile and natural breaks methods through GIS, and the settlement pattern is studied based on the possibility of presence of the prehistoric sites which are also analyzed with these methods. Such factors including elevation, slope, distance from the nearest water, aspect, geological features, soil drainage classes, subsoil and land use recommended are employed in the analysis. The optimum geographical environment is the place where it includes the water-base in the area that is the southern aspect of the gentle slope land of lowland. The geology is the Quaternary alluvium. The drainage class is fine and the deep soil saturn is the fine loamy soil and the recommendation of land use is the area that is the field. As a result of the forecast of distribution, the prehistoric sites showed the higher possibility of presence in the downstream region where the Taehwa river and Dongcheon river join because the region come close to the watercourse and the drinking water use is easy. And the aspect and elevation is the low area. The alluvium accumulated from the upper stream of the Taehwa river and Dongheon river was made roomily, the area where is suitable for the farming life. Therefore, this region is judged that the possibility of presence of the prehistoric sites is high.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도헌. 2009. 청동기시대 농경의 확산과 사회변화에 대한 시론 -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嶺南學 15:307-342.
  2. 김원룡. 1989. 한국고고학 개설. 일지사. 70-71쪽.
  3. 김주용, 이헌종. 2004. GIS 기법을 이용한 한국 영산강 하류 구석기 유적 분포특성 연구. 선사와 고대 20:173-192.
  4. 김창환, 배선학. 2006. 문화유적의 공간적 입지 유형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2(5):583-594.
  5. 도영아. 2007. 경주지역 청동기시대 취락의 입지와 생업에 대한 검토. 문화사학 27:79-112.
  6. 박지훈, 박종철. 2011. 충남 아산의 청동기 시대 주거지 밀집 구역의 지형환경 분석 -용두천과 온양천 유역을 사례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4(3):110-125.
  7. 배덕환. 2009. 慶南地域 靑銅器時代 後期 聚落의 立地形態에 따른 地域性 硏究. 文物硏究 15:3-22.
  8. 우제윤, 구지희, 김의명, 홍창희, 이정훈, 이상훈, 김강석, 신재훈, 건설교통부. 2001. 한국지형에 적합한 수치표고모형 구축방안.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53쪽.
  9. 울산광역시. 2003. 文化遺蹟分布地圖 : 蔚州郡. 394쪽.
  10. 울산광역시. 2004. 文化遺蹟分布地圖 : 中.南.東.北區. 506쪽.
  11. 원석환, 김은경, 강진영, 황철수. 2011. 문화재분포 예측을 위한 GIS 활용방안연구. 대한지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301-304쪽.
  12. 이금산, 조화룡. 2000. DEM을 이용한 한반도 지형의 경사도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3(1):35-43.
  13. 이진영. 2006. GIS를 이용한 남한의 고고유적 입지예측모델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71쪽.
  14. 이진영, 박준범, 양동윤, 김주용, 홍세선, 정계옥. 2005. GIS 중첩분석을 이용한 요지 유적 분포 예측의 시범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8(4):165-175.
  15. 이진영, 양동윤, 김주용, 정계옥. 2006. 유적의 자연입지환경 분석을 위한 분석알고리즘 예비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춘계학술대회초록집. 133-138쪽.
  16. 이진영, 홍세선, 양동윤, 김주용. 2011. 남한에 분포하는 유적의 분포특성.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4(2):14-27.
  17. 황상일, 윤순옥. 2000. 蔚山 太和江 中.下流部의 Holocene 自然環境과 先史人의 生活變化. 韓國考古學報 43:67-112.
  18. David W.A. 2010. GIS Tutorial 2 : Spatial Analysis Workbook. ESRI Press. 44pp.
  19. Espa, G., R. Benedetti, A. De Meo, U. Ricci and S. Espa. 2006. GIS based models and estimation methods for the probability of archaeological site locatio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7(3):144-155.
  20. http://soil.rda.go.kr/

피인용 문헌

  1. Rock Slope Failure Analysis and Landslide Risk Map by Using GIS vol.30, pp.12, 2014, https://doi.org/10.7843/kgs.2014.30.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