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KTO(Korea Traditional Osteopathy)를 이용한 동결견 통증 완화 연구

Impact of KTO Method on the shoulder pain reduction

  • 강철호 (남부대학교 대체의학과) ;
  • 변상준 (삼성한방병원 대전의원) ;
  • 홍성균 (남부대학교 대체의학과)
  • 투고 : 2012.08.28
  • 심사 : 2012.10.16
  • 발행 : 2012.10.30

초록

이 연구는 동결견 진단을 받은 환자 1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에게 한국전통 정골요법(이하 KTO)을 적용하여 병증의 완화가 실제 이루어 졌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 하였으며 자발적 방문을 한 환자로 구성이 되었다. 또한 약 6개월 이상의 통증을 호소하는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 연구 되었다. 연구 결과 KTO를 적용 한 그룹의 경우 통증 수치가 감소되었다. KTO를 적용하지 않은 그룹의 경우 통증감소가 적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동결견 환자에게 한국전통정골요법이 미치는 효과는 유효하다라고 사료되며 정확한 적용을 위한 통일적 모델링과 효과가 증대 될 수 있는 다른 치료 및 요법과의 병행이 필요 하다고 판단된다. 동결견 환자에게 한국전통정골요법을 적용하면 견관절의 운동범위 증가와 통증의 감소를 가져 올 수 있다. 그것은 발병의 원인이 너무 광범위하고 치료 방법도 정확하지 않은 현재의 상황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Frozen shoulder was diagnosed with this study 14 patients were enrolled. Patients who volunteer to visit the configuration is more than six months and pain were studied in a chronic illness. Frozen shoulder to patien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effect of KTO treatment is a diet that is valid for a unified model and the exact effect can be enhanced, be combined with other treatments and therapies are deemed necessary. When applied to patients with Frozen shoulder KTO with an increased range of motion of the shoulder can result in a reduction of pain.

키워드

참고문헌

  1. Aum, G. M., & Yang, Y. K., "Healing Massage Techniques", HyunMoonSa, 2001.
  2. Choi JR, "A novel approach to the treatment of shoulder pain", Korean J Pain, Vol. 4, pp.168-78, 1991.
  3. 전국 한의과 대학 침구경혈 학교실, "침구학(하)", 집문당, p.1055, pp.863-864. pp.1265-1268, 1994.
  4. 최기홍 외, "Frozen Shoulder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 10, No. 4, pp.461-465, 1975.
  5. Codman EA. The shoulder Boston. Thomas Todd, Lesson learnt from the paintful shoulder, Gerald MY Quan et al. "A case series of malignant shoulder girdle tumours misdiagnosed as frozen shoulder", Int Semin Surg Oncol, 2005.
  6. Cailliet R, Shoulder pain. 3rd ed. Philadelphia, FA Davis Company, Vol. b, 1992.
  7. Culhan, E, Peat, M. Functional anatomy of the shoulder complex. Journal of orthopedic sport physical therapy, Vol. 18, No. 1, p.342, 1993. https://doi.org/10.2519/jospt.1993.18.1.342
  8. Noel E, Thomas T, Schaeverbeks T, Thomas P, Bonjean M, & Revel M : Frowen shoulder joint. Bone Spine , Vol. 67, No. 5, pp.393-400, 2000.
  9. instructional course lectures, AAOS, Vol. 57, 2008.
  10. 건강보험정책연구원 : 물리치료비용증가 통계, 국민건강보험공단, 보도자료;1-16, 2010.
  11. Giovanni Di Giacomo, Nicole Pouliart, Alberto Costantini, Andrea De Vita,: Atlas of Functional Shoulder Anatomy, pp.206-216, 2008.
  12. 미국정형외과학회, 이영진 편역.이석현 감수, 근골격계 진단 및 치료의 핵심 Essentials of Musculoskeletal Care, 도서출판 한우리, pp.101-107, 1999.
  13. 홍성균, 질환별 기공치료학, 도서출판 대학서림, pp.206-207, 1999.
  14. 정한석, 함주현, 2011 동양과 서양의 전통수기요법 교육비교연구 Vol. 20, pp.311-336.
  15. Glossary of Osteopathic Terminology, Educational Council on Osteopathic Principles (ECOP), American Association of Colleges of Osteopathic Medicine (AACOM), Revised April, pp.33-34, 2009.

피인용 문헌

  1. Shoulder Joint Range of Motion Change Research Frozen Shoulder Therapy KTO (Korea Traditional Osteopathy) vol.7, pp.3, 2013, https://doi.org/10.7742/jksr.2013.7.3.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