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국내기능경기대회 애니메이션직종 과제 분석

The Test Questions Analysis of Animation Field in the National Skills Competition

  • 김서영 (호남대학교 경영대학 문화산업경영학과)
  • 투고 : 2012.08.11
  • 심사 : 2012.09.20
  • 발행 : 2012.09.30

초록

국제 기능올림픽대회 한국위원회에서는 21세기 산업정책의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애니메이션직종에 우수 기능 습득 및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는 연구와 공청회를 통하여 2009년부터 애니메이션을 신규 경기직종으로 채택하였다. 청소년 애니메이터의 기능과 기술, 창의력을 개발하는데 도움을 주는 기능경기대회는 사회적 참여와 인간관계를 형성시켜 주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4년간 운영된 애니메이션직종의 경기과제와 과제출제방식을 참가선수 및 지도교사들의 인터뷰, 애니메이션 전공자들의 설문을 통하여 과제를 세부적으로 분석하고 발전적인 방향을 제언함으로써 애니메이션직종의 우수기능인 발굴과 기능수준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였다.

World Skills Korea Committee for Industrial Policy in the 21st century to meet the needs of the historical profession in animation filed excellent acquisition and the need for human resources through research and public hearings beginning in 2009 a new animation filed in the National Skills Competition adopted the profession. Youth animator's features, technologies, and creativity to develop features that help the tournament by forming social relationships and participation. In this study, four years of the test questions analysis and making questions on animation field the way the game athletes and coaching staff interviews, surveys of major in animation through a detailed analysis of the challenges and constructive suggestions by the direction of the best animated field, excavation and occupations were aimed at improving levels of functionality.

키워드

참고문헌

  1. 국제기능올림픽대회 한국위원회, 한국산업인력공단, http://skill.hrdkorea.or.kr/
  2. 고혜원, "21세기 산업구조에 부합하는 숙련기술장려 사업 개편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용영보고서, 2010.
  3. 김명호, "노동부의 국내기능경기대회 주조 직종 폐지 개편안 파동에 관한보고", 제28권 제3호, pp141, 한국주조공학회지, 2008.
  4. 정성훈, "기능경기대회 인지도, 지원정도, 참가동기, 대회성적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기술교육대테크 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pp19-20, 2009.
  5. 네이버 백과사전, "http://terms.naver.com/entry"
  6. 한국애니메이션고등학교, "애니메이션직종 '경기집행 과정' 및 '심사채점결과'에 따른 이의 신청"공문, 2010.
  7. 문화체육관광부․한국콘텐츠진흥원, "애니메이션산업", 제4부 콘텐츠산업통계조사 부문별 결과, pp.317- 319, 2010.
  8. 이상원, "디지털 콘텐츠 제작을 위한 애니메이션 워크북"미술문화, pp.53, 2009.
  9. 다음 백과사전, "http://dic.daum.net/word"
  10. 문화체육관광부․한국콘텐츠진흥원, "2011 콘텐츠산업통계산업", pp.543,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