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Landscape Evaluation Model Based on the Biotope Classification

비오톱 유형분류를 기반으로 한 경관평가 모형개발 및 적용

  • Park, Cheon-Ji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Ra, Jung-Hwa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Cho, Hyun-Ju (Daejeon Development Institute) ;
  • Kim, Jin-Hy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won, Oh-Su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2.07.02
  • Accepted : 2012.08.26
  • Published : 2012.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of the view evaluation of biotope classification before development by selecting an area, which is as large as about $10.0km^2$ around Non Gong Up, Auk Po Myun, Dalsung Gun, Daugu where the large project has been planned, as a subject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Because of the classification of biotope, there are 23 kinds of types that are subdivided into 140 types. Three surveys for selecting the assessment indicators were performed. The first survey analyzed the importance of 22 selected assessment indicators based on the evaluation of an existing literature review and on the spot research. The second survey performed factor analysis and reclassified the value indicators. The third survey computed additive values of the selected assessment indicators. It used a method of standardizing the average importance of indicators by making their sum equal by 10. Theses additive values were then multiplied by each grade of indicators in order to make a final evaluation. The number of assessment indicators finally selected through the survey of asking specialist is vitality elements, visual obstructs elements etc 19. According to the result of evaluation of 1st, 1 grade spaces which especially valuable is analyzed that 7 spaces, 2 grade spaces for 4, 3 grade spaces for 5, 4 grade space for 2, 5 grade space for 5. Because of the evaluation of 2st, 1 grade spaces which especially valuable(1a, 1b) is analyzed that 15 spaces, 2 grade spaces which valuable is analyzed that 28 space. As the evaluation of site suitability model of this study couldn't have high applicability to other similar area because of having only one site as a subject, it is needed to do synthesize and standardization of various examples to have higher objectivity later.

본 연구는 대규모 택지개발 예정지로 계획되어 있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면 논공읍 일대 약 $10km^2$를 대상으로 비오톱 유형분류를 기반으로 한 미 시각 측면에서의 경관가치 평가 모형을 설정해 보고, 이를 실사례지에 적용해 봄으로써 평가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해 보는데 가장 큰 의의를 두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비오톱 유형분류 결과, 평가대상이 되는 23개의 비오톱 유형과 이에 귀속되는 140개의 세부 비오톱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평가지표 선정을 위한 설문조사는 1차, 2차, 3차 설문으로 나누어 수행하였다. 먼저 1차 설문분석은 우선 문헌연구 및 현장조사를 바탕으로 선정된 22개의 평가지표 항목들에 대한 중요도를 분석하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2차 설문분석은 요인분석을 실시, 내재된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지표들을 재분류하였다. 3차 설문분석은 선정된 평가지표 항목의 가중치를 산정하는 단계로서, 평가지표 항목의 중요도 평균을 기준으로 합이 10이 되도록 표준화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2차 평가 시 각 지표항목의 점수에 가중치를 곱하여 최종 평가에 활용하였다. 이상과 같은 전문가 설문분석 결과, 최종 선정된 평가지표는 활력충전요소, 시각적 방해요소 등 총 19개 항목으로 조사되었다. 1차 평가 결과, 특별히 가치 있는 I등급은 식생이 풍부한 자연형 하천유형(D), 습지 및 늪지 유형(I) 등 총 7개 유형으로 나타났다. 또한 II등급으로는 식생이 풍부한 인공형 하천유형(E), 침엽수림 중심의 산림유형(Q) 등 총 4개 유형, III등급은 식생이 풍부한 자연형 실개천 및 도랑유형(F) 등 총 5개 유형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가치가 낮은 IV등급, V등급은 각각 식생이 빈약한 실개천 및 도랑유형(G) 등 총 2개 유형과 녹지가 빈약한 복합형 주거지역(B) 등 총 5개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2차 평가 결과, 경관 가치가 특별히 높은 비오톱 유형(1a, 1b)은 15개 공간으로 조사되었으며, 경관의 가치가 높은 유형(2a, 2b, 2c)은 총 28개 공간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시된 경관평가 모형이 타 유사지역에서도 높은 적용성을 가지기에는, 본 연구에서 설정한 하나의 연구대상지만으로는 부족함이 있었던 바, 차후에는 다양한 사례지를 종합하고 표준화하여 객관성을 높여 나갈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승주, 임승빈(2009) 도시경관 진단을 위한 평가모델 및 지표개발 연구: 서울시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7(1): 78-86.
  2. 김용수, 박찬용(2007) 도시근교 택지개발지역의 경관계획지표 적용방안. 농촌계획학회지 13(3): 51-60.
  3. 나정화, 도후조(2003) 도시 중심부 지역의 비오톱 구조분석 및 평가: 대구광역시 중구 사례지를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6(5): 9-20.
  4. 나정화, 이석철, 사공정희, 류연수(2001) 생물종 및 서식지 보전의 관점에서 본 대도시의 비오톱 구조분석. 한국조경학회지 28(6): 29-51.
  5. 나정화, 류연수(2003) 도시 경관생태계획 지표설정 및 중요도 평가: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38(1): 21-35.
  6. 박찬용, 이영대(1997) 도시경관 평가에 있어서 녹지의 역할과 계획지표 설정에 관한 연구: 대구시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5(1): 18-35.
  7. 서주환, 조영배, 이준근(2002) 형태지수를 이용한 농촌경관의 선호성 분석에 관한 연구: 농촌 문화마을을 대상으로. 한국산림휴양학회지 6(2): 7-14.
  8. 윤상호, 이종훈, 홍장원, 박상우(2003) 해안지역의 경관관리방안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321(0): 1-152.
  9. 이동근, 윤은주, 김은영, 조순재(2007) 농촌어메니티 자원에 기초한 농촌경관평가에 관한 연구. 농촌계획학회지 13(1): 11-17.
  10. 이상문, 최형석, 박창석, 주신하, 신지훈(2007) 자연경관 보존 및 관리를 위한 제도적 접근. 농촌계획학회지 13(3): 23-32.
  11. 이성룡(2001) 경기도 강변지역 경관관리방안. 경기개발연구원 2001(14): 1-202.
  12. 이현택(1996) 고속도로 사면의 수경처리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4(2): 1-12.
  13. 임승빈(1988) 경관분석 및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6(1): 43-51.
  14. 임승빈(1994) 경관영향평가 지표의 개발. 한국조경학회지 22(1): 1206-1208.
  15. 임승빈, 서정희, 박향춘, 정윤희(2007) 경관유형 분류지표에 관한 연구: 자연 및 농촌경관 유형도 작성을 중심으로. 농촌계획학회지 13(1): 41-50.
  16. 조동범(2001) 도시주변 녹지경관의 보전․관리에 있어 경관잠재력 지표의 경관정보화 가시화 연구. 농촌계획학회지 7(1): 37-48.
  17. 조현주, 나정화, 사공정희, 류연수(2009) 농촌비오톱 유형분류 및 특성분석. 농촌계획학회지 15(4): 13-32.
  18. 한국경관협의회(2008) 경관법과 경관계획. 서울: 보문당.
  19. Arriaza, M and J. F. Canas-Ortega, J. A. Canas-Madueno, P. Ruiz-Aviles(2004) Assessing the visual quality of rural landscapes. Landscape and Urban Plannng 69(1): 115-125. https://doi.org/10.1016/j.landurbplan.2003.10.029
  20. Bauer, G., K. Gerresheim and U. Kisker(1976) Landschftsrahmenplan Erholungspark Ville. Beitraege zur Landesentwicklung 35: 149-173.
  21. Denise, E. H. and R. D. Brown(2002) Enhancing visual preference of ecological rehabilitation site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58: 57-70. https://doi.org/10.1016/S0169-2046(01)00240-7
  22. Forman, R. T. T.(2000) Estimate of the area affect edecologically by the road system in the United. Conservation Biology 14: 31-35. https://doi.org/10.1046/j.1523-1739.2000.99299.x
  23. Goossen, M. and F. Langers(2000) Assessing quality of rural areas in the Netherlands: Finding the most important indicators for recreation.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46(4): 241-251. https://doi.org/10.1016/S0169-2046(99)00058-4
  24. Hull, R. B., and R. B. Revell(1989) Issues in sampling landscapes for visual quality assessment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7(4): 323-330. https://doi.org/10.1016/0169-2046(89)90086-8
  25. Jose, A. A.(2006) Relationship between landscape visual attributes and spatial pattern indice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77(4): 393-407. https://doi.org/10.1016/j.landurbplan.2005.05.003
  26. Kaerkes, W.(1986) Zur oekologischen Bedeutung urbaner Freiflaechen. Diss. Univ. Bochum: 281-284.
  27. Kiemstedt, H.(1975) Landschaftsbewertung fuer Erholung im Sauerland. Dortmund, 40-72.
  28. Laurie, M. M.(1984) Comment on A. R. Beer : "the teaching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the need to develop landscape planning as a specialism". Landscape Planning 11(3): 251. https://doi.org/10.1016/0304-3924(84)90049-2
  29. Marks, R., J. Manfred, H. Leser and H. J. Klink(1989) Anleitung zur Bewertung des Leistungsvermoegens des Landschaftshaushaltes. FDL Band 229. Trier. 129-135.
  30. Patton, D. R.(1975) A diversity index for quantifying habitat edge. Wildlife Socoety Bulletin 394: 171-173.
  31. Sukopp, H.(1969) Der Einfluss des Menschen auf die Vegetation. Vegetation 17: 363-369.

Cited by

  1.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Landscape Ecological Planning Model based on Biotop Mapping - A Case study of Large Residential Land Development Area - vol.19, pp.4, 2013, https://doi.org/10.7851/ksrp.2013.19.4.017
  2. Landscape Assessment and Landscape Planning based on Landscapetope Classification vol.17, pp.1, 2014, https://doi.org/10.13087/kosert.2014.17.1.065
  3. Spatial Suitability Evaluation of an Arid City Based on the Perspective of Major Function Oriented Zoning: A Case Study of Urumqi City in Xinjiang, China vol.10, pp.9, 2018, https://doi.org/10.3390/su10093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