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emorial Design for Relocation Site of Steam Locomotive in Jangdan Station on Kyong-Eui Railway

경의선 장단역 증기기관차 이전지 기념공간 설계

  • Park, No-Ch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Dasan Consultant Co., Ltd.) ;
  • An, Seung-Ho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 박노천 ((주)다산컨설턴트 조경부) ;
  • 안승홍 (한경대학교 조경학과)
  • Received : 2011.12.27
  • Accepted : 2012.08.23
  • Published : 2012.08.31

Abstract

Kyong-Eui Railway used to be one of the major cross-country railways connecting Busan and Shineuiju. Being the central axis of logistics and transportation in Korea, it also signifies a symbolic meaning of the people's desire for the unification of divided Korean peninsula. A steam locomotive that had stopped in Jangdan Station was bombed out during the Korean War. The locomotive has been neglected and covered with rust in DMZ over a half century, and now is becoming a historic reminder of divided Korea. The initial design approach was based on the three main perspectives of the relocation plan of the steam locomotive in Jangdan Station which is designated as the registered cultural asset no. 78: historical significance, role of a monumental space, and influence on and from the local culture and tourism. Three design subjects were especially highlighted which would represent the identity of the cultural asset, the stream locomotive. First, a vertical watching deck was installed to provide various view points toward the locomotive while ensuring the security of visitors as well as the cultural asset. Second, the Dokgae bride area has good design potentials being on the railway. However, the site is too narrow. Thus, a new ramp and a stairway were placed responding to the existing topography so that the pedestrian environment could be secured last, to respect the local context where the locomotive was originally located, mulberry trees in the locomotive were transplanted as well. Flowering plants were planted around the display area for better ventilation to minimize the negative impact on the locomotive.

경의선 철도는 부산과 신의주를 오가던 한반도의 주요 종단 철도로서 한반도 물류, 교통의 중심이었으며, 동시에 분단국가의 하나됨을 염원하는 상징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경의선 장단역에 멈춰선 증기기관차는 한국전쟁 당시 피폭되었다. 이 기관차는 녹슨 채 반세기 넘게 비무장지대 안에 방치되어 있었으며, 남북분단의 역사적 상징물이다. 본 연구는 등록문화재 제78호인 '경의선 장단역 증기기관차'의 이전에 따라 역사적 관점, 기념공원으로서의 역할 그리고 지역문화 관광적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설계의 주안점은 기본적으로 증기기관차라는 문화재의 정체성을 대변하는 3가지 이슈를 가지고 접근하였다. 첫째, 독개다리 지역은 경의선 상에 배치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부지가 협소하여 기존 지형을 이용한 경사로와 계단 등을 설치하여 일정한 보행환경을 유지하였다. 둘째, 수직적 관람데크를 설치하여 전시물을 다양한 방식으로 관람하도록 하였으며, 관람공간은 관람객의 안전과 문화재의 보호를 고려하였다. 셋째, 증기기관차가 원래 있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기관차 내에 자생하던 뽕나무를 이식하였으며, 전시공간 주변으로는 통풍을 위해 초화류를 식재하여 문화재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박동석(2005) 문화재보호법. 서울: 민속원.
  2. 유병림(1996) 공원설계에서 기념성의 문제. 한국조경학회지 23(4): 40-49.
  3. 이상석(2001) 기념성을 구현하기 위한 조경디테일의 특성. 한국조경학회지 29(5): 71-83.
  4. 이상석(2010a) 한국전쟁 메모리얼의 설계요소에 나타난 기념성. 한국조경학회지 38(1): 12-24.
  5. 이상석(2010b) 6․25전쟁 기념공간에 나타난 기념적 표현.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2): 98-108.
  6. 한갑석, 박한규(2003) 현대건축에 있어서 기념비성의 표현방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논문발표집 23(2): 295-298.
  7. Wasserman, Judith(1998) To trace the shifting sands: Community, ritual and memorial landscape. Landscape Journal 17: 42-61.
  8. http://www.cha.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