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ase study on the Validity Review of the Problem Solving Process of Elemetary $5^{th}$ graders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문제해결 과정의 타당성 검토 활동에 관한 사례연구

  • Received : 2012.04.16
  • Accepted : 2012.08.20
  • Published : 2012.08.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vide implications from mathematics education perspective by designing a process of 'validity review o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and then, by analyzing the results. In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features of children's thinking in accordance with 4 stages of problem solving, children's thinking was equally observed in every stage rather than intensively observed in one stage, and reflective thinking related to important elements from each stage of problem solving process was observed. In the result of analysis of changes in description for problem solving proces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aspects of changes by children's knowledge level in mathematics, however, the activity of validity review on problem solving process in overall induced positive changes in children's description, especially the changes in problem solving process of children. Through the result of this study, we could see that the validity review on problem solving process promotes children's reflective thinking and enables meta-cognition thus has a positive influence on children's description of problem solving process.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2008). 2007년 개정 교육과정 해설, 서울: 대한교과서(주).
  2. 교육과학기술부 (2011a). 수학 5-1, 서울: 두산동아(주).
  3. 교육과학기술부 (2011b). 수학 5-1 교사용 지도서, 서울: 두산동아(주).
  4. 김민경 외 (2008). 초등학교 6학년 수학과 서술형 평가의 자료개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1(4), 43-567.
  5. 김정은 (2011). 초등학교 문제해결 과정의 반성 활동에 대한 지도 방안,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6. 김지연 (2009). 문제해결에서의 반성 활동이 수학 학업 성취도 및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김혜정 (2005). 문제해결 과정의 검토 및 수정활동에서 나타나는 사고의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박교식 (2003). 문제해결력 키우기, 서울: 수학사랑.
  9. 윤미영 (1995). 문제해결에서 메타인지의 역할을 강조한 수업 효과에 관한 연구: Lester의 관점에서 본 메타인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봉주 (2002). 수학문제해결 과정에서 고등학생들의 메타인지적 능력 활성화 방안,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1. 이봉주 (2007). 수학 문제해결 과정에서 학생의 자기평가사례 연구, 중등교육연구, 55(2), 1-25.
  12. 우정호 (2000). 수학 학습-지도 원리와 방법,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3. 윤정민 (2005). 상호 교류적 쓰기-반성 활동이 수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윤정욱 (2011). 초등학생 자신의 수학 문제해결 과정에 대한 설명이 문제 해결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장선명 (2004). 반성 활동에 초점을 둔 증명지도 사례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조두경 (2007). 초등학생들의 문제해결 과정 분석,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조미경 (2007). 초등수학 서술형 수행평가 문항 및 평가기준 개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46(2), 207-226.
  18. 한국교육개발원 (1985). 수학과 문제 해결력 신장을 위한 수업 방법 개선 연구, 연구보고 RR85-9,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9. Baroody, A. J., & Coslick, R. T.(1998). Fostering children's mathematical power: an investigative approach.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 Koszalka, T., Song, H., & Grabowski, B. (2002). Learner's perception of design factors that supprot their reflective thinking during problem-based learning. Proceedings of the AECT 2001 Conference, Research & Theory, Vol. 1, 217-221.
  21.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Inc.
  22. Polya, G. (1957). How to Solve It, 우정호 역 (1986). 어떻게 문제를 풀 것인가?, 서울: 천재교육
  23. Schoenfeld, A. H. (1980). Heuristcs in the classroom problem solving in school mathematics. Yearbook, NCTM

Cited by

  1. A Study on the Analysis and Correction of Error for the Gearwheel-involved Problem vol.28, pp.1, 2014, https://doi.org/10.7468/jksmee.2014.2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