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Development of Personalized Learning Materials for Underachievers in Elementary Mathematics

초등 수학 학습 부진아 지도를 위한 맞춤형 학습 자료 개발 연구

  • Received : 2012.06.25
  • Accepted : 2012.08.22
  • Published : 2012.08.31

Abstract

In this research, we observed how students perform as they followed the teachers' instruction, and consequently perform their realized potential. As the accountability of school education is emphasized, various attempts try to disconnect the vicious cycle of producing low achievers. Efforts are allocated into developing a method to minimize cumulative effect of the lag in educational benefit by focusing on the elementary education. Based o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mathematics achievement level and assessment criteria were developed. These criteria were used to standardize the course and assessment objectives for 4th through 6th grade students' mathematics studies, and to assess lower performing students and the lag in their mathematical understanding. The educational materials and assessment criteria can be expected to lead lower performing students by giving them the personalized lesson plans to minimize the lag of mathematical understanding, and eventually expedite their progress and prevent cumulative effect of the lag in the following curriculum.

학교 교육의 책무성이 강조됨에 따라 학교에서 교사의 수업 진도를 제대로 따라가지 못하는 학생들이 자신의 능력을 충분히 발현하지 못한 채 학습부진아가 되는 연결고리를 끊으려는 시도가 다양하게 모색되고 있다. 특히 학교 교육의 초기 단계인 초등학교에서부터 학습 부진아들의 학습 결손이 누적되지 않도록 하려는 노력들이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설정된 수학과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을 바탕으로 초등학교 4~6학년 학생들이 수학 학습에서 도달해야 할 필수 학습 목표와 평가 목표를 설정하고, 학습 부진 정도의 판별을 위한 평가 도구와 학습 부진아를 지도하기 위한 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평가 자료와 학습 자료는 개인의 학습 부진 정도에 따라 개별 관리가 가능한 맞춤형 학습 자료로 활용됨으로써 초등학교에서 학습 결손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재천․최영성․최영순(2006). 학습부진아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모형 구안. 초등교육학연구, 13(2), 25-42.
  2. 구진영(2007). 학습부진아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과 지도실제. 초등특수교육연구, 9(1), 1-22.
  3. 김동일(1999). 학습부진아 교육에 관한 교육심리학의 역할과 과제. 교육심리연구, 13(2), 13-32.
  4. 김동일․이주영(2007). 수학저성취 아동과 일반 아동의 연산 오류 유형 변화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8(2), 161-181.
  5. 김선환(2003). 개별화 학습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학습 부진아의 학업성취수준 향상 방안-수학1-3단계수․연산 영역을 중심으로. 한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용욱․이성환․안정애․이창섭(2009). 학습부진아 지도 실태 및 지도교사의 인식 조사. 학습장애연구, 6(2), 69-99.
  7. 김정아(2008). 학습 부진아를 위한 수학 개별화학습 ICT 콘텐츠 설계 및 구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종오(2001). 수학과 학습부진아에 대한 단계형 과제 학습의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흥식(2007). 학습부진아의 도형개념 형성을 위한 교육용 게임의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류성림(1999). 수학 학습 부진아의 개별화 교수 방법. 초등수학교육, 3(2), 115-131.
  11. 박동섭(2007). 학습부진의 사회․문화․역사적 접근. 한국교육사상연구회 학술논문집, 45, 1-25.
  12. 박선화(2008).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 개발 연구-3학년-10학년. 연구보고 CRC 2008-4.
  13. 박성익(2008). 개별화학습의 전망과 과제. 교육방법연구, 20(1), 1-22.
  14. 박성혁, 이지혜(2008). 학습 부진아의 교육받을 권리 보장-기초학력 책임지도제를 중심으로-. 시민교육연구, 40(1), 29-46.
  15. 박인우(2011). 학습자의 기본적 심리 욕구와 교사의 자율성지지 및 교수전략이 학습자의 수업 참여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교육방법연구, 23(1), 235-250.
  16. 박인우․정한호(2006). 초등학교 교실수업에서 e-러닝에 대한 교사, 학생, 학부모 인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2(3), 197-230.
  17. 손승현(2008). 학습부진아를 위한 개별화 교육방법. 교육방법연구, 20(1), 93-110.
  18. 오영열(2007). 수학 학습부진아 지도를 위한 대학생 지도교사제 프로그램의 개선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7(1), 257-275.
  19. 우경철(2002). 단계형 학습지도를 통한 수학과 학습 부진아 지도방안 연구. 안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우정호․정영옥․박경미․이경화․김남희․나귀수․임재훈(2006). 수학교육학 연구방법론. 서울: 경문사.
  21. 이경언․권점례․오상철(2008). 교실 내 맞춤형 학습지원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08-3-1.
  22. 이남훈․권성룡(2005). 수학학습부진아 지도를 위한 도움자료의 개발과 효과 분석. 초등수학교육, 9(2), 89-105.
  23. 이대식․장수방(2002). 수학 학습부진아 및 학습장애아교육 관점에서 분석한 초등학교 저학년(1-3학년) 수학 교과서의 적합성. 특수교육연구, 9(1), 201-219.
  24. 이대식․최종근․전윤희․김연진(2007). 수학 기초학습 부진학생 집단의 특징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8(1), 93-130.
  25. 이봉주․조윤동․김미경(2011). 2010년 국가수준 학업 성취도 평가 결과 분석-수학.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1-3-4.
  26. 이용덕(2001). 수학과 학습부진의 연산능력 신장 방안에 관한 연구.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이종배․한규정(2008). 수학과 학습 부진아를 위한 웹기반 진단평가 시스템의 개발 및 적용.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2(3), 275-282.
  28. 이화순(2001). 중학교 수학과 학습부진아 구제를 위한 단계별 교수․학습 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고찰-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이화진․김민정․이대식․손승현(2009). 학습부진 학생지도․지원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대안 탐색-학습부진학생 지도․지원 종합 계획(안) 제안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09-13.
  30. 전효선․이문복․박주현․이윤옥․김이성․차지연 (2011). 국내의 부진학생 지도․지원 우수 사례집.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ORM 2011-19-1.
  31. 주영희․김성준 (2009). 측정 영역 수학학습부진아의 오류 유형 및 지도 방안 연구. 교과교육학연구, 13(4), 717-736.
  32. 최정현․김상룡 (2011). 이전 학년의 교과서를 활용한 수학 학습 부진아 지도에 관한 사례 연구. 초등수학교육, 14(1), 81-95.
  33. 홍선주․김태은 (2010). 맞춤형 학습의 효과적 방안에 대한 인식 조사. 초등교육연구, 23(2), 309-334.
  34. 황윤한 (2004). 개별화 수업의 본질에 관한 탐구. 초등교육연구, 17(2), 269-300.
  35. DCSF (2008). Personalised learning: A practical guide. www.teachernet.gov.uk
  36. Greeno, J., Collins, A., & Resnick, L. (1996). Cognition and learning. In D. Berliner & R. Calfee (eds.), Handbook of educational psychology (pp. 15-46). NY: Macmillan.
  37. McAdamis, S. (2001). Individual paths: Teachers tailor their instruction to meet a variety of student needs. Journal of Staff Development, 22(2), 48-50.
  38. Miller, S. P. & Mercer, C. D. (1997). Educational aspects of mathematics disabilities.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30(1), 47-56. https://doi.org/10.1177/002221949703000104
  39. Spooner, F., Baker, J. N., Harris, A. A., Ahlgrim-Delzell, L. & Browder, D. M. (2007). Effects of raining in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on lesson plan development. Remedial & Special Education, 28(2), 108-116. https://doi.org/10.1177/07419325070280020101
  40. Tomlinson, C. A., Callahan, C. M., Tomchin, E. M., Eiss, N., Imbeau, M., & Landrum, M. (1997). Becoming architects of cpmmunities of learning: addressing academic diversity in contemporary classrooms. Exceptional Children, 63(2), 269-282. https://doi.org/10.1177/001440299706300210
  41. Tomlinson, C. A. (2005). Grading and differentiation: paradox or good practice? Theory into Practice, 44(3), 262-269. https://doi.org/10.1207/s15430421tip4403_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