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search on the Saekdong in the late 20th Century on the magazines

20세기 후반(1955-1995) 인쇄매체에 나타난 색동에 대한 연구

  • Kim, Yeo-Kyung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Ewha Womans University) ;
  • Kim, Jeong-Min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Ewha Womans University) ;
  • Hong, Na-Young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Ewha Womans University)
  • 김여경 (이화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 김정민 (이화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 홍나영 (이화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Received : 2012.05.07
  • Accepted : 2012.07.15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nizations of traditional Saekdong by analyzing the magazines from the 1955 to 1995. The application of Saekdong extended during the 1950s. Before, Saekdong was only used for children; however, women were wearing it during this period. With the advancement of the fabric industry in the 1960s, a great popularity of Saekdong was witnessed and its application extended even further. During the 1970s, the Saekdong was applied in westernized clothes; however, the 1980s was a time of renaissance for Saekdong as the awakening of national identity movement began. The application of Saekdong in westernized clothes became more popular during the 1990s as the widespread of industrial designing was inspired by the tradition. The functional aspect of Saekdong such as recycling the leftover fabrics decreased over the years whereas the decorative aspect increased. The form of Saekdong became more variant. The Saekdong was applied either as a part or whole of the clothes. With the development of the mechanically woven Saekdong, various widths and forms of Saekdong, not only vertical lines but also diagonal and wave lines, appeared. The colors also changed. During the 1990s, low chroma and gradation methods were applied. Gold and silver threads also were woven together. The motifs were created and gilts were printed on Saekdong.

Keywords

References

  1. 홍나영, 신혜성, 이은진 (2011),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파주: 교문사, p. 36.
  2. 박상의 (1978), 색동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정현경 (1986), 색동옷의 시각적 반응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영인, 강병희, 조희래 (1998), 한국적 복식 디자인의 개발을 위한 색동의 색채분석, 한국의류학회지, 22(3), pp. 384-395.
  5. 정경임, 박혜원, 조오순 (2002), 색동직물의 배색 선호도에 따른 이미지 연구, 생활과학연구, 6, pp. 49-59.
  6. 조우현, 김미진 (2010), 동부아시아 민족복식 색동계보, 복식, 60(4), pp. 113-125.
  7. 서옥경 (2009), 색동을 응용한 문화상품 디자인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5(3), pp. 153-160.
  8. 김정희 (2003), 색동을 응용한 복식디자인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이윤주, 변정현, 황의숙 (2002), 색동의 이미지를 응용한 유아복 디자인 연구, 배화논총, 21, pp. 397-405.
  10. 국립국어연구원 (1999), 표준국어대사전, 서울: 두산동아, p. 3322.
  11. 국립국어연구원 (1999), 표준국어대사전, 서울: 두산동아, p. 1627.
  12. 성승연 (1999), 색동의 현대적 표현을 위한 의상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
  13. 김정의 (2000), 방정환의 소년인권운동 재고, 역사와 실학, 14, p. 877.
  14. 심연옥 (2002), 한국직물오천년, 서울: 고대직물연구소. p. 154.
  15. 김정아 (2011), 개항기 이후 한국 아동복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2.
  16. 이명은 (2003), 궁중발긔에 나타난 행사 및 복식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22.
  17. 담인복식미술관 (1999), 이화여자대학교 담인복식미술관 개관기념도록,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p.168.
  18. 국립민속박물관 (1993), 국립민속박물관, 서울: 신유, p. 154.
  19. 고려대학교 박물관 (1990), 복식류명품도록, 서울: 고려대학교 박물관, p. 70.
  20. 김경실 (2003), 조선시대 궁중진연 복식, 서울: 경춘사, p. 106.
  21. 금기숙, op. cit., p. 77.
  22.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00), 한국 전통 어린이복식, 서울: 단국대학교 출판부, p. 81.
  23. 정시화 (1983), 한국인의 색채의식에 관한 연구, 조형논총, 3(1), pp. 69-72.
  24. 조우현, 김미진 (2010), 동부아시아 민족복식 색동계보, 복식, 60(4), p. 122.
  25. "우리집의 어린이 왕국" (1961. 5), 여원, p. 8.
  26. "望鄕" (1958. 1), 여원, p. 31.
  27. "第一回횃숀 콘테스트 入選作" (1958. 4), 여원, p. 37.
  28. "新連載․家業半世紀 보신포목점" (1968. 1) 여원, p. 179.
  29. "女人王國의 戴冠式날" (1968. 4), 여원, p. 262.
  30. 황의숙 (1995), 한국여성 전통복식의 양식변화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54.
  31. "어린이날 아가의 잔치" (1967. 5), 여원, p. 264.
  32. "실크 판타지" (1967. 3), 여원, p. 19.
  33. "한가위 韓服달맞이" (1979. 10), 여원, p. 223.
  34. "이영희의 개량한복" (1987. 4), 멋, p. 68.
  35. "사라지지 않는 한복문화" (1992. 2), 멋, p. 177.
  36. "바래지 않는 한복의 멋" (1994. 2), 멋, p. 170.
  37. "정초에 어울리는 한복" (1974. 1), 신여원, p. 65.
  38. 상업은행 광고 (1982. 1), 여원, p. 220.
  39. "황신엽의 개량한복" (1985. 5), 멋, p. 173.
  40. "현대감각 살린 우리 의상" (1975. 5), 여원, p. 68.
  41. "새마음 꽃이 되어" (1968. 1), 여원, p. 61.
  42. "새아침 나들이" (1975. 1), 여원, p. 20.
  43. "정초에 어울리는 한복" (1974. 1), 신여원, p. 63.
  44. "연말연시 특선 한복 새해맞이" (1986. 12), 여원, p. 108.
  45. "코오롱텍스" (1974. 12), 여원, p. 51.
  46. "현대감각 살린 우리 의상" (1975. 5), 여원, p. 66.
  47. "12월 Anniversary Calendar" (1989. 12), 여원, p. 515.
  48. "꼬마의 사진첩" (1983. 1), 여원, p. 410.
  49. 코오롱텍스 광고 (1974. 1), 신여원, p. 59.
  50. "바래지 않는 한복의 멋" (1994. 2), 여원, p. 169.
  51. "꼬마의 사진첩" (1984. 11), 여원, p. 448.
  52. 세방전기 광고 (1977. 12), 여원, p. 57.
  53. "겨울철 나들이 정장" (1984. 10), 멋, p. 189.
  54. "패션으로 알린 '아, 대한민국'" (1985. 6), 멋, p. 21.
  55. "해맑은 우리 색감" (1989. 9), 멋, p. 90.
  56. "한복 웨딩드레스" (1984. 9), 멋, p. 20.
  57. "주워다 키운 하늘의 白合" (1983. 7), 여원, p. 126.
  58. 표지, (1974. 1), 여원.
  59. "때때옷 잔치" (1986. 1), 여원, p. 296.
  60. 코오롱텍스 광고 (1983. 12), 여원, p. 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