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Textiles of Female Chima·Jeogori in the 20th Century

20세기 치마·저고리의 소재 연구

  • Received : 2012.01.03
  • Accepted : 2012.08.20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fabrics of Chima, Jeogori of the 20th century. It was based on Kyungwoon Museum relics, newspaper articles and photographs.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transition process that has been organized into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is from the opening of a port to the colonial period in Korea. By this time, the casual wear Hanbok was made with the traditional cotton and woolen textiles in addition to quite a lot of upscale clothing textiles. Stage two is from 1970s to the period after the liberation and Western Costumes represent the time of when the suit was mixed. At the time of the war, due to social and economic difficulties, convenience and practicality were emphasized rather than focusing on aesthetic characteristics. Third period is from the 1980s to the 1990s when the Hanbok was no longer considered a casual wear. Instead, its high quality and elegance redefined it to be a formal wear.

Keywords

References

  1. 김희정 (1986), 開化期織物에 關한 考察,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신혜성(1999), 개화기이후 한국 단직물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이은진 (2000), 해방이후의 한복용 소재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조우현, 안현주 (2010), 근대 여자한복 유물의 문양연구, 복식, 60(10), pp. 100-117.
  5. 이옥임 (1963), 양장을 중심으로 한 한국여성의 복장형태분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1983), 서울六百年史, 5
  7. 이현진 (2008), 近代여자 저고리 변천 연구 -경기여고 경운박물관 소장 유물 중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56.
  8. 신혜성(1999), 개화기이후 한국 단직물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0-11.
  9. "新春을 迎하는 都會人의 新準備" (1921. 3. 12), 동아일보.
  10. "京城女子社會의 流行과 奢侈의 種種" (1925. 8. 8), 동아일보.
  11. 이은진 (2000), 해방이후의 한복용 소재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57.
  12. 이은진 (2004), 19-20세기 초 견직물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24.
  13.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우리나라 전통무늬1 직물, 서울: 눌와, p. 183.
  14.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우리나라 전통무늬1 직물, 서울: 눌와, p. 179.
  15. 배성준 (1993), 1930년대 日帝纖維資本의 침투와 朝鮮織物業의 재편, 한국사론, 29, p. 205.
  16. 이현진 (2008), 近代여자 저고리 변천 연구 -경기여고 경운박물관 소장 유물 중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57.
  17. 신혜성(1999), 개화기이후 한국 단직물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3-14.
  18. 權泰檍(1996), 韓國近代綿業史硏究, 서울: 一潮閣, p. 64.
  19. 이현진 (2008), 近代여자 저고리 변천 연구 -경기여고 경운박물관 소장 유물 중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75.
  20. 이현진 (2008), 近代여자 저고리 변천 연구 -경기여고 경운박물관 소장 유물 중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74.
  21. 權泰檍(1980), 韓末.日帝初期서울地方의 織物業, 한국문화, 1, p. 164.
  22. 權泰檍(1980), 韓末.日帝初期서울地方의 織物業, 한국문화, 1, p. 160.
  23. 동양나일론주식회사 (1976), 동양나일론 10년사, 서울: 동양나일론주식회사, 동아일보.
  24. "14品目百78萬弗" (1995. 1. 9), 동아일보.
  25. "올 여름 洋裝表情지나친 노출족의 非禮" (1956. 8. 23), 동아일보.
  26. 코오롱 20年史編纂委員會(1997), 코오롱 20年史, 서울: 株式會社코오롱, p. 104.
  27. 高元逸(1960), 치마저고리의 流行十五年, 여원, 10월호, p. 234.
  28. 이현진 (2008), 近代여자 저고리 변천 연구 -경기여고 경운박물관 소장 유물 중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79.
  29. 한국화섬협회 (1993), 韓國의 化纖産業, 서울: 한국화섬협회, pp. 185-186.
  30. 이현진 (2008), 近代여자 저고리 변천 연구 -경기여고 경운박물관 소장 유물 중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61.
  31. 코오롱 20年史編纂委員會(1997), 코오롱 20年史, 서울: 株式會社코오롱, pp. 298-302.
  32. 한국화섬협회 (1993), 韓國의 化纖産業, 서울: 한국화섬협회, pp. 273-279.
  33. 한국화섬협회 (1993), 韓國의 化纖産業, 서울: 한국화섬협회, p. 370.
  34. 경운박물관 (2004), 영부인 예복으로 본 한복의 흐름, 서울: 경운박물관, p. 15.
  35. 이현진 (2008), 近代여자 저고리 변천 연구 -경기여고 경운박물관 소장 유물 중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64.
  36. 김상대 (1994), 진주지역 중소기업의 성장전략에 관한 정책토의, 진주: 진주시.
  37.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우리나라 전통무늬1 직물, 서울: 눌와, p. 371.
  38.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우리나라 전통무늬1 직물, 서울: 눌와, p. 141.
  39. 이현진 (2008), 近代여자 저고리 변천 연구 -경기여고 경운박물관 소장 유물 중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55.

Cited by

  1. 신한복 치마에 대한 인식과 디자인 선호도에 관한 연구 vol.22, pp.2, 2012, https://doi.org/10.30751/kfcda.2020.22.2.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