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아동가족의 스트레스가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 가족탄력성 조절효과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Stress in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upon Problem-solving Ability - Centering on the Buffering Effect of Family Resilience -

  • 투고 : 2012.07.31
  • 심사 : 2012.09.10
  • 발행 : 2012.09.30

초록

본 연구는 장애아동가족의 스트레스가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가족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총 546명으로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유치원, 초 중 고등학교의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조사대상자의 스트레스, 문제해결능력, 가족탄력성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적 분석과 상관관계, 그리고 조절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아동가족의 스트레스, 문제해결능력, 가족탄력성 간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아동가족의 스트레스와 문제해결능력의 관계에서 가족탄력성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즉, 가족탄력성의 신념체계와 의사소통과정은 스트레스와 문제해결능력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가족탄력성이 높을수록 스트레스는 낮아지고 문제해결능력은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장애아동가족이 스트레스를 낮추고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학교현장 및 지역사회에서는 장애아동가족의 가족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가족상담 및 부모상담, 가족탄력성 프로그램의 개발 및 지원이 필요하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tress in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upon a problem-solving ability based on a buffering effect of family resilience through life cycle.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as 546 parents who have kindergarten, elementary,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in special schools. The date for this study were derived from questionaries and the answer sheet was analyzed by SPSS(VER. 14). A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moderating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general information and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between group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Higher belief system, higher organization type, higher communication process of the family with disabled children tend to appear more positive influences on buffering effects for stresses of family and solving-problem abilities. Findings from the current study demonstrate that the buffering effect of family resilience indicate to have positive influenc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ess and the problem-solving ability in the family with disabled childre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