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Regional Dependency Using the O-D Matrix of Commuters

통근 자료를 이용한 시군구 단위 지역종속성 분석 -수도권 및 충청권역을 대상으로-

  • Lee, Ji-Min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Tae-Gon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Jeong-Jae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Rural System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 Suh, Kyo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Rural System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이지민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연수연구원) ;
  • 김태곤 (서울대학교 대학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 이정재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 서교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Received : 2012.08.28
  • Accepted : 2012.09.25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affected our daily life and has caused to separate residential places from working places. Particularly in rural areas, the life zones are incorporated into larger towns or urban areas due to their lack of cultural, social and economic infrastructures. Thus, the analysis of the depended region and the life zone is important for the planning of regional revitalization programs and related pro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regional dependency model (RDM) using the origin-destination(O-D) matrix of commuters and compare it with the Nystuen & Dacey model for regional correlati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re analysed and our RDM were tested using the commuting data on Seoul metropolitan area(Seoul, Gyeong-gi, Incheon) and Chungchung area. The regional correlation model can only explain the determination of regional interaction without considering the direction of regional correlation but our model can show the direction of regional dependencies.

Keywords

References

  1. 권용식, 김창석, 1998, 서울대도시권의 통근패턴변화 (1980-1995), 국토계획 33(5), 183-197.
  2. 권용우, 2001, 교외지역: 수도권 교외화의 이론과 실제, 아카넷: 서울.
  3. 김감영, 2011, GWR과 공간 군집 분석 기법을 이용한 중심지 식별: 대구광역시를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4(3), 73-86.
  4. 김경추, 2009, 강원도 중심지 체계 변화, 국토지리학회지 43(3), 373-385.
  5. 김현중, 강동우, 조덕호, 이성우, 2010, 지역 간 상호연계에 기반 한 농촌과 도시 간 생활권의 차이 : 부산.울산 광역도시권을 중심으로, 농촌계획, 16(4), 61-75.
  6. 김효성, 구동희, 2011, 우리나라 지방행정체제 개편 방안: 지역 간 연계를 중심으로, 국토지리학회지 45(2), 249-264.
  7. 마강래, 강은택, 2008a, 통근통행을 고려한 수도권의 지역간 상호작용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0(2), 279-296.
  8. 마강래, 강은택, 2008b, 직장지와 주거지의 분포를 이용한 인구와 고용의 공간적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서울도시연구, 9(2), 33-48.
  9. 마강래, 강은택, 안아림, 2010, 자치단체간 생활권을 기반으로 한 행정구역 자율통합,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2(1), 123-136.
  10. 박제인, 장훈, 최낙훈, 2006, 인구 및 통근자 자료분석을 통한 도시확산현상 및 지역 간 상호작용 검증-서울 대도시권을 중심으로-,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4(2), 77-88.
  11. 박태화, 이재목, 1996, 경주시지역 중심지계층과 생활권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31(3), 508-528.
  12. 백승걸, 2003, 전국 통행기종점 자료를 이용한 지역간 상호관련성 분석, 국토계획, 38(3), 147-158.
  13. 윤준상, 1998, 광역지방행정중심지의 선정을 위한 합리적 입지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지도학회지 5(1), 93-102.
  14. 이성우, 지우석, 조중구, 2004, 조건부 로짓모형을 이용한 도시와 농촌의 통근 행태 비교, 1990-2000, 농촌경제, 27(4), 29-53.
  15. 이종상, 2000a, 통근통행 O-D행렬을 이용한 기능지역의 구분,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2(3), 33-43.
  16. 이종상, 2000b, 통행 O-D표를 이용한 지역간 상호 작용분석, 대한국토계획학회지, 35(6), 155-165.
  17. 이주형, 선권수, 2009, 토지이용밀도 및 주거유형별 분포에 따른 서울시 중심지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1(2), 253-279.
  18. 이주형, 선권수, 2009, 토지이용밀도 및 주거유형별 분포에 따른 서울시 중심지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1(2), 253-279.
  19. 정대영, 김상수, 김계현, 2009, GIS를 이용한 지가분포특성에 따른 중심지분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7(3), pp.65-70.
  20. John D. Nystuen, Michael F. Dacey, 1961, A GRAPH THEORY INTERPRETATION OF NO-DAL REGIONS, Papers in Regional Science, 7(1), 29-42. https://doi.org/10.1007/BF019690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