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ural Standard Services Condition in Rural Fishing Area and The Improvement of Checking Methods for Implementation performance

어촌지역의 농어촌서비스기준 실태와 이행실적 점검방식의 개선방안

  • Received : 2012.08.14
  • Accepted : 2012.09.11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living environment in rural fishing area and to suggest checking methods for implementation performance. Rural service standard is the key factor of rural development in Korea. In 2012. The first Implementations of performance was announced. The results were presented to the unit by the City and the County. Because of Fishing villages exists as a unit by the haengjeongri. It is difficult to know the status of the fishing villages by the Rural service standard. In order to look for the actual conditions in rural fishing village it was investigated in the 100 Eochongye. The data used in the analysis is 577 questionnaires. Analysis showed that rural fishing areas were superior to general state of rural in the 8 items of rural service standard. Especially housing, transportation and health care sector in rural fishing area wes better than general state of rural. But Public safety and order is relatively poor. This is because Fishing village contains islands. Presenting to improve rural service standard based on the results of research. The items of rural service standard should be measured the actual residents' accessibility than opportunity of the public service, and after setting the rural service standard clearly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in each sector. Accessibility aspects of the customer for the public services should be considered. Checking the performance for the unit by the City and the County should be replaced as a living zone in order to consider the facilities using nearby.

Keywords

References

  1. 곽행구, 김농오, 김지인, 2008, 해양자원의 생태관광 프로그램 개발 : 전남 갯벌 및 어촌체험마을을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22(2), 227-243.
  2. 권삼문, 2000, 어촌 문화관광의 지속가능한 개발, 민속연구, 10, 73-90.
  3. 김광선, 채종현, 윤병석, 2012, 농어촌서비스기준 이행 실태와 정책 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4. 김대식, 이춘우, 2005, 부산시 어촌, 어항개발에 대한 의식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17(2), 218-227.
  5. 김성귀, 홍장원, 박상우, 2001, 어촌관광 유형별 개발방안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6. 김 준, 2006, 관광 콘테츠로서 어촌의 문화자원 연구, 도서문화, 28, 347-378.
  7. 농림수산식품부. 2012. 2.8일 보도자료 : 140개 시, 군 대상 농어촌공공서비스 수준점검 결과발표
  8. 민흥기, 2009, 공간체계 변화에 따른 어촌지역사회 전망, 농어촌과 환경, 103, 39-51.
  9. 박구원, 이수옥, 2002, 해안어촌관광의 개발방향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26(3), 167-190.
  10. 박대식, 마상진, 신은정, 2006, 도시와 농촌의 삶의 질 지수 측정방안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1. 신동주, 2011, 어촌관광 방문동기와 만족도, 관광연구, 26(3), 541-558.
  12. 신영태, 최성애, 홍현표, 엄선희, 박상우, 김봉태, 2006, WTO/DDA 협상 이후 수산업, 어촌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3. 송미령, 김광선, 2009, 농촌서비스 기준도입 필요성과 과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1(4), 1-18.
  14. 송미령, 김광선, 박주영, 2009, 기초생활권 생활 서비스 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5. 최성애, 박상우, 김봉태, 2009, 어가소득증대를 위한 어촌유형별 전략,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6. 최성애, 박상우, 김봉태, 2007, 어촌사회 양극화 완화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7. 안영화, 노홍길, 김문관, 1988, 추자도 어촌종합개발의 기본방향과 구조개선에 관한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9(1), 57-70.
  18. 이승우, 박상우, 2010, 어촌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공공서비스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9. 이승우, 홍장원, 이윤정, 2009, 어촌의 잠재적 가치창출을 위한 명품관광어촌 조성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 이성근, 이관율, 2006, 효율적 공공서비스 공급을 위한 자치단체간 협력공간 설정 : 경상북도 23개 시군을 대상으로, 도시행정학보, 19(2), 3-23.
  21. 이재형, 2006, 소규모 어촌, 어항 개발을 통한 해양레저스포츠관광 활성화 방안, 한국여가레크레이션학회지, 30(2), 151-167.
  22. 이창언, 2002, 어촌지역 관광개발의 사회문화적 영향, 비교민속학, 23, 411-441.
  23. 임영규, 이수범, 이승곤, 2004, 국내 어촌관광 실태에 따른 개발방향의 탐색적 연구, 관광연구저널, 18(2), 309-322.
  24. 유기준, 1998, 어촌의 관광개발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21(2), 297-311.
  25. 유승동, 박현지, 박영술, 1999, 어촌지역 관광객의 관광동기, 사전기대, 사후만족, 재방문의사간의 관계분석, 여행학연구, 10, 123-139.
  26. 장양례, 윤유식, 구본기, 2011, 어촌관광객의 선호속성, 어촌체험관광 만족도 및 체험관광 상품개발 지지도 : 추천의도에 관한 실증연구, 관광연구, 25(6), 341-363.
  27.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0, 2009년도 식품수급표.
  28. 이승우, 홍장원, 이윤정, 2009, 어촌의 잠재적 가치 창출을 위한 명품관광어촌 조성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9. DEFRA, 2002, Rural Services standard 2002, DEFRA.
  30. DETREH, 2000, Our countryside: the future, DETREH.
  31. The countryside Agency, 2002, Rural Service Standard, The countryside Agency.

Cited by

  1. 지속가능한 어촌마을 개발을 위한 중요 요소 분석 vol.26, pp.1, 2012, https://doi.org/10.7851/ksrp.2020.26.1.023
  2. 공간규모별 어촌지역 진단지표 개발 vol.27, pp.1, 2012, https://doi.org/10.7851/ksrp.2021.27.1.009
  3. 농촌 과소화 대응을 위한 마을 단위 농촌생활서비스 평가 모델의 개발 및 분석 vol.27, pp.1, 2012, https://doi.org/10.7851/ksrp.2021.27.1.0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