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건설기업의 녹색건설 경쟁력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etitiveness of Green Construction in Construction Firms

  • 투고 : 2012.06.27
  • 심사 : 2012.08.16
  • 발행 : 2012.09.30

초록

건설산업에 있어서 녹색 또는 그린(Green)은 차세대 신 성장동력의 핵심적인 키워드로 부상하고 있다. 녹색건설 경쟁력을 갖추는 것은 건설기업의 생존과 발전을 위해 중요하며 이를 위해 녹색건설 경쟁력 요인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건설기업이 녹색건설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요구되는 경쟁력 요인을 발굴하고 Gap 분석 기법을 통해 경쟁력 요인의 중요도와 현 수준을 분석하여 주요 특징과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녹색건설 경쟁력 요인에 대한 이해는 건설기업의 녹색건설 전략 수립을 위한 선행 작업이며 동시에 녹색건설 관련 정책 및 제도 수립에 있어 건설기업에게 어떤 동기부여를 해야 하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녹색건설 경쟁력의 중요도와 현 수준을 분석한 결과 중요도와 비교하여 현 수준이 모두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녹색건설 경쟁력의 중요도와 현 수준 관점에서 CEO 역량 부문은 큰 격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기업 역량 부문에서는 큰 격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녹색건설의 R&D 전략과 녹색건설 협력업체의 보유 및 협업 역량이 중요도와 현 수준의 차이(Gap)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Green" is emerging as a keyword of new growth engine. Since green construction competitiveness is essential for contractors' survival and growth,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what constitutes green construction competitiveness.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elements of green construction competitiveness and to discuss relationships between their importance and current level based on the Gap analysis.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elements of green construction competitiveness assists contractors in formulating green strategies. It also provides insight into what motivates contractors in establishing related policies and regulations. The study identifies that in general there exists a gap between the importance and current level of green construction competitiveness. It also demonstrates that CEO' competence shows a less gap between the importance and current level but firms' competence is an area of weakness. Finally a substantial gap is observed in the field of green R&D strategies and sub-contracting partners.

키워드

참고문헌

  1. 곽명석.김양섭.이병찬 (2009). "저에너지 건축 사례 및 주요 기술",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한국건설관리학회
  2. 김균태 (2010). "녹색건설기술 정책 소개", 대한건축학회지, 대한건축학회, 제54권, 제12호, pp.28-30
  3. 김민형 (1998). "건설업체의 핵심 경쟁력 요소 파악과 경쟁력 진단-선도 일반건설업체를 중심으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4. 국제경쟁력연구원 (2003). IPS 국가 경쟁력보고서, 산업정책연구원
  5. 김정수.황새옥(2000). "자원준거관점의 경쟁우위에 관한 실증 연구", 생산성논집, 제14권, 제2호, pp. 221
  6. 김숙 (2001). "일발화된 더블다이아몬드 모델 적용에 의한 제주 관광산업의 국제경쟁력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외곤 (2010). "녹색건설의 발전을 위한 제언", 대한건축학회지, 대한건축학회, 제54권, 제11호, pp.10-11
  8. 김원태.최석인.김우영(2011). "국내 건축공사의 녹색 비용 및 편익관련 문제점과 향후 개선 방향-녹색선진국의 사례 고찰 중심으로-", 건설산업연구원, 건설이슈포커스
  9. 김홍준.김진수.유성열 (2008). 경영통계학, 신광문화사
  10. 녹색성장위원회 (2009). 기업의 녹색혁신 사례집, 녹색성장위원회,
  11. 대한건설정책연구원 (2010). 세계 각국의 녹색도시 개발 현황 분석 및 녹색건설성장을 위한 대응방향 연구, 대한건설정책 연구원
  12. 박환표.진경호(2011). "건설산업의 국가 경쟁력 평가모델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건설시공학회, 춘계학술논문발표대회 논문집, 제11권, 제1호, pp.110-114
  13. 백영하.박재욱 (2008). "한국 의류산업의 국제경쟁력 향상을 위한 결정요인", 한국의류학회지, 한국의류학회, 제32권, 제3호, pp.474-485
  14. 신동협.김상범(2009). "국내외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에 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한국건설관리학회
  15. 신홍철 (2001). "기업 경쟁력 평가 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홍익 대학교경영연구소", 경영연구, 제25권, pp.85-107
  16. 양은영.조현선(2010). "녹색시대를 앞서가는 세계시장의 강소 기업들", Kotra Executive Brief
  17. 윤영선(2009). "파급효과로 본 건설산업의 국가경제 기여도 및 녹색건설사업의 경제파급효과", 국토해양저널, 대한건설진흥회, 제26권, 제5호, pp.42-47
  18. 윤하중 (2010). "녹색건설 정책 현황과 향후 추진전략", 건설경제, 제61권, pp. 30-37
  19. 이민수 (2008). "한국 해외건설산업의 국제경쟁력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이복남 (2009). "녹색성장과 녹색건설 글로벌 시장과 건설관리 역할의 선택", 2009년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 1-42
  21. 이승훈(2005)." 기업경쟁력강화- 무엇이문제인가?", 경제학연구, 제53권, 제1호, pp. 175-204
  22. 이진수 (2003). "한.중 철강산업 경쟁력 비교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장현승.이복남.김우영.장철기 (2009). 녹색 건설상품 진단 및 전망,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4. 장현승.이복남.최석인.구본상 (2008). "국내 기업의 경쟁력 및 업무역량 분석 -해외 플랜트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건설관리학회,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9권, 제4호, pp.173-181
  25. 정기호 (2007). "제3자 물류기업의 인도시장 진출을 위한 기업 경쟁력 평가 모형", 한국물류학회지, 한국물류학회, 제17권, 제 3호, pp.27-48
  26. 조승연.안장원.안용한.김용수 (2011). "녹색성장기본법이 건설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LEED적용방안", 한국건축시공학회지, 한국건축시공학회, 제11권, 제1호, pp.133-134
  27. 최석인 (2009). "세계 녹색건설시장 동향과 시사점- 에너지 및 빌딩 시장을 중심으로", 대한건설진흥회, 국토해양저널, 제26권, 제4호, pp.42-48
  28. 최석인.이복남.이영환.이승우 (2010). "녹색성장 정책/제도의 추진 실태 및 개선방향",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9. 최석인, 이복남, 이영환, 이영우 (2010). "녹색건설시장 확대를 위한 제도 및 산업의 개선 방안", 대한건설진흥회, 국토해양저널, 제27권, 제11호, pp.58-65
  30. 한국건설경영협회 (2009). 글로벌 건설 리더스 2009년 7월호, 한국건설경영협회, 제50호
  31.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11). 건설산업동향,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건설동향브리핑 330호, pp.10-11
  32. 한정훈 (2009). "국내.외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의 평가항목 비교 및 분석에 관한 연구 :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Barney, J. and W. Hesterly.(2006). Strategic Management and Competitive Advantage, New Jersey: Pearson Prentice Hall

피인용 문헌

  1. Perception and Evaluation of Construction Management Firms toward Government Policies for Construction Management vol.15, pp.1, 2014, https://doi.org/10.6106/KJCEM.2014.15.1.062
  2. Improvement Scheme on Green Construction Cost & Benefit through Analyzing Trends and Case Studies vol.14, pp.5, 2013, https://doi.org/10.6106/KJCEM.2013.14.5.044
  3. A Study on Motivators of Green Construction of Major Contractors based on the Political Economy Approach vol.14, pp.3, 2013, https://doi.org/10.6106/kJCEM.2013.14.3.097
  4. Evaluating the Economic Feasibility of Green Construction Projects using FiT and CDM Support Mechanisms vol.14, pp.3, 2013, https://doi.org/10.6106/kJCEM.2013.14.3.123
  5. Extraction and Analysis of Technical Management Factors for Passive Houses in Korea vol.16, pp.1, 2017, https://doi.org/10.3130/jaabe.16.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