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교량의 유지관리를 위한 BIM기반 자산관리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BIM-based Asset Management Model for Maintenance of the Bridge

  • 강종민 (충남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이동열 (충남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박종범 (한국도로공사) ;
  • 이민재 (충남대학교 토목공학과)
  • 투고 : 2012.01.17
  • 심사 : 2012.07.11
  • 발행 : 2012.09.30

초록

국내 교량의 사용 수명은 대부분 30년 미만으로 향후 유지보수에 투입되어야하는 예산이 증대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그러나 교량에 투입할 수 있는 예산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효과적인 예산 투입을 통한 교량의 요구 성능 달성을 목표로 수행되고 있는 자산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교량의 효과적인 자산관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건설사업 수행 전 단계에서 발생하는 정보들을 효과적으로 활용해야한다. 따라서 효과적인 정보관리를 통해 자산관리를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과 DB의 구축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건설사업의 정보관리에 활용되고 있는 BIM을 활용하여 교량의 유지관리에 적용할 수 있는 BIM기반 교량 자산관리모델 개발을 목표로 설정하였으며, 선행연구조사를 통한 BIM 기능 및 자산관리 세부구성항목 도출을 수행하고 상호간의 연계성을 고찰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구축된 자산관리 모델은 유지보수 대안별 소요예산과 정체시간을 산정하는 모델로 구성하였다. 또한 구축된 BIM기반 교량 자산관리 모델의 타당성 및 적용성 검증을 위해 사례연구를 수행한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된 BIM기반 교량 자산관리모델은 현행 교량 유지관리 업무절차에 적용이 가능한 모델로써 한정된 예산 내에서 효율적인 교량 유지관리 업무를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most of domestic bridge has an used life under 30 years, Future maintenance budgets can be expected to increase. However, because of bridge maintenance budgets are limited, demand for asset management being performed to achieve required performance within available budget is increasing. To perform effective asset management of bridges should be made the best use of information to occur in all phase of construction project.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system and DB is required to support asset management by effective information managemen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he development of the BIM-based bridge asset management model. Through previous research survey, BIM capabilities and asset management components were established and mutual linkages were examined. Bridge asset management model was composed of alternate assessment model. In addition, BIM-based asset management model was performed case studies to verify feasibility and applicability. The proposed model can be applied to a current bridge maintenance procedures and supported to perform effective bridge maintenance tasks within a limited budget.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종민.조진영.이민재, '6D기반의 도로시설물 자산관리 시스템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1
  2. 강종민.장운성.이민재, '도로의 통행량과 자산가치를 고려한 유지관리 예산투입 우선순위 산정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1
  3. 국토해양부, '도로업무편람', 2010
  4. 국토해양부, 안전점검 및 안전진단 세부지침, 2010
  5. 김덕원, '건설프로젝트 생애주기관리를 위한 3차원 교량정보모델의 개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9
  6. 김상환.김재준.김주형,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기반 장기수선계획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9
  7. 김우영, 'BIM 국내도입을 위한 단상', 한국건설관리학회지, v.9 n.4 3-5, 2009
  8. 문성우.박미경, 'BIM 기술을 활용한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의 개발',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2010
  9. 이동열.강종민.안재민.장운성.이민재, '사회기반시설물 자산가치 평가방법론의 특징 비교 및 교량에 대한 적용성 고찰',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2010
  10. 이민재.박경훈.박철우.선종완.이동열, '교량 자산관리를 위한 가치평가방법 및 체계수립에 관한 연구', 한국 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11 n.6, 2010
  11. 한국시설안전관리공단, '시설물 안전관리지침, 2005
  12. AASHTO, 'Transpotation Asset Management Guide ; A Focus on Implementation', 2011
  13. Austroads Inc., 'Intergrated Asset Management Guidelines for Roat Networks', 2002
  14. Eastman, C. Teicholz, P., Sacks, R., and Liston, K., 'BIM Handbook: Aguide to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for Owner, Managers, Designer, Engineer, and Contractors', 2008
  15. FHWA, 'Asset Management Primer, Office of Asset Management', 1999
  16. FHWA, 'Transportation Asset Management in Australia, Canada, England and New Zealand', 2005
  17. NRC-CNRC, 'Integration of Municipal Infrastructure asset management processes', 2008
  18. OECD, 'Asset Management for the Road sector', OECD, 2001
  19.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of the national Academies, 'NCHRP Report 632 : An asset-Management FrameWork for the Interstate Highway System', 2009
  20. Transportation Association of Canada, 'A Comparison Asset Valuation Methods For Civil Infrastructure', 2004
  21.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Asset Management Primer', 1999

피인용 문헌

  1. Object Classification List for BIM-based Maintenance Information Modeling in Electrical and Telecommunications Field of Architecture vol.15, pp.5, 2014, https://doi.org/10.5762/KAIS.2014.15.5.3183
  2. Development of Risk-Based Bridge Maintenance Prioritization Methodology pp.1976-3808, 2018, https://doi.org/10.1007/s12205-018-205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