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bor Market Integration and Transition to Marriage

노동시장통합과 결혼 이행

  • Received : 2011.07.11
  • Accepted : 2012.04.26
  • Published : 2012.08.31

Abstract

This study purports to analyze how individuals' labor market integration affect their transition to marriage. In doing so, I construct variables for job stability and continuity to represent labor market integration using labor force status and years of participation at the time of marriage and during the three years up to the point of marriage. In particular, I focus on differential effects of these labor market integration on the transition to marriage by cohorts: one for those who are likely to enter the labor market after the 1997 financial crisis and the other for those who are before the 1997 financial crisis. I used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and analyzed individuals aged above 18 in 2008.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being currently employed and regular employment increases hazards of the first marriage for men but decreases them for women. long-term no-jobs decreases hazards of marriage for both women and men. long-term regular employment increases hazards of marriage for women but not for men a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These effects vary by cohorts implying that recent economic and labor market instability deteriorated economic conditions for the youth making transitions to marriage.

본 연구는 노동시장 통합이 결혼 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결혼 시점과 결혼 3년 전의 일자리 유무와 고용형태를 가지고 일자리의 안정성과 지속성이 초혼 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특히 1997년 외환위기 이전과 이후에 노동시장에 진입했을 가능성이 높은 두 집단을 코호트별로 나누어, 거시적인 사회경제적 변동 과정에서 노동시장통합이 결혼에 미친 차별적 영향에 대해 분석한다. 한국노동패널을 사용하여 2008년도 기준으로 18세 이상인 성인 남녀의 결혼 이행을 분석한다. 분석 결과, 취업상태와 정규직 근무는 남성의 초혼 형성 해저드는 높이는 반면 여성의 초혼 형성 해저드는 낮추었다. 장기무직, 즉 교육이나 군대 기간을 제외하고 결혼 전 3년 동안 2년 이상 무직 상태에 있을 때 남녀 모두 결혼이 지연될 가능성이 높았다. 정규직 근속기간이 2년 이상인 여성은 그렇지 않은 여성보다 결혼 해저드가 높아졌다. 정규직 근속기간이 긴 남성에게서는 이러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코호트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어 최근의 사회경제적 불확실성과 노동시장 불안정화의 부정적 영향이 더욱 강화되었음을 시사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