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Marital Status on Health among Older Women: The Moderating Effects of Age and Parent-Adult Child Relationships

노년기 여성의 결혼지위와 건강에 관한 종단 연구: 연령 및 부모-자녀 관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손정연 (서울대학교 노화고령사회연구소) ;
  • 한경혜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생활과학연구소)
  • Received : 2012.02.06
  • Accepted : 2012.04.27
  • Published : 2012.04.30

Abstract

Using data from Korean Longitudinal Study on Aging (KLoSA), this study examines how continuity and change of marital status is associated with health over time among older women,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age and parent-child relationships. KLoSA data set has two waves of interviews, and for this study, 2046 women aged 65 and over were selected. To analyze dat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use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lth between continuously married older women and continuously single older women. However, older women who had transition from being married to being single showed lower physical health than continuously married and continuously single older women.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marital status on mental health according to the age of older women. Older women who had transition from being married to being single showed lower mental health than continuously married elders when older women were younger. Third, contact with children moderated the effect of marital status on physical health. Older women who had transition from being married to being single showed lower physical health than continuously single and continuously married older women when older women had less contact with their children. The findings imply after the loss of marital role, older women's relationship with adult children plays a significant role in promoting health. I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e different pathways through which marital status is associated with health for 3 different groups of older women, being continuously single, being continuously married, and making transition from being married to being single.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기 여성의 결혼지위가 신체 및 정신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그러한 관련성이 연령 및 부모-자녀관계에 따라 달라지는가에 대해 시간의 변화를 고려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한국노동연구원의 고령화연구패널조사 1차년도와 2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65세 이상의 여성 노인 2046명을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 2차년도 사이에 배우자를 상실한 여성 노인은 유배우 노인뿐만 아니라 이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배우자가 없는 노인에 비해서도 만성질환을 많이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같은 무배우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신체 건강 결과에서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지속적 무배우 노인과 지속적 유배우 노인의 건강수준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다. 둘째, 1, 2차년도에 배우자를 상실한 여성 노인은 유배우 노인보다 우울감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러한 관련성이 65~74세의 젊은 노인 집단에서 강하게 나타났다. 셋째, 1, 2차년도에 배우자를 상실한 여성 노인은, 유배우 노인뿐만 아니라 이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배우자가 없는 노인에 비해서도 만성질환을 더 많이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러한 관련성이 자녀만남빈도가 낮은 집단에서 강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결혼지위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녀동거여부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건강의 하위차원에 따라 결혼지위가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조절변인으로 작용하는 변수의 성격이 상이하였다. 본 연구는 전국 규모의 종단 자료의 분석을 통해 여성 노인의 결혼지위와 건강과의 인과관계에 대한 논리적인 검증을 시도하였고, 특히 결혼지위를 구분하는 기준과 연령 및 부모-자녀관계의 역할에 따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하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