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blems with ERP Education at College and How to Solve the Problems

대학에서의 ERP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김명희 (동아대학교 경영학부) ;
  • 라기례 (동의대학교 상경대학 회계학과) ;
  • 박상봉 (동의대학교 상경대학 회계학과)
  • Received : 2012.04.10
  • Accepted : 2012.06.18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ERP is a new technique of process innovation. It indicates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whose purpose is an integrated total management of enterprise resources. ERP can be also seen as one of the latest management systems that organically connects by using computers all business processes including marketing, production and delivery and control those processes on a real-time basis. Currently, however, it's not easy for local enterprises to have operators who will be in charge of ERP programs, even if they want to introduce the resource management system. This suggests that it's urgently needed to train such operators through ERP education at school. But in the field of education, actually, the lack of professional ERP instructors and less effective learning programs for industrial applications of ERP are obstacles to bringing up ERP workers who are competent as much as required by enterprises. In ERP, accounting is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s. Accountants are assuming more and more roles in ERP. Thus, there's a rapidly increasing demand for experts in ERP accounting. This study examined previous researches and literature concerning ERP education, identified problems with current ERP education at college and proposed how to solve the problems. This study proposed the ways of improving ERP education at college as follows. First, a prerequisite learning of ERP, that is, educating the principle of accounting should be intensified to make students get a basic theoretical knowledge of ERP enough. Second, lots of different scenarios designed to try ERP programs in business should be created. In association, students should be educated to get a better understanding of incidents or events taken place in those scenarios and apply it to trying ERP for themselves. Third, as mentioned earlier, ERP is a system that integrates all enterprise resources such as marketing, procurement, personnel management, remuneration and production under the framework of accounting. It should be noted that under ERP, business activities are organically connected with accounting modules. More importantly, those modules should be recognized not individually, but as parts comprising a whole flow of accounting. This study has a limitation because it is a literature research that heavily relied on previous studies, publications and reports. This suggests the need to compare the efficiency of ERP education between before and after applying what this study proposed to improve that education. Also, it's needed to determine students' and professors' perceived effectiveness of current ERP education and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 in that perception between the two groups.

ERP는 신 경영혁신 기법으로 기업자원을 전사적으로 통합관리해 주는 전사적 자원관리라는 의미이다. 즉 영업에서 생산 출하에 이르는 기업의 모든 업무과정을 컴퓨터를 이용해 유기적으로 연결,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최신 경영시스템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ERP를 도입하고자 하는 기업에서 ERP프로그램을 담당하는 실무자를 확보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며 이는 학교에서의 ERP교육을 통하여 실무자를 양성하는 것이 절실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교육현장에 있어서 전문 ERP교원의 부족과 현장 실습 프로그램의 효율적인 학습이 이루어지지 않아 기업에서 원하는 인재가 배출되지 않고 있는 현실이다. ERP에서 회계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고 그 비중이 매우 크며 회계담당자의 역할이 점차 커지고 있기 때문에 전문 ERP 회계 담당자가 매우 많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ERP교육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였고 각종 문헌 및 현재 대학에서의 ERP교육의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대학에서의 ERP교육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첫째, ERP에 대한 선행학습이라고 할 수 있는 회계원리의 교육을 강화하여 이론적인 지식이 충분히 습득돼야 한다. 둘째, ERP프로그램을 업무에 활용할 수 있는 가상의 시나리오를 다양하게 만들어 학생들이 이 시나리오에서 발생한 사건과 사상을 파악하여 직접 ERP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교육이 이루어 져야 한다. 셋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ERP는 영업, 구매, 인사, 급여, 생산, 등 전사적인 자원들이 모두 회계로 통합되는 현장회계가 가능한 시스템이다. 따라서 활동현장과 회계모듈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다는 점을 주지하고, 각각의 부문 모듈이 별도의 프로그램으로서가 아닌 하나의 흐름으로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ERP학습에 대한 향후 학생들이 느끼고 있는 교육의 효율성과 교수들이 느끼고 있는 교육의 효율성에 대해 파악하여 이 두 집단 간에 느끼는 효율성의 차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가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