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소성 메시지의 조절초점 및 가격할인에 대한 조절효과 : 온라인 판촉 메시지를 중심으로

The Moderate Effectiveness On Regulatory Focus And Prices Discounts Of Scarcity Messages

  • 한광석 (남서울대학교 광고홍보학과)
  • Han, Kwang-Seok (Dept.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NamSeoul University)
  • 투고 : 2012.02.07
  • 심사 : 2012.03.21
  • 발행 : 2012.03.31

초록

본 연구는 온라인에서 이루어지는 판매촉진 메시지의 대표적인 유형인 수량한정 메시지와 시간한정 메시지가 조절초점과 가격할인 유무에 따라 판촉태도와 구매의도에 어떠한 조절 역할을 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수량한정 메시지의 경우 촉진초점 보다는 예방초점 메시지에 대한 판촉태도와 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희소성 메시지가 단순히 조절초점 뿐 아니라 가격할인과 같은 판촉 활동에 의해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즉, 수량한정 메시지의 경우 가격할인이 제시되지 않은 메시지보다는 가격할인이라는 메시지가 제시되었을 때 판촉태도와 구매의도가 증폭된다는 점이 증명되었다. 그러나 시간한정 메시지의 경우에는 이러한 가격할인이라는 추가적인 가치가 판촉태도와 구매의도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이 발견되었다.

This study scarcity of recent online message promotion limited quantity of messages and time the message is limited controlled variable message whose regulatory focus and promotional discounts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any differences in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 appears, was to verify empiric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if limited quantity of messages focus on prevention rather than focusing on messages promoting promotion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 was higher. Second, the scarcity message is simply, as well as adjust the focus, such as price discounts and promotional activities can be controlled by a variety of points were identified. If the message is particularly limited quantity discounts are not present, rather than the message, the message is presented when the discount promotional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 except that the amplification has been demonstrated. If the message is limited time, however, these discounts are worth the extra promotion on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are least likely to affect the thing that was foun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