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Immune Modulation of Chunghwatang(CHT) in Atopic Dermatitis Animal Models

아토피피부염 동물 병태 모델에서 청화탕(淸華湯)의 면역조절작용에 관한 연구

  • Yoo, Heon-Sook (Dept. of Path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 Gim, Seon-Bin (Traditional and Biomedical Research Center(TBRC), Daejeon University) ;
  • Song, Hyang-Hee (Dept. of Health Skincare, Byuksung College) ;
  • Ji, Joong-Gu (Dept. of Oriental health care, Joongbu University) ;
  • Bak, Ji Won (Dept. of Path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 Kim, Dong-Hee (Dept. of Path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Received : 2012.07.10
  • Accepted : 2012.08.13
  • Published : 2012.08.20

Abstract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unghwatang (CHT) for atopic dermatitis. Methods : CHT, a verified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 was treated in atopic dermatitis animal model to investigate cytokine levels and immunoglobulin production. Results : Clinical skin index was 47.1%, suggesting significant efficacy of CHT in atopic dermatitis treatment. Serum IL-4, IL-6, IL-13, TNF-${\alpha}$ and histamine production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o 52.3%, 61.8%, 68.0%, 37.4%, and 46.6%, respectively. The production of IL-5 was decreased to 33.3%. The increase of Immunoglobulin IgG1 production along with IgE through the interaction of IgE and IL-4 induced by IL-4 and IL-13 were measured as 20.7% and 23.4%, respectively. Conclusions : The results above, along with the in vitro test results, strongly supports the CHT samples as effective immunomodulator in AD treatments, suggesting its use in clinical practice and basic information for EBM.

Keywords

References

  1. 홍정효 : 아토피의 치료에 관한 양방과 한방, 민간요법과 자연치유법에 관한 고찰, 생태유아교육연구, 7(1):65-85, 2008.
  2. 이정현 : 진찰과 설문조사를 통한 초등학생의 아토피피부염 유병률 및 위험요인 비교, 성균관대학교대학원, 2010.
  3. 최원준 : 서울지역 영아 및 유소아의 아토피피부염 유병률과 위험인자에 대한 조사, 한양대학교대학원, 2011.
  4. 방숙현 : 소아, 청소년 아토피피부염에서 DPCP 면역요법의 치료효과,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2005.
  5. 이금선, 정현미, 오세군, 정재훈, 강태진 : BALB/c 마우스에서 생약복합제의 아토피 치료 효능, 생약학회지, 43(1):59-65, 2012.
  6. 양희진, 박계원, 김현석, 조수묵, 박기문 : 생약재 추출물의 아토피 완화 효과, 한국식품과학회지, 42(1):109-114, 2010.
  7. 손인평, 임윤영, 김형미, 김민영, 석장미, 김영희 외 : 한국의 아토피피부염 환자에서 혼합생약추출물 함유 로션의 효능에 대한 예비연구, 천식 및 알레르기, 32(1):26-33, 2012.
  8. 주영현, 원종현, 김지윤, 조광현, 민경업, 김규환 : NC/Nga 마우스에서의 아토피피부염 모델 개발 및 피부염 병변에 대한 다래 추출물의 효과, 대한피부과학회지, 47(10): 1105-1112, 2009.
  9. 정의령, 김윤범 : 平胃散加味方이 아토피피부염을 유발한 NC/Nga mouse에 미치는 영향,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4(2): 16-27, 2011.
  10. 박응호, 유지현, 김선빈, 이용구, 김동희 : 荊芥連翹湯醱酵方이 NC/Nga mouse 동물병태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19(2):65-83, 2011.
  11. 신상호, 김미보, 변석미, 이호섭, 박선규, 고우신, 윤화정 : 아토피 피부염의 외치법에 대한 고찰 : 국내 논문을 중심으로,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1(2):80-93, 2008.
  12. 김선빈, 최학주, 김동희 :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황토가미방과 外治方 兼用에 관한 硏究, 대전대학교한의학연구소논문집, 17(2): 51-68, 2008.
  13. 민영규, 최정화, 김종한, 박수연 : 消風散加減方과 外治方 병용이 NC/Nga 아토피 생쥐에 미치는 영향,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18(1):116-134, 2005.
  14. 황치환, 윤채성, 송승현, 원영호, 황충연 : 葛根解肌湯加味方과 三黃洗劑加味方 병용이 NC/Nga 생쥐의 아토피 피부염에 미치는 영향,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1(2):1-18, 2008.
  15. 김진우, 김선빈, 오정민, 윤미영, 이기무, 김동희 : 淸華湯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20(2): 29-39, 2012.
  16. 박은정, 신소영 : 荊芥連翹湯과 加味荊芥連翹湯이 消炎.鎭痛 및 抗알레르기에 미치는 影響,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11(1): 249-273, 1997.
  17. 정재중, 구선영, 고은비, 성정석, 김동일 : 四物湯加味方의 항산화 활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3(3): 26-37, 2010.
  18. 김양호, 조한백 : 解毒四物湯의 抗炎效果 및 免疫反應에 關한 硏究,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1(2):166-183, 2008.
  19. 윤찬호, 노석선 : 사물탕가미방이 염증치료 및 예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대한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17(3):18-25, 2004.
  20. 김정진, 양성완, 손낙원, 안규석 : 加味生料四物湯의 抗炎症 효과와 止痒膏의 아토피피부염 손상 및 止痒 효과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17(2):428-435, 2003.
  21. 김덕곤 외 : 동의 소아과학, 정담, pp.660-664, 2002.
  22. Sampson HA : Atopic dermatitis, Ann Allergy, 69(6):469-479, 1992.
  23. 김태윤 : 아토피피부염 치료의 최신 경향,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지, 19(3):209-219, 2009.
  24. Tsukahara H : Biomarkers for oxidative stress: clinical application in pediatric medicine, Curr Med Chem, 14(3): 339-351, 2007. https://doi.org/10.2174/092986707779941177
  25. Ciencewicki J, Trivedi S, Kleeberger SR : Oxidants and the patho- genesis of lung diseases, J Allergy Clin Immunol, 122(3):456-468, 2008. https://doi.org/10.1016/j.jaci.2008.08.004
  26. Zeyrek D, Cakmak A, Atas A, Kocyigit A, Erel O : DNA damage in children with asthma bronchiale and its association with oxidative and antioxidative measurements, Pediatr Allergy Immunol, 20(4):370-376, 2009. https://doi.org/10.1111/j.1399-3038.2008.00780.x
  27. 박지원, 김선빈, 김은아, 전지애, 이기무, 김동희 : 加味四物湯의 항염증 효능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20(2):17-27, 2012.
  28. 김혜림, 김선빈, 윤미영, 이기무, 김동희 : 淸肌消毒湯이 아토피피부염 염증 관련 인자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20(2): 41-52, 2012.
  29. 정대웅, 최학주, 김선빈, 이기무, 김동희 : 石紫解肌湯이 아토피피부염 유관 인자인 산화적 손상과 염증 인자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20(2): 53-65, 2012.
  30. 박주희, 이광훈, 김진우, 노영석, 박천욱, 박원석 외 : 아토피피부염 환자에서 APDDR-0801 보습 제품의 치료 효능, 대한피부과학회지, 48(2):93-100, 2010.
  31. Grewe M, Bruijnzeel-Koomen CA, Schopf E, Thepen T, Langeveld-Wildschut AG, Ruzicka T, et al. : A role for Th1 and Th2 in the immunopathogenesis of atopic dermatitis, Immunol Today, 19(8): 359-361, 1998. https://doi.org/10.1016/S0167-5699(98)01285-7
  32. Renz H, Brodie C, Bradley K, Leung DY, Gelfand EW : Enhancement of IgE production by anti-CD40 antibody in atopic dermatitis, J Allergy Clin Immunol, 93(3):658-668, 1994. https://doi.org/10.1016/S0091-6749(94)70078-8
  33. Aversa G, Punnonen J, Cocks BG, de Waal Malefyt R, Vega F Jr, Zurawski SM, et al. : An interleukin 4(IL-4) mutant protein inhibits both IL-4 or IL-13-induced human immunoglobulin G4(IgG4) and IgE synthesis and B cell proliferation: support for a common component shared by IL-4 and IL-13 receptors, J Exp Med 178: 2213-2218, 1993. https://doi.org/10.1084/jem.178.6.2213
  34. 김정원 : 알레르기 및 면역학적 관점에서의 아토피피부염, 대한피부과학회지, 41(6) :687-689, 2003.
  35. Wasserman SI : Mediators of immediate hypersensitivity, J Allergy Clin Immunol, 72(2):101-119, 1983. https://doi.org/10.1016/0091-6749(83)90512-2
  36. White MV : The role of histamine in allergic disease, J Allergy Clin Immunol, 86:599-605, 1990. https://doi.org/10.1016/S0091-6749(05)80223-4
  37. 신길란, 김양원 : Chamomile German 오일도포가 아토피성 피부염을 가진 NC/Nga 생쥐모델의 혈청 IgE와 IgG1양 변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8(2) :501-507, 2009.
  38. Chen L, Martinez O, Overberqh L, Mathieu C, Prabhakar BS, Chan LS : Early up-regulation of Th2 cytokines and late surge of Th1 cytokines in an atopic dermatitis model, Clin Exp Immunol, 138(3):375-387, 2004. https://doi.org/10.1111/j.1365-2249.2004.02649.x
  39. Yawalkar N, Uquccioni M, Scharer J, Braunwalder J, Karlen S, Dewald B, et al. : Enhanced expression of eotaxin and CCR3 in atopic dermatitis, J Invest Dermatol, 113(1):43-48, 1999. https://doi.org/10.1046/j.1523-1747.1999.00619.x
  40. Delgado AV, McManus AT, Chambers JP : Production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terleukin 1-beta, interleukin 2, and interleukin 6 by rat leukocyte subpopulations after exposure to substance P, Neuropeptides, 37(6): 355-361, 2003. https://doi.org/10.1016/j.npep.2003.09.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