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10th Grade Students' Understanding of Concepts about the Plates' Motions according to the Level of Spatial Ability

공간능력의 차이에 따른 10학년 학생들의 판 운동 관련 개념에 대한 이해 분석

  • 이효녕 (경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지구과학교육전공) ;
  • 조현준 (병점초등학교) ;
  • 박미란 (성산고등학교)
  • Received : 2012.02.09
  • Accepted : 2012.08.14
  • Published : 2012.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10th grade students' understanding of concepts about the plates' motions depending on the different spatial ability.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reviews, two instruments were selected and used in this study. The Spatial Perception Test developed in Korean Testing Center was applied to measure students' spatial ability. Another instrument for testing students' understandings of plates' motions consists of a total of 10 items. The instruments were distributed to 118 students who were 10th graders in metropolitan c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conceptual understanding of plates' motions and spatial ability was r=0.439 (p<.01). It indicates that conceptual plates' motions and spatial ability have a moderate relationship.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high and low) by spatial ability. The independent t-test was performed and reveals tha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igh and low groups. On the other hand, the 6 students (3 higher spatial ability students and 3 lowers) were selected and interviewed individually to find the differences in thei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plates' motions. The findings from interviews indicate that most students recognized about concepts of trench and ocean ridge, a rise and drop of the mantle, and divergent and convergent boundaries. However, students had misconceptions about section of trench and ocean ridge. In addition, the students who had higher spatial ability knew the more proper concepts about the creation and extinction of plate, crustal movements, and bottom of the ocean extension, whereas the students who had the lower spatial ability had misconceptions.

이 연구의 목적은 10학년 학생들의 공간능력의 차이에 따라 판의 운동과 관련된 개념 이해가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공간능력과 판의 운동 관련 개념 검사 도구를 선정 개발하였다. 공간능력 검사는 KTC에서 개발한 적성종합 검사지 20문항을 사용하였다. 또 다른 검사지는 판의 운동과 관련된 개념을 묻는 것으로 총 1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검사지들은 광역시 소재 10학년 학생 118명에게 투입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공간능력 검사점수를 통해 공간능력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구분하여 두 집단 간의 판의 운동 관련 개념 이해 정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공간능력 점수가 높은 학생 3명과 낮은 학생 3명을 표집하여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능력 점수와 판의 운동 개념 성취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상관계수 r=0.439 (p<.01)로 둘 사이에는 보통 수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공간능력 검사 점수에 따라 상 하 두 집단으로 구분하여 두 집단 간의 판의 운동 관련 개념 성취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t-검정을 실시한 결과, 두 집단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간능력 차이에 따른 판의 운동과 관련된 개념 이해를 조사하기 위해 공간능력 점수 상 하 두 집단에서 각각 3명씩 표집하여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공간능력 점수에 관계없이 바르게 이해하고 있는 개념, 공간능력 점수에 관계없이 잘못 이해하고 있는 개념, 공간능력에 따라 이해 정도가 다른 개념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면담 학생 대부분이 해구와 해령, 맨틀의 상승과 하강 지역, 발산 수렴 경계에 대해 알고 있었다. 해구와 해령의 단면 모습에 대해서는 대부분 학생이 오개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반해 판의 생성과 소멸과정, 판 경계에서 일어나는 지각변동, 해저확장에 관한 내용에 대해서는 공간능력 점수가 높은 학생들은 대부분 바르게 이해하고 있었고, 공간능력이 낮은 학생들은 많은 오개념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범기, 이항로, 김기정, 1996, 천문 개념 성취도와 공간 능력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초등과학교육, 15, 315-325.
  2. 김상달, 이용섭, 이상균, 2005, 초등학교 학생들의 공간능력 과 천체운동개념 및 과학탐구능력과의 관계. 한국지구과학회지, 26, 461-468.
  3. 김충환, 이문원, 1988,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과정의 개선 을 위한 판구조론 개념의 비교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9, 27-43.
  4. 박수경, 2009, 판의 경계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정신모형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30, 111-126.
  5. 오영, 이준, 2004, 공간능력. 군자출판사, 서울, 124 p.
  6. 이경한, 1988, 아동의 공간 인지 능력의 발달에 관한 연구 - 인지도의 분석을 중심으로. 지리교육논집, 20, 67-83.
  7. 이경훈, 임종옥, 2010, 9학년 학생의 공간능력 차이에 따른 지구 자전에 관한 개념 획득. 한국지구과학회지, 31, 267-275.
  8. 이성미, 방정숙, 2007, 초등학생들의 공간감각 이해능력 실태조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46, 273-292.
  9. 이왕순, 김희수, 김혁, 2004, 고등학생들의 지질학 관련 공간 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한국지구과학회지, 25, 391-401.
  10. 이지은, 김상달, 김종희, 2003, 고등학교 10학년 과학 '지구의 변동' 단원에서 비유물 활용의 효과. 한국지구과학회지, 24, 393-401.
  11. 이호, 조현준, 이효녕, 2007, 달 크레이터 생성에 대한 대학생들의 정신모형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8, 653-670.
  12. 정경진, 정구송, 문병찬, 정진우, 2007, 판구조론에 관한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오개념. 한국지구과학회지, 28, 762-774.
  13. 정구송, 2006, 존재론적 범주와 정신모델에 근거한 지각과 지구 내부에 대한 고등학교 학생들의 대안개념.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9 p.
  14. 정구송, 2009, 암석과 지각, 판구조론에 대한 고등학교 학생들의 존재론적 범주화. 과학교육연구지, 33, 56-68.
  15. 정진우, 문병찬, 정재구, 이미영, 2004, 중학교 8학년 과학 지구의 역사와 지각변동 단원에서 정보통신기술(ICT) 활용 수업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 1094-1105.
  16. 정진우, 박순옥, 김윤지, 2009, 중학생들의 지하수에 대한 이해. 교원교육, 25, 1-15.
  17. 정진우, 조선형, 임청환, 1996, 과학개념의 위계적 분석 및 그 적용을 통한 교수 효과와 과학교육과정 계열성의 타당화 평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 1-12.
  18. 최성철, 안건상, 2008, 마그마와 판구조론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오개념. 과학교육연구, 32, 121-145.
  19. Baldwin, T. and Hall-Wallace, M., 2003, Spatial ability development in the geosciences. poster, American Geophysical Union Fall Meeting, December 8-12. Retrieved at April 6th from http://www.iwitts.org/ (검색일: 2012. 5. 12.)
  20. Black, A.A., 2005,. Spatial ability and Earth science conceptual understanding.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3, 402-414. https://doi.org/10.5408/1089-9995-53.4.402
  21. Burton, E.P. and Mattietti, G.K., 2011, Cognition and selfefficacy of stratigraphy and geologic time: Implications for improving undergraduate student performance in geological reasoning.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9, 163-173. https://doi.org/10.5408/1.3605042
  22. Kali, Y. and Orion, N., 1996, Spatial abilities of highschool students in the perception of geologic structur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 369-391.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604)33:4<369::AID-TEA2>3.0.CO;2-Q
  23. Pretty, M.R. and Rule, A.C., 2008, Effective materials for increasing young children's spatial and mapping skills.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6, 5-14. https://doi.org/10.5408/1089-9995-56.1.5
  24. McGee, M.G., 1979, Human spatial abilities: Psychometric studies and environmental, genetic, hormonal, and neurological Influences. Psychological Bulletin, 86, 889- 917. https://doi.org/10.1037/0033-2909.86.5.889
  25. Self, C.M. and Golledge, R.G., 1994, Sex-related differences in spatial ability: What every geography educator should know. Journal of Geography, 93, 234-243. https://doi.org/10.1080/00221349408979727
  26. Titus, S. and Horsman, E., 2009, Characterizing and improving spatial visualization skills.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7, 242-254. https://doi.org/10.5408/1.3559671
  27. Vosniadou, S. and Brewer, W.F., 1992, Mental models of the Earth: A study of conceptual change in childhood. Cognitive Psychology, 24, 535-585. https://doi.org/10.1016/0010-0285(92)90018-W

Cited by

  1. Students' Alternative Conceptions of Plate Boundaries and Their Conception Revision According to Their Reasoning Patterns vol.35, pp.5, 2014, https://doi.org/10.5467/JKESS.2014.35.5.385
  2. The Analysis of High School Students' Conceptions on Plate Tectonics vol.35, pp.6, 2014, https://doi.org/10.5467/JKESS.2014.35.6.4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