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혈과 혈청에서의 칼륨 이상소견 검사의 차이

Detecting Potassium Imbalance: Whole Blood vs. Serum

  • 조영덕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
  • 최성혁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
  • 윤영훈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
  • 박상민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
  • 김정윤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
  • 임채승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진단검사의학과)
  • Cho, Young-Duck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 ;
  • Choi, Sung-Hyuk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 ;
  • Yoon, Young-Hoon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 ;
  • Park, Sang-Min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 ;
  • Kim, Jung-Youn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 ;
  • Lim, Chae-Seung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
  • 투고 : 2012.08.08
  • 심사 : 2012.08.23
  • 발행 : 2012.08.31

초록

배경: 세포 내 공간에서 가장 흔한 양이온은 칼륨이며 생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칼륨 불균형 발생시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그 문제들은 전신 쇠약부터 심실 세동에 의한 심장마비까지 있다. 따라서 응급의학과 의사가 짧은 시간 내에 그런 문제를 찾아내야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전혈과 혈청의 샘플들을 서로 짝을 지어 비교 분석하여 전혈의 결과가 혈청의 결과만큼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지 알아보기로 했다. 방법: 227명의 환자에게서 두 종류의 샘플을 채취하여 비교했다. 하나의 샘플은 요골동맥에서 채취한 전혈을 헤파린 처리된 주사기에 담아 검사했으며 다른 하나는 혈청 샘플을 담아 검사실에서 검사했다. 그 후 샘플들을 정상, 저 칼륨, 고 칼륨의 세 그룹으로 나누어 각각의 그룹에서 혈청과 전혈의 샘플들을 비교하였다. 결과: 혈청과 전혈의 칼륨 수치들의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큰 의미를 보이지는 않았으며(P<0.05) 세 그룹 내에서의 칼륨 수치들간의 연관성은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세 그룹 중 고 칼륨 그룹에서 전혈과 혈청의 칼륨 수치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저 칼륨 그룹에서 가장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전혈을 이용한 응급 검사가 칼륨 이상 소견, 특히 고칼륨혈증이 의심되는 환자의 진단에 선별검사로써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Potassium, the most common cation in the intracellular space, plays a critical role in our physiology. Potassium imbalance may cause life-threatening problems, ranging from general weakness to cardiac arrest due to ventricular fibrillation. For emergency physicians, detection of such derangement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is of critical importance. In this study, we wanted to determine whether analysis of whole blood samples can be used as a screening tool for potassium imbalance by comparative analysis of whole blood and serum samples. Methods: Two samples were drawn from 227 patients. The whole blood sample was taken from the radial artery and contained in a commercially available arterial blood collection syringe with a lithium-heparin coating. The serum sample was contained in a commercially available vacuum bottle in a non-additive silicone coated tube and transported to the laboratory. The study population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patients with normal whole blood potassium, patients with decreased whole blood potassium, and patients with elevated whole blood potassium. Potassium levels for each group were coupled with serum potassium levels and compared.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otassium values was observed between whole blood and serum samples (P<0.05). Strong associations were observed among the three groups (normal range, hypokalemia, and hyperkalemia group).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r=0.851), the hyperkalemia group showed a stronger association between variables (r=0.897), and the hypokalemia group showed a weaker association (r=0.760). Their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highly significant (P<0.05). Conclusion: Our study illustrates that point-of-care testing using whole blood with whole blood can be a reliable screening tool when treating patients with suspicious potassium abnormality, especially in hyperkalemia patient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