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조트 고객의 소비가치와 고객만족 및 행동의도와의 인과관계 연구: 성별과 결혼유무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Consumption Value Perceived by Resort Customer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by Gender and Marital Status

  • 김영중 (경희대학교 조리.서비스경영학과) ;
  • 권영국 (경희대학교 조리.서비스경영학과) ;
  • 윤혜현 (경희대학교 조리.서비스경영학과)
  • Kim, Young-Joong (Dept. of Culinary Service Management, Kyung Hee University) ;
  • Kwon, Young-Guk (Dept. of Culinary Service Management, Kyung Hee University) ;
  • Yoon, Hye-Hyun (Dept. of Culinary Service Management, Kyung Hee University)
  • 투고 : 2012.01.30
  • 심사 : 2012.05.24
  • 발행 : 2012.06.30

초록

본 연구는 국내 리조트를 이용하는 고객들이 인지하는 소비가치가 고객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 이러한 인과관계에서 성별과 결혼유무에 따른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해 확보된 324개의 표본을 바탕으로 연구모형의 신뢰성, 적합성 등을 검토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총 4개의 가설을 검증하였으며, 모형의 적합도는 ${\chi}^2$=467.489 (p<.001), df=326, CMIN/DF=1.434, GFI=.911, AGFI=.889, NFI=.881, CFI=.960, RMSEA=.037등으로 조사되었다. 연구결과 소비가치의 하위 차원 중 상황적 가치를 제외한 기능적 가치, 사회적 가치, 정서적 가치, 진귀적 가치는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고객만족은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통해 고객들이 인지하는 리조트의 소비가치는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쳐, 결과적으로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게 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한편 소비가치가 고객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성별과 결혼유무에 다른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성별과 결혼유무에 따른 조절효과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consumption value perceived by resort customers upon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Based on total 324 customers obtained from the empirical research, this study reviewed reliability and fitness of the research model and verified total 4 hypotheses with AMOS program.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in the model were tested simultaneously by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The proposed model provided an adequate fit to the data, ${\chi}^2$=467.489(p<.001), df=326, CMIN/DF=1.434, GFI=.911, AGFI=.889, NFI=.881, CFI=.960, RMSEA=.037. The model's fit, as indicated by these indexes, was deemed satisfactory, thus it provided a good basic for testing the hypothesized paths. The result showed that the functional value(${\beta}$ .233, p<.01), social value(${\beta}$ .125, p<.05), emotion value(${\beta}$ .310, p<.001), epistemic value(${\beta}$ .144, p<.05) had a positive significant influence on customer satisfaction. Also, customer satisfaction(${\beta}$ .225, p<.01) had a positive significant influence on behavioral intention. The moderating effects by gender and marital status were found not to exist.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also discuss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