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Based on Relative Policies Link

창업교육연계의 효과측정모형 및 정책제안

  • Seol, Byung-Moon (Graduate School of Business & Entrepreneurship,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설병문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창업대학원)
  • Received : 2012.06.01
  • Accepted : 2012.06.21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This paper integrates elements from the theory of agency,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e start-up policies. Entrepreneurship education is demanded to enhance success of business candidate for business establishment and to increase start-up survival. Three researches are made by this study. First of all, Educational performance is measured and it explains why linked policies is needed. To explain linked performance, this paper introduces several hypothesis. These are about a rate of start-up failure caused by agency problem and a rate of education effect decreasing agency problem. Secondly, operation performance of it can be increased by linking among policies and should be for the original goals of start-up policies. Finally, several ideas including start-up certification is proposed. Start-up certification has role of contact point of different entrepreneurship policies. As a result, level of satisfaction of policies will increase and specially of education program by linked effects.

다양한 유형의 공공기관과 교육기관에서 창업지원사업을 시행 중이다. 본 연구는 창업교육을 중심으로 각 기관과 단체에서 실행하고 있는 창업지원사업을 연계함으로써 지원성과 제고효과가 있음을 제시한다. 창업지원사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것은 창업이전단계부터 창업초기를 거쳐 죽음의 계곡이라 불리는 시점을 극복한 후 성장기업으로 안정화 되는 기간까지, 전체과정에 대한 일관되면서도 효과적인 지원이다. 현재까지 이루어진 대부분 선행연구에서 창업교육 후 사후관리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교육 후 사후관리의 현실적 방안제시에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한계점은 창업교육을 창업전과정의 한 부분으로 분리해서 접근하는 인식에서 발생한다. 이와 같이 분리된 접근 방식은 창업과 관련된 다양한 지원정책의 현실적인 공통점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창업교육과 창업관련 지원의 연계에서 발생하는 기대효과를 제시하고, 지원정책들과 창업교육의 연계방안으로 창업인증제도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