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Semi-closed Sea Area Using Solar Powered Circulators

태양광 물 순환장치 가동에 의한 반폐쇄성 수역의 수질 변화

  • Kim, Deok-Gil (Department of Marine Environment Engineering/Institute of Marine Industry) ;
  • Lee, Eun-Kyeong (Department of Marine Environment Engineering/Institute of Marine Industry) ;
  • Kim, Mu-Chan (Department of Marine Environment Engineering/Institute of Marine Industry) ;
  • Song, Sung-Kyu (SOLARBEE Inc.) ;
  • Cho, Kwang-Soo (Department of Marine Environment Engineering/Institute of Marine Industry)
  • 김덕길 (경상대학교 해양환경공학과/해양산업연구소) ;
  • 이은경 (경상대학교 해양환경공학과/해양산업연구소) ;
  • 김무찬 (경상대학교 해양환경공학과/해양산업연구소) ;
  • 송성규 ((주)솔라비) ;
  • 최광수 (경상대학교 해양환경공학과/해양산업연구소)
  • Received : 2012.06.18
  • Accepted : 2012.08.08
  • Published : 2012.08.25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solar water circulation apparatus that was installed in a semi-closed sea area of Tongyeong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through removing thermocline and oxygen depleted water mass, an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red tides caused by eutrophication. From 8 weeks of experiments, we found that the thermocline in the semi-closed sea area has been removed gradually after installation of the apparatus. The initial temperature of surface and bottom was $27.9^{\circ}C$ and $23.8^{\circ}C$, respectively and it was changed to $22.1^{\circ}C$ in both depth. In case of DO concentration, there was a big gap between surface (5.49 mg/L) and bottom (2.61 mg/L) and was an oxygen depleted water mass in the bottom area at initial. However DO concentration in bottom layer has increased gradually after operation (6.19 mg/L) and the oxygen depleted water mass has removed. Due to the effects of seasonal variation and the operation of the solar water circulation apparatus for 8 weeks, COD concentration decreased from 5.61 mg/L to 2.36 mg/L in surface area, and from 6.08 mg/L to 1.73 mg/L in bottom area.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concentration also decreased from 0.135 mg/L to 0.050 mg/L in surface area, and from 0.076 mg/L to 0.051 mg/L in bottom area.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rom July to September, and it might be possible that the variation of water quality was affected by both seasonal variation and the operation of the water circulation apparatus. Hence a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water circulation apparatus itself and to monitor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and phosphorous concentrations as well as Chl-a.

본 연구에서는 해수순환이 원활하지 않은 반폐쇄성 수역에서 수온약층과 빈산소수괴를 개선하고 부영양화로 인한 적조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로서 태양광 물 순환장치의 수질개선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기초실험을 실시하였다. 8주간의 분석결과 수온의 경우 장치 가동 초기 표층이 $27.9^{\circ}C$, 저층이 $23.8^{\circ}C$로 뚜렷한 수온약층이 존재하였으나, 장치 가동 이후 표층과 저층 모두 $22.1^{\circ}C$로 수온약층이 사라졌다. DO농도는 장치 가동 초기 표층 5.49 mg/L, 저층 2.61 mg/L로 농도 차이가 컸고, 저층에는 빈산소수괴가 존재하였다. 장치가동 8주 후 저층의 DO농도는 6.19 mg/L로 빈산소 수괴가 개선됨과 동시에 수층 전체적으로 DO농도가 증가하였다. 8주간 장치의 순환과 더불어 계절적 영향으로 COD의 경우 수층 전체에 산소농도가 증가한 결과 표층이 5.61 mg/L에서 2.36 mg/L로, 저층의 경우 6.08 mg/L에서 1.73 mg/L로 감소하였다. 영양염류 중 용존무기질소의 경우 표층이 0.135 mg/L에서 0.050 mg/L로, 저층이 0.076 mg/L에서 0.051 mg/L로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7월부터 9월까지의 연구로 인하여 여름철에서 가을철의 계절적인 영향과 더불어 나타난 결과이므로 향후 실제적인 태양광 물 순환장치에 의한 개선 효율에 대한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하며, 용존무기질소와 인의 농도가 감소는 하였으나 감소에 대한 구체적인 해석을 위해서 향후 클로로필-a의 추가 실험이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민영, 노황원, 이승윤, 지홍기, 2008, "에너지 순환시스템을 이용한 생태연못의 수질개선", 한국수자원학회지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2127-2131.
  2. 박치현, 이병호, 2006, "적조 방제용 황토살포가 연안 저서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과학회지, 제15권, 제11호, 1035-1043.
  3. 우한준, 김효영, 정갑식, 천종화, 김성은, 추용식, 1999, "마산만 퇴적환경 오염에 따른 저서성 유공충 분포 변화", 한국해양학회지, 제4권, 제2호, 144-154.
  4. 우한준, 조진형, 정갑식, 정창수, 권수재, 박성민, 2003, "중금속 원소와 유공충을 이용한 마산만 퇴적물의 오염 역사에 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제24권, 제7호, 635-649.
  5. 윤상필, 정래홍, 김연정, 김성수, 이재성, 박종수, 이원찬, 최우정, 2007, "가막만의 저서환경과 다모류군집 특성", 한국해양학회지, 제12권, 제4호, 287-304.
  6. 윤상필, 김연정, 정래홍, 문창호, 홍석진, 이원찬, 박종수, 2008, "가막만의 2005년과 2006년 동계 저서환경 및 대형저서다 모류군집구조", 한국해양학회지, 제13권, 제1호, 67-82.
  7. 이대인, 박달수, 엄기혁, 김귀영, 조현서, 김종규, 서영교, 백근욱, 2009a, "연안준설 및 준설토 해양투기 해양환경평가 개선방안",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지, 제18권, 제3호, 131-141.
  8. 이중우, 김기철, 강신영, 도덕회, 1997, "해양유출기름의 확산 시뮬레이션 모델 개발 - 폐쇄만의 3차원 흐름특성분석-", 한국항만학회지, 제11권, 제2호, 241-255.
  9. 이요상, 이광만, 고덕구, 염겸택, 2009b, "대류식 순환장치의 저수지수체 유동특성 및 수질영향", 한국하천호수학회지, 제42권, 제1호, 85-94.
  10. 조은섭, 2010, "2007-2009년 남해안 적조발생 및 적조 미발생에 관한 비교 연구", 해양환경안전학회지, 제16권, 제1호, 31-41.
  11. 최건열, 2009, "태양전지순환시스템을 이용한 수질정화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서대학교.
  12. 황동운, 진현국, 김성수, 김정대, 박종수, 김성길, 2006, "마산항 표층 퇴적물의 유기물 및 금속원소의 분포", 한국수산과학회지, 제39권, 제2호, 106-117.
  13. Barkoh, A., Begley, D.C., Smith, D.G., Kurten, G.L., Fries, L.L., Warren S.J., 2011, "Can solar powered circulation control Prymnesium parvum bloom and toxicity in fish hatchery pons?", Harmful Algae, Vol. 10, 173-180. https://doi.org/10.1016/j.hal.2010.09.003
  14. Hudnell, H.K., Jones, C., Labisi, B., Lucero, V., Hill, D.R., Eilers, J., 2010, "Freshwater harmful algal bloom (FHAB) suppression with solar powered circulation (SPC)", Harmful Algae, Vol. 9, 208-217. https://doi.org/10.1016/j.hal.2009.10.003
  15. Karim, M.R., Sekine, M., Higuchi, T., Imai, T., Ukita, M., 2003, "Simulation of fish behavior and mortality in hypoxic water in an enclosed bay", Ecological Modelling, Vol. 159, 27-42. https://doi.org/10.1016/S0304-3800(02)00282-X
  16. OHIO EPA, 2004, "SolarBee SB10000W Pond Re-Circulating pump evaluation".
  17. Wu, R.S.S., 2002, "Hypoxia: from molecular responses to ecosystem responses", Marine Pollution Bulletin, Vol. 45, 35-45. https://doi.org/10.1016/S0025-326X(02)00061-9

Cited by

  1. Optimization of the Underwater Radial Impeller Using Multi-Phase CFD Analysis vol.40, pp.4, 2018, https://doi.org/10.4491/KSEE.2018.40.4.171